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2 Download: 0

청년층의 상대적 박탈감과 물질주의의 관계

Title
청년층의 상대적 박탈감과 물질주의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ve Deprivation and Materialism among Korean Younger Generation : Belief in a Just World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s Mediators
Authors
차보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최근 주식에 대한 청년층의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이러한 사회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청년 세대의 주식 투자는 물질주의 경향성에 기반하고 있으며, 청년들이 당면한 여러 어려움과도 긴밀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년들의 물질주의와 청년 문제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물질주의의 부정적인 영향이 활발히 연구된 데 비해 물질주의의 선행요인은 비교적 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 세대가 물질주의 가치관을 내면화하는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자신이 처한 환경을 인식하는 방식이 물질주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청년층의 상대적 박탈감과 물질주의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49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3.0을 통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MPLUS 7.4를 통해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이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상대적 박탈감은 물질주의를 직·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청년층의 상대적 박탈감과 물질주의의 관계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각각 매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청년층의 상대적 박탈감 수준이 높을수록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낮아지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증가하여 물질주의가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는 상대적 박탈감이 큰 청년층은 자식이 속한 사회가 정당하지 않다고 느낄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도 인내하기 어려워 물질주의를 더 강하게 추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일자리 부족과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청년들이 어떠한 기제로 물질을 추구하는지 그 이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With the recent surge of the young people’s interest in the stock market, a research is necessary in order to understand such social phenomenon. The stock investment method of the young generation tends to stem from materialism, and it appears to be closely related to various realistic issues that the young people face in their live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leads to such materialistic aspect of the young generation could becom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relevant social trend. While the negative impacts of materialism have been actively studied, the predisposing factors of materialism are relatively less known. This study plans to analyze how a person’s method of perceiving their environment impacts materialism, focusing on the steps that young people go through when internalizing such materialistic values. Specifically,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young generation’s relative deprivation would predict materialism, which is mediated by belief in a just world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comprised of 498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19 and 34 to carry out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utilizing SPSS 23.0, and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through MPLUS 7.4.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major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relative deprivation among young people could predict materialism directly and indirectly. Third, belief in a just world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ea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generation’s relative deprivation and materialism. Conclus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young people’s level of relative deprivation was, their belief in a just world decreased, and their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creased, which led to higher level of materialism. This suggests that young people who feel more deprived relative to others perceive the society as unjust, and they end up becoming more materialistic as they lose patience when dealing with uncertainties. Such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ehind young people’s pursuit of materials when facing realistic difficul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