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 착용유무에 따른 골프통합기능체력훈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세, 골프스윙, 말운동성(Speech Motor)에 미치는 영향
- Title
-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 착용유무에 따른 골프통합기능체력훈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세, 골프스윙, 말운동성(Speech Motor)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The Effects of Golf Integrated Functional Fitness Training and Myofasical Mer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on Posture, Golf Swing, and Speech Motor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uthors
- 안선숙
- Issue Date
- 2021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체육과학부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Doctor
- Advisors
- 이경옥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막경선이론에 기반하여 근육의 협응력과 올바른 자세유지를 위해 개발된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특허: 30-2019-0063880, 30-2019-0063881) 착용 유무에 따른 골프통합기능체력훈련이 자세, 골프 스윙, 말운동성(Speech Motor)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발달장애인들에게 상하지 근육의 협응력 증가를 통해 자세 정렬, 골프 스윙은 물론 말운동성(Speech Motor)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연구대상은 N구의 D기관에 거주하는 만 13~18세의 발달장애 1-3 등급을 받은 청소년 11명으로,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 착용집단 6명, 무착용 집단 5명이다. 골프통합기능체력훈련 프로그램은 16주간 회당 60분씩 주 2회 실시하였다.
자세측정은 바디스타일(Bodystyle, MZen, Korea)기기를 사용하였다. 골프 스윙은 SG스크린 골프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말운동성(Speech Motor) 검사는 조음기관기능검사(SMST: 신문자, 김재욱 외, 2010), 조음검사(U-TAP: 김영태, 신문자, 2004)를 이용해 언어치료사가 검사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Window SPSS version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착용군과 무착용군의 집단 간 검사는 비모수 mann-Whitney U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집단 내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Wilcoxon 대응검증을 이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 착용 유무에 따른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이 자세에 미치는 영향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를 착용하고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을 적용한 착용군에서는 자세평가(1=올바른자세, 2=적당한교정, 3=전문가상담)의 관상면(앞)에서 우측다리굴곡평가를 제외한 어깨기울기평가 사전 1.83에서 사후1.33로 38%, 골반기울기평가는 사전 2에서 사후 1.83으로 9%, 좌측다리굴곡평가는 사전 1.67에서 사후 1.5로 11%, 다리길이차이평가에서는 사전 2.17에서 사후 1.67로 30% 개선되었다.
시상면에서 경추기울기평가는 사전 2에서 사후 1.5로 33%, 상체기울기평가는 사전 1.17에서 사후 1로 17%, 골반전후기울기평가는 사전 2.33에서 사후 1.17로 0.99% 개선되었다.
관상면(뒤)의 척추휨평가는 사전 1.5에서 사후 1.33으로 13%, 견갑골평가는 사전 2.83에서 사후 1.83으로 55%, 어깨기울기평가는 사전 1.83에서 사후 1.33으로 38%, 종골각기울기평가(왼쪽)는 사전 2.17에서 사후 2로 9%로 개선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를 착용하지 않고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을 적용한 무착용군에서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개선되지 않았다.
B.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 착용유무에 따른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이 골프 스윙에 미치는 영향
골프 스윙검사에서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 착용유무에 따른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결과, 착용군과 무착용군에서 비거리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착용군에서는 사전에 32.31m에서 사후 57.5m로 0.78% 증가 하였으며 무착용군에서도 사전 33.73m에서 사후 40.89m로 0.21% 증가하였으나, 착용군에서의 증가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볼 속도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착용군에서는 사전에 17.48m/s에서 사후 24.28m/s로 0.39% 증가하였으며, 무착용군에서는 사전 18.52m/s에서 19.68m/s로 0.06% 증가하였다.
C.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 착용유무에 따른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이 말운동성(Speech Motor)에 미치는 영향
발성 말 운동‘퍼’, ‘러’, ‘긍’, ‘아’소리를 5초 동안 한 횟수를 1초로 나눈 검사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횟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발음검사인 낱말수준의 자음·모음정확도와 문장수준의 자음·모음정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사전에 비해 사후에 모두 경향성이 높아졌다.
요약하면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를 착용한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세, 골프스윙, 말운동성(Speech Motor)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골프운동과 발달장애 청소년의 관계성 향상에 있어서 협응근의 운동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는 말운동성(Speech Motor)의 효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말운동성(Speech Motor) 검사 결과 전체적으로 사후수치가 평균적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자세에서 경추와 어깨기울기의 개선으로 인해 발성이 좋아졌다고 볼 수 있다. 경추가 정렬됨으로써 골프 스윙 시 백스윙의 바디턴을 유도하고 임팩트 시 중심축을 유지시킨다. 그러므로 올바른 자세기전의 인지가 어려운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를 착용시켜 지속적으로 올바른 자세에 대한 위치자극을 함에 따라 자세가 좋아지고 그에 따라 골프기능, 말운동성(Speech Motor)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근막경선 자극 밴딩웨어와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은 자세보다 골프스윙에서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동적인 변인이 정적인 변인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을 정적인 자세에서도 보다 더 효율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하는 것을 첫 번째 추후과제로 한다. 또한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맞춤식으로 적용한 골프통합기능체력 훈련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볼 때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특성에 맞는 각각의 스포츠 종목별 통합기능체력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olf Integrated Functional Fitness Training on posture, golf Swing, and speech motor according to the wearing of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female adolescents, aged 14 to 19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ade 1-3).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up into 2 groups which one was the group to wear the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n=6) and the other was not (n=5).
For all participants in the Golf Integrated Functional Fitness Training program worked out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over 16 weeks. Golf Integrated Functional Fitness training was composed to 2 main parts; One was golf fitness exercise about the physical alignment, balance and core stability, and the other was the advanced golf performance program.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wearing of the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posture, golf swing(Carry Distance, ball velocity, ball birection) and speech motor.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via SPSS 22.0 version with Mann-Whitney U and Wilcoxo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oth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posture. However, the group wearing the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was improved their posture. Golf swing (carry dista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The group wearing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Despite the advanced the carry distance, ball direction was not changed in the group wearing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The group, participated in the Golf Integrated Functional Fitness Training while wearing the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significantly improved speech motor ability.
Overall, the participants’speech motor ability improved most of ses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orrection of cervical and shoulder alignment might be helpful for vocal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the correction of cervical alignment might be leaded to keeping ability the core axis during the golf swing. It leads to bigger body-turn of back swing.
Wearing the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could stimulate the proprioception, and correct the posture, golf skill and speech motor sequentially. The Myofascial Meridians Stimulation Banding Wear and Golf Integrated Functional Fitness Training more influenced to golf swing. The dynamic variable would more improving effect than static variabales. Further study is needed to impove the Golf Integrated Functional Fitness Training about the static effect.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