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대학도서관의 데이터관리계획 서비스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의 데이터관리계획 서비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ata Management Plan Service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Authors
박형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현
Abstract
디지털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연구의 성과와 과정을 개방하는 오픈 사이언스가 강조되는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연구 과정 중 생산된 연구데이터에 대해 접근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연구비지원기관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 과제에 대해 데이터관리계획(DMP)을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의 일환으로 DMP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을 통해 일부 과제에 한해 DMP 작성과 제출이 제도화되었음에도 국내 대학도서관에는 DMP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 조사를 통해 해외 대학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DMP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및 연구지원서비스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DMP 서비스에 대한 의견과 요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DMP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해외 대학도서관 사례 조사, 국내 대학도서관의 관련 담당자와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자세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데이터 관리 및 지원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연구데이터의 정의,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리하였다. 또한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는 데이터 생애주기를 기반으로 하여 연구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생애주기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첫 번째 단계인 계획 단계에서 DMP 작성이 이루어지므로 DMP의 구성요소를 확인하였다. 둘째, 해외 사례로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 중 DMP 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DMP 설명, 온라인 DMP 작성 도구, 템플릿과 체크리스트, 상담, 데이터 레포지터리, 정책, 법령, 지침, 가이드를 분석 기준으로 하여 서비스 제공 여부 및 방법을 파악하였다. 셋째, 국내 대학도서관 내 연구데이터 및 연구지원서비스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위하여 대학알리미 홈페이지에 제공된 2020년 전국 대학 연구비 수혜 실적을 파악하였다. 연구비를 가장 많이 지원받은 50개 대학 중 인터뷰 참여 의사를 밝힌 9개 대학의 담당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인터뷰 결과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 마련, DMP 서비스의 필요성, DMP 서비스 도입의 어려움, 지원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데이터 체계 마련을 위해서는 연구데이터 및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의 범위 설정, 연구데이터와 관련된 담당자 교육 필요, 데이터 관리 지원을 위한 필요 지식, 연구데이터 관리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자들의 인식 개선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었다. 또한 DMP 제도에 대한 인지, DMP 작성 지원 요청을 받아 본 경험, DMP 서비스의 필요성 및 고려 경험, 상위관리부서 혹은 상급자의 저조한 인식, 유관부서와의 협력에 대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DMP와 관련하여 지원 가능한 서비스로는 가이드, 교육, 컨설팅 서비스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DMP 서비스 고려사항을 정책 측면, 운영 측면, 인식 개선 세 가지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정책 측면으로는 연구데이터와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의 범위가 설정되어야 하며, 연구데이터 관리와 DMP 서비스를 위한 정책 및 지침이 수립되어야 한다. 국가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에서 생산된 연구데이터를 국가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데이터의 유형과 범위를 정의하여야 한다. 또한 국내에서는 대학도서관에서 단독으로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관 내 정책과 지침을 수립하고 연구처 및 산학협력단과의 협의를 통해 업무 영역을 설정하여야 한다. 운영 측면으로는 먼저 예산과 인력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데이터 관리를 전담하는 부서 및 담당자가 배치되어야 하며, 데이터 사이언스 전공자를 채용하는 등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전문성을 가진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인력의 확보와 교육의 진행을 위해 꾸준한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각 대학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데이터관리시스템을 구입 또는 개발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만큼 교육 및 연구 관련 정부기관에서 연구데이터 관리 통합시스템을 개발하여 배포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사서 대상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상위관리부서 혹은 상급자의 인식을 개선시켜야 한다. 더불어 연구 시작 이전에 연구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가이드를 통해 기초적인 설명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자의 인식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제공자인 대학도서관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무 차원에서 DMP 서비스에 대한 의견과 요건을 파악하여 DMP 서비스의 고려사항을 제안하였고, 대학도서관에서 DMP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 DMP 서비스를 적용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Due to the ongoing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there is a movement around the world to open the process and results of research, and Open Science in order to improve access to data produc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hich, as a result, supports the open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science. Oversea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hat would require the submission of a Data Management Plan (DMP) for projects funded by research grants. In response to such policies,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are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DMP as part of their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Although DMP preparation and submissi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through 「Regulations on the Management of National R&D Projects」 in Korea, there are few institutions that provide a DMP service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atus of DMP services provided by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wer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opinions and requirements for DMP services. The effectiveness of DMP services were confirmed with collected research data, including interviews with research support service personnel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suggest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DMP service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of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and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nel in charge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were conducted as part of this research study. Our research method was organized in a step-by-step process to accurately answer our research questions. First,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Research data, along with concepts and component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were identified and defined. In addition, since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support all stages of the research-based data life cycle, the data life cycle was examined. The components of a DMP were then re-examined because DMP’s are often prepared in the first stage, the planning stage. Second, an overseas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status of DMP services among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S, Canada, UK, and Australia were investigated. DMP descriptions, online DMP writing tools, templates and checklists, consultation, data repository, policies, laws, guidelines, and guides derived from literature research were used as analysis criteria to investigate how such services are provided and in what manner. Third, interviews with people in charge of research data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research grants from universities nationwide in 2020 (provided by the University Alert website) were identified. Among the 50 universities that received the most research grants, managers from nine universitie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were selected as subject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possible to confirm opinions on the preparation of a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the necessity of DMP service, difficulties in introducing DMP service, and supportable services. In order to prepare the research data system, it is necessary to set the scope of research data and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It is shown that a clear scope of data management services can be used to educate the people related to the research data, support data management (including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researchers mentioned. For the DMP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awareness of the DMP system, the experience of receiving a request for support for DMP preparation, the experience of needing and considering the DMP service, the poor awareness of the upper management department or superiors,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relevant departments were mentioned. As services that can be supported in relation to DMP, opinions were presented as guide, education, and consulting services. Based on conducted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three ways to considerations for DMP service in university libraries: policy aspect, operation aspect, and awareness improvement. In terms of policy, the scope of research data and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 should be established, and policies and guideline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DMP services should be established. Research data should b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ype and scope so that research data produced in research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unding can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national asset and systematically managed and utilized. In addition, in Korea, since university libraries cannot provide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alone, policies and guidelines within the institution must be established, and work areas must be established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research office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foundation. In terms of operation, the budget and manpower must be secured first. A department and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research data should be assigned, and it is desirable to secure manpower with expertise for managing research data, such as hiring personnel with a data science background. In addition, steady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upported for securing manpower and conducting educ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for each university to use the system individually,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education and research should develop and distribute an integrated system for managing research data. Lastly, continuous education for librarian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DMP for upper management departments and supervis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researchers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data management before the start of the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explanatory information through guides to raise the awareness of resear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considerations for DMP service by identifying opinions and requirements for DMP service at the practical level, targeting those in charge of university libraries, which are service provider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tarting DMP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when applying a DMP service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