View : 730 Download: 0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he Job Call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uthors
김가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연구자가 국내 대학교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동안 생겨난 의문점에서 출발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고학력 비정규직의 삶을 살아가는 한국어 교사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10년 이상 직업을 유지하는지 궁금하였는데 이 요인을 ‘직업 소명’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들의 직업 경험과 그 경험에서 형성된 직업 소명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 퍼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사는 어떠한 직업 경험을 하며 살아가는가? 둘째,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어 교사의 삶에서 직업 소명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 퍼즐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선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연구 계획서를 작성하여 본교의 생명윤리위원회에서 IRB 승인을 받았고 이후에 연구 참여자 10인을 모집하였다. 2단계에서는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기 위하여 연구 현장으로 들어가서 연구 참여자별로 3차에 걸쳐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3단계에서는 현장 텍스트를 바탕으로 중간 연구 텍스트를 작성한 후에 4차 면담을 진행하면서 구성원 확인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최종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 형성기의 한국어 교사는 용이하거나 고통스러운 형태로 직업 경험을 시작하였다. 경력 성숙기의 한국어 교사는 경력 형성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거나 지속해서 불안정을 경험하였다. 경력 원숙기의 한국어 교사는 필연적으로 변화를 경험하고 수용하였는데 시기적으로 코로나19에 의해 온라인 교육에 적응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둘째,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에는 공통적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전문성을 계발하고 학습자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담겨 있었다. 여기에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매개로 하여 외국인들을 가르치면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이 형성된 시기는 교사마다 달랐고 형성된 소명 의식은 경력이 축적되는 동안에 지속해서 유지되거나 의미가 퇴색되기도 하였다. 셋째,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에는 삶에 대한 목적의식이나 태도가 담겨 있었는데 직업 소명을 실천할 때는 내·외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먼저 내적 요인 중에서 성취감과 보람, 직업 만족도와 신앙심 등은 직업 소명을 실천할 때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는 달리 나이 듦에 따라 신체 노화가 진행되어 체력 소진을 경험하거나 초기의 열정이 상실되는 경험은 부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 실천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 중에서 긍정적인 요인에는 주변인의 지지와 동료 교사들과 소통을 하고 유대감을 형성하는 노력이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실력이 향상되거나 학기를 마쳤을 때 마주한 긍정적인 강의 평가도 직업 소명 실천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경력이 쌓여도 나아지지 않는 근무 환경 및 처우와 고용 불안정에 따라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채용 과정, 퇴직 중압감 등은 부정적인 외부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불성실한 학습 태도, 수업 외적인 요소에 의해 물리적인 시간을 소모하는 상황도 부정적인 외부 요인이 되었다. 이와 같은 내·외적 요인이 있었음에도 한국어 교사들은 자기의 직업 소명을 유지하면서 학습자에게 선한 영향을 미쳤고 한국어의 세계화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을 하는 동료와 연대감을 쌓으며 주고받은 피드백도 직업 소명을 실천할 때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해소하기 어려운 부정적 외부 요인에 의해 이직이나 퇴사를 하거나 강의 시간이 줄어들거나 경력이 단절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한국어 교사들은 각자의 직업 소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사로서 전문성을 키우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노력하는 자세로 살았고, 교육 현장에서 자존감을 지키며 일을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어 교사의 삶을 지탱하는 원동력이었고 불합리한 직업 경험을 하거나 부정적인 상황과 마주하였을 때 삶의 중심을 잡는 기준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에 관한 최초의 연구로 한국어 교사의 개인적인 내러티브를 학문적 기록으로 남겼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내러티브 탐구 수행의 전 과정을 자세히 기록하여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연구물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이후로도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과 관련하여 다양한 질적 연구물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began with a question which arose while the researcher was teaching Korean a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that which was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Korea. As a researcher, I wondered what factors mad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lived as irregular workers with higher education, maintain their jobs for more than 10 years, and wanted to consider these factors as a facet of ‘job ca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teachers’job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job calling shaped by such experiences. The research puzzle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job experience does a Korean language teacher have? Second, what is the job calling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job calling in the life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 above-mentioned research puzzles, I chose narrative inquir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conducted this study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In the first stage, I prepared a research plan and received IRB approval from the school's Bioethics Committee. After that, I recruited 10 study participants. In the second phase, in order to collect the relevant field text, I entered the study site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each study participant over a series of three rounds. In the third stage, I drafted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based on the field text, and conducted the fourth round of interviews to confirm the member check. In the last stage, I finalized the research text. The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uring the career-exploration period, Korean language teachers began their career with easy or tough experiences.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ir establishment career period entered stabilization or experienced continued instability.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ir maintenance career period inevitably experienced and accepted changes, and tried to adapt to online education at the time of Covid-19. Secondly, the job call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refers to the efforts made to develop expertise and understand students as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ddition, they tri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ociety by teaching foreigners throug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acquisition of job calling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occurred at different times for each teacher, and the sense of job calling, that was formed, continued to be maintained during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or as the meaning of job calling faded. Thirdly, job call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s a sense of purpose or attitude toward life, and when Korean language teachers practiced their job call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ed them. First of all, among the inner factors, the sense of accomplishment, job satisfaction, and faith were positive factors in practicing job calling. On the other hand, physical exhaustion with body’s aging or losing initial enthusiasm became negative factors. Next, support from neighbors and efforts to build bonds and communicate with fellow teachers are positive external factors that affected the practice of job calling. Similarly, the learners’improved Korean skills and positive lecture evaluation, when they finished the semester, influ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job calling practice. However, a work environment that has not improved with building career, and job insecurity with unnecessary hiring processes and the pressure on retirement were negative external factors. Also, learners' insincere learning attitudes and physical time-consuming situations by external classes have become negative external factors. Even with these internal and external negative factors Korean language teachers kept their job calling having good influences on learners and contributing to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 feedback that I exchanged with my colleagues also had positive results when practicing my job calling. However, due to negative external factors that were difficult to resolve, some experienced turnover, resignation, reduced lecture time, or career breaks. To keep job calling,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veloped their expertise as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worked har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y also kept their self-esteem in the educational field. These efforts were the motivation of their life and became the standard for maintaining the center of life even when experiencing unreasonable job experiences or facing negative situ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first study of job call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left personal narrativ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cademic records. Furthermore, the entire process of conducting narrative inquiry was described in detail and can be used as an academic reference to fellow researchers who want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After this study, we expect various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job call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