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Siu, Ka Yi-
dc.creatorSiu, Ka Yi-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32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32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11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112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1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숙달도에 따른 광둥어 L1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화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숙달도가 중·고급인 광둥어 L1 한국어 학습자들이 비음화가 일어나는 단어 내부, 조사나 어미의 결합, 단어 경계의 세 가지 환경에서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 양상이 어떠한지, 한국인 모어화자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한 한국어 비음화 습득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표준 중국어를 사용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광둥어는 중국 7대 방언 중 월방언에 속하며 중국 대륙의 광둥성, 광시성뿐만 아니라, 홍콩, 마카오 또한 해외 화교 사회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둥어 L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 비음화 습득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둥어 L1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애음의 비음화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을 살펴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어와 광둥어 간에 가장 큰 공통점은 두 언어의 폐쇄음 종성 /-k, -t, -p/와 비음 종성 /-n, -m, -ng/가 대응된다는 것으로 이는 종성 습득에 유리하다. 그러나 차이점은 한국어에서는 음운론적 조건만 충족되면 형태론적 조건과 상관없이 비음화 현상이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반면에 광둥어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과 규칙을 찾을 수 없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광둥어 L1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비음화 규칙과 발음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어의 장애음의 비음화가 실현되는 환경을 단어 내부, 조사나 어미의 결합, 단어 경계를 세 가지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각 실현 환경에서 장애음의 비음화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이 모어화자와 차이를 보이는지를 학습자의 숙달도별로 살펴 광둥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음화 습득 양상을 고찰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비음화 연구와 중국 방언권이나 방언권 출신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발음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와 광둥어의 음절 구조, 음절 유형, 자음 체계를 고찰하고 대조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의 장애음의 비음화 규정, 한국어의 음소배열제약, 광둥어의 비음화 현상의 부재에 대해서도 고찰하여 정리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 및 연구 도구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광둥어 L1 중급 학습자 및 고급 학습자, 한국인 모어화자 세 집단으로 각 20명을 표집하여 진행되었다. 광둥어 L1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화자의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 습득을 관찰하기 위하여 먼저 실험 문항을 읽고 녹음하는 발음 생산 실험을 실시한 후에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지선다형의 비음화 규칙 인식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는 장애음 /ㄱ, ㄷ, ㅂ/의 종류를 세 개로 구분하여 각 실현 조건(‘ㄱ + ㄴ/ㅁ’, ‘ㄷ + ㄴ/ㅁ’, ‘ㅂ + ㄴ/ㅁ’)에서 단어 내부, 조사나 어미의 결합, 단어 경계의 세 가지 실현 환경에서 일어나는 총 71개의 비음화 문항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문제인 광둥어 L1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장애음의 비음화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은 단어 내부, 조사나 어미의 결합, 단어 경계인 실현 환경별로 살펴보았을 때 한국인 모어화자와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규칙 인식 실험과 발음 생산 실험으로 나누어 각 실험에서 얻어진 단어 내부, 조사나 어미의 결합, 단어 경계의 정답률로 습득 양상을 분석한 후, 한국인 모어화자와 같은 수준의 습득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고급 학습자는 규칙 인식에 있어 세 가지 실현 환경 중 단어 내부 환경 및 단어 경계 환경의 ‘ㅂ + ㄴ/ㅁ’ 실현 조건에서만 모어화자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고급 학습자는 발음 생산에 있어 세 가지 실현 환경 중 조사나 어미의 결합 환경의 ‘ㅂ + ㄴ/ㅁ’ 실현 조건에서만 모어화자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모어화자는 단어 경계 환경에서도 비음화 규칙을 적용시켜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인 모어화자는 단어 경계에 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비음화 실현 조건만 이루어지면 어절 경계를 넘어서도 적용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광둥어 학습자들을 위한 비음화 발음 교수에서 단어 경계 환경의 말토막을 단위로 교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by Cantonese learners of Korean according to their Korean proficiency.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acquisition aspects between Cantonese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three environments in which nasal assimilation occurs (inside a word, the combination of postpositions or endings, and the word boundar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for Chinese learners were conducted mainly for Chinese Korean learners who speak Mandarin Chinese (Putonghua). Cantonese is one of the seven major dialects of China, and it is widely used not only in Guangdong and Guangxi Province in mainland China, but also in Hong Kong and Macao and overseas Chinese communities.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dealing with nasal assimilation for Cantonese in comparison with Korean. In order to fill that gap, this study examines the cogni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by Cantonese learners of Korean. The biggest commonality between Korean and Cantonese is that the endings of unreleased consonants /-k, -t, -p/ and the nasals /-n, -m, -ng/ of the two languages ​​correspond to each other.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nasal assimilation in Korean is an obligatory rule applied when the preceding sounds [ㄱ, ㄷ, ㅂ] are followed by the nasal sounds [ㄴ, ㅁ], and are then pronounced as [ㅇ, ㄴ, ㅁ]. In other words, if only the phonological condition is satisfied, Korean nasal assimilation necessarily occurs regardless of the morphological condition. Such a phenomenon and rule cannot be found in Cantonese. Due to this difference, it was expected that Canto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ould have difficulties in acquiring the rules and pronuncia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Korean nasal assimilation is realized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side a word, the combination of postpositions or endings, and the word bound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learners’ cognition of the nasalization rules in each environment and the acquisition of pronunciation production are different from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While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the experiment also examined whether the learners reached the level of native Korean speakers when their proficiency in Korean increased.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the need of this study and discuses previous studies on both nasalization targeting Korean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the pronunciation studies targeting Chinese dialects or learners of Chinese dialects. Chapter II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his study. First, the syllable structure, syllable type, and consonant system of Korean and Cantonese are reviewed. Seco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antonese were shown. Third, the rules of nasalization and restrictions on phoneme arrangement in Korean are explained. Fourth, the fact that Cantonese does not have this type of nasal assimilation is discussed. Chapter III describe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ols. The experiment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20 people in each of the three groups. Cantonese intermediate learners, Cantonese advanced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order to observe the cogni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by Cantonese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the produ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irst by reading and recording the experimental sentences. Then the cogni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the sentences through a multiple-choice task.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items that occurred in three environments (inside a word, the combination of postpositions or endings, and the word boundary). In each environment the experimental item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nreleased finals /ㄱ, ㄷ, ㅂ/. Chapter IV analyz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search question was confirmed by analyzing whether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was “if the cogni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in Canto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differ from those of native Korean speakers in terms of inside a word, the combination of postpositions or endings, and the word boundary.” The acquisition pattern was analyzed through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inside a word, the combination of postpositions or endings, and the word boundary obtained in each experiment. It was then confirmed whether the acquisition was achieved at the same level as native Korean speakers. It was found that the advanced learners reached the same level of nasal assimilation as native Korean speakers only for ‘/p/ + /n/ or /m/’ in the environment of inside a word and the word boundary for cogn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the advanced learners reached that level only for ‘/p/ + /n/ or /m/’ in the environment of the combination of postpositions or endings for production.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native Korean speakers group showed more than 70% of correct answers in producing pronunciation in nasal assimilation in the word boundary environment.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words were placed on a word boundary, most native Korean speakers will still apply it if the conditions for nasal assimilation are 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when teaching Korean nasal assimilation to teach the nasal assimilation which occurs in the word boundary environment in order for Cantonese learners of Korean to reach the pronunciation level of native Korean speak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5 C. 연구 문제 11 Ⅱ. 이론적 배경 13 A. 한국어와 광둥어의 음절 구조 13 B. 장애음의 비음화 32 Ⅲ. 연구 방법 42 A. 예비실험 42 B. 본 실험 44 Ⅳ. 연구 결과 57 A. 비음화 실현 환경에 따른 비음화 규칙 인식 결과 58 B. 비음화 실현 환경에 따른 비음화 발음 생산 결과 75 C. 비음화 실현 환경에 따른 비음화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 비교 92 Ⅴ. 결론 107 참고 문헌 112 부록1. 피험자용 본 실험 설문지 115 부록2. 비음화 규칙 인식 시험지 116 부록3. 비음화 발음 생산 시험지 122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809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광둥어 L1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화 규칙 인식과 발음 생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gni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by Cantonese Learners of Korean-
dc.format.pageviii,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