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정지수-
dc.creator정지수-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31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31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7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7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134-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사회적경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시민과 시민사회 등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통해 운영되기 때문에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 그러나 사회적경제가 시민사회를 기반으로 형성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호혜, 연대, 참여, 공감, 나눔의 가치를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 모두 공동체의 역량과 관련이 있으며 시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경제 역시 시민과 공동체의 역량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경제의 특성상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의 인식 향상이 필수적이다. 시민들이 직접 지역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사회적경제가 활성화되고 시민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민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까지 시민들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고 대부분 단순한 실태조사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에 사회적경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자본과 사회적경제 인식 간 관계를 나눔행동이 매개할 수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적자본은 나눔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적경제 인식은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 간 관계를 매개하는가?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사회적경제 시민체감도 측정 연구(2020)」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1,002명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활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Χ2(17) = 111.208로 p < .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FI = 0.948, TLI = 0.915, RMSEA= 0.074로 기준값을 충족하여 모형이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자본이 많을수록 나눔행동이 높아졌다. 둘째,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나눔행동은 사회적자본과 사회적경제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시민들의 사회적경제 인식을 주요하게 다룸으로써 그동안 사회적경제와 이론적으로 연관성이 제시되었던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 사회적경제 인식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나눔행동이 사회적자본과 사회적 인식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시민들의 사회적자본을 증대하고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기존연구들과 달리 특정 부문의 사회적경제에 국한하지 않고 전체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행동이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본 연구는 2차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전한 변수 활용에 한계가 있었고,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전국적 일반화가 어렵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나눔행동이 사회적경제 인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설정한 연구모형 외에 사회적경제 인식이 나눔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비교해보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기에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과 사회적자본 및 나눔행동의 관계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 이후 시민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후속연구와 사례분석이 이루어져 시민 중심의 사회적경제 생태계가 조성되고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한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해본다.;The social economy has attracted growing interest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social problems. The social economy is an effective way in solving local problems because it operates through cooperation among local stakeholders such as citizens and civil society. However,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on ordinary citizens in the social economy sector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ic behavior.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For an analysis, data from Research on Measuring Public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in Seoul City (2020) was utilized. The sample included 1,002 Seoul citizens aged 18 or older throug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model fit showed X2 (17) = 111.208 (p < .001) and it was significant with CFI = 0.948, TLI = 0.915 and RMSEA = 0.074. The result showed that both philanthropic behavior and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became stronger as social capital got higher. By performing bootstrap,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was reveal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ic behavior at the time when the social value is emphasized. By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of 1,002 Seoul citizen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citizen-center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itizens’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ic behavior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Furthermore, this study focused on measuring the entire social economy and explored how the behavior can influence the perception based on the Self-Perception Theory. There was limitation on the use of variables as this study used secondary sources. Also, the result is difficult to generalize nationwide as it targeted Seoul citizens. For future studies, repeat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other region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meticulous scale of social capital suitable for the social economy sector or studies using other variable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should be conduc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 3 C.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사회적경제 개념 및 특성 6 B. 사회적경제 인식 10 C. 사회적자본 14 D. 나눔행동 18 Ⅲ. 연구설계 23 A. 분석자료 23 B. 연구모형 및 가설 24 C. 분석방법 25 D. 변수의 구성 및 측정 25 Ⅳ. 연구결과 30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0 B.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31 C.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32 D. 다중공선성 점검 33 E. 가설 검증 35 Ⅴ. 결론 및 논의 44 A. 연구결과 요약 44 B. 연구의 함의 46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설문지 60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64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30-
dc.title사회적자본이 사회적경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oes Social Capital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dc.creator.othernameJung, Jeesoo-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적경제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