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3 Download: 0

지역사회 노인의 청각장애 정도와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역사회 노인의 청각장애 정도와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Relationships between self-reported hearing handicap,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South Korean community
Authors
박하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청각장애 정도와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준과 삶의 질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0년 12월 20일부터 2021년 3월 20일까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 노인 12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청각장애 정도는 100점 만점으로 평균 32.37±23.15점이었다. 대상자의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3점 만점으로 평균 .50±..42점이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에 대한 점수는 155점 만점으로 평균 95.41±19.5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청각장애 정도는 연령(F=10.288, p<.001), 최종학력(F=4.709, p=.004), 주관적 건강상태(F=19.884, p<.001), 고혈압의 유무(t=-2.590, p<.011), 관절질환의 유무(t=-3.67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정도는 연령(F=5.089, p=.007), 최종 학력(F=4.051, p=.011), 주관적 건강상태(F=38.787, p<.001), 관절질환(t=-3.71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연령(F=5.040, p=.008), 최종 학력(F=3.573, p=.016), 주관적 건강상태(F=8.857, p<.001), 관절질환(t=2.567,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청각장애 정도(r=.821, p<.001)는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청각장애 정도(r=-.801, p<.001)와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707, p<.001)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65.6%로 나타났고, 청각장애정도(β=-.695, p=<.001)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질에 청각장애 정도가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인의 청각장애를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lf-reported hearing los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Seoul, South Korea,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129 elderly population over age of 65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th in 2020 to March 20th in 2021.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self-reported hearing loss was 32.37±23.15. The mea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50±.42. The mean of quality of life was 95.41±19.53. 2. Self-reported hearing loss was related to age(F=10.288, p<.001), education (F=4.709, p=.004), perceived health(F=19.884, p<.001), and joint disease(t=-3.676, p<.001).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related to age(F=5.089, p=.007), education(F=4.051, p=.011), self-perceived health status(F=36.787, p<.001), and joint disease(t=-3.714, p<.001). Quality of life was related to age(F=5.040, p=.008), education(F=3.573, p=.016), perceived health(F=8.857, p<.001), and joint disease(t=2.567, p=.011). 3. Self-reported hearing lo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r=.821, p<.001), and quality of lif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hearing loss(r=-.801, p<.001)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r=-.707, p<.001). 4. Self-reported hearing loss influenced on quality of life.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64.5%(F=15.162, p<.001). To conclude, the resul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earing loss and its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opulation.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that prevent and improve community-dwelling elderly’s hearing loss are required to the better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