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 분석

Title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of School-aged Children : The Mediation Effect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읽기 능력이 부진하면 학습능력이 낮아질 수 있고, 친구들과의 의사소통이나 사회적 기술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화용언어 능력이 부족하게 되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또래와의 관계에서 정서 및 행동 문제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학령기 아동의 사회정서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변수를 들 수 있으며, 친구나 부모, 교사에 의한 지지의 수준에 따라 아동의 사회정서행동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이 효과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교사와 또래와의 의사소통이나 사회정서행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읽기 능력, 화용언어 능력, 사회적 지지, 사회정서행동 변수의 관계를 모두 살펴본 연구들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 능력과 화용언어 능력, 사회적 지지, 사회정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화용언어 능력이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지를 분석하고, 더불어 사회적 지지 변수가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 화용언어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지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를 사회적지지 변수가 매개된 조절을 하는 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2∼6학년 일반아동 124명을 대상으로 읽기 능력(읽기유창성, 읽기이해 능력), 화용언어 능력(대화상대방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 간접표현, 반어 및 비유), 사회적 지지(친구 지지, 부모 지지, 교사 지지), 사회정서행동(정서적 강점, 정서적 난점)을 측정하였다. 학년과 성별은 통제변수로 처리하였으며,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위계적 분석방법)을 실시했고,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읽기 능력, 화용언어 능력 및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읽기이해 능력이 정서적 난점과 강점에 모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읽기유창성은 정서적 난점 및 강점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능력은 모두 화용언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화용언어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상황조율과 간접표현은 정서적 난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상황조율과 반어 및 비유는 정서적 강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친구 지지는 정서적 난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지지와 교사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적 강점은 친구 지지 부모 지지, 교사 지지에 의해서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읽기유창성은 화용언어능력을 매개로 정서적 난점 및 강점에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친구 지지가 읽기이해 능력과 정서적 강점 간의 관계,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적 난점 및 강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부모 지지는 화용언어 능력과 정서적 강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읽기이해 능력, 화용언어 능력, 정서적 난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원 중에서 친구 지지의 수준이 낮거나 높은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읽기이해 능력과 정서적 난점의 관계에서도 친구 지지의 조절효과도 나타났는데, 친구 지지의 수준이 평균이거나 낮은 경우 읽기이해 능력이 정서적 난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읽기이해 능력이 높아지면 화용언어 능력도 높아지고, 화용언어 능력이 높아지면서 부정적 사회정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매개효과는 친구지지의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이해 능력은 사회정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읽기유창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읽기부진 아동들이 일반아동과 행동 문제나 불안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능력 모두 화용언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을 읽거나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주제를 유지하면서 대화를 나누거나 적절하게 주제를 전환하는 등의 화용언어 능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 화용언어 능력 중에서 대화상대방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은 정서적 난점이나 강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어법을 지식으로만 알고 있고 실제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회정서행동을 발달시키기 위한 경험을 쌓지 못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처럼 대화상대방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 능력이 정서적 난점이나 강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지지원 중에서 친구의 지지가 정서적 난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또래와의 상호작용 경험이 학령기 아동의 부정적 정서 및 행동 발달, 학교 적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는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읽기이해 능력과는 달리 읽기 유창성은 정서적 난점 및 강점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화용언어 능력의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읽기이해 능력과 화용언어 능력의 관련성이 높다는 데서 이유를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읽기이해 능력이 높으면 화용언어 능력을 통하지 않고 독후활동을 통해 바로 정서적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읽기유창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화용언어 능력을 병행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화용언어 능력이 정서적 난점 및 강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 화용언어 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친구 및 부모의 지지는 정서적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긍정적 정서행동을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학령기 아동의 읽기이해 능력이 정서적 난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를 사회적 지지가 매개된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구의 지지가 높으면 화용언어 능력을 매개로 한 경로에서 정서적 문제가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읽기나 언어 중재 시 친구의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언어기술을 지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세 변수 간의 관계를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연구 및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능력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두 변수와 다른 변수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매개효과를 통해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행동 간의 관계에서 화용언어 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 변수가 읽기, 화용언어, 사회정서행동의 관계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으로 화용언어 능력을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정서행동 변수 중에서 정서적 강점의 하위유형을 추가하고, 4개의 복합요인으로 구성된 정서적 난점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며, 정신건강 이요인 모형에 의한 집단 연구를 통해 정서행동 면에서 취약한 집단의 특성 파악 및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일반 아동 외에 다양한 장애군 아동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Reading abilities are not only the foundation for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related to socio-emotional behaviors. School-aged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ies face a variety of challenges in their lives, and may be at risk of learning difficulties in school and for behavioral or emotional problems. Also social support(i. e. support of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influences on their school lives and adjus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of school-aged children. Socio-emotional behaviors are comprised of emotional strengths(pro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 difficulties(hyperactivity, emotional symptom, conduct problems, peer problem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24 elementary school children(from 2nd to 6th grade). Their reading abilities, pragmatic abilities, social support,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CESS Macro(ver. 3.5) analysis metho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reading abilities(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communication regulations by communication partners and situational context, indirect expressions, irony & metaphor), social support, and socio-emotional behaviors(emotional difficulties, emotional strengths)? Second, do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have th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Third, do the social support have the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in the relations betwee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Fourth, does the social support have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 among reading abilities,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on socio-emotional behavior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significantly affect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Communication regulations by situational context and indirect express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difficulties. But communication regulations by communication partner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socio-emotional behaviors. Also communication regulations by situational context and irony & metaphor significantly affect emotional strengths. Only friends'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emotional difficulties. Second,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fully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fluency and socio-emotional behaviors(emotional difficulties and strengths). The better the reading fluency is, the higher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re. Thus, the emotional difficulties decrease as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improve. And the emotional strengths increase with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Third,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s, the greater the effect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is. Especially, friends' support has the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emotional strengths, and between pragmatic abilities and emotional difficulties(or strengths). Parents' support has also the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emotional strengths. Finally,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mediated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s among reading comprehensio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level of friends' support is, the greater the indirect effect of practical language abilities on emotional difficulties is. This study suggests that SLPs teach reading fluency together with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for improving socio-emotional behaviors. It is also needed to emphasize social support that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rough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Especially, it is needed to develop language and reading program to enhance friends' support for school-aged childr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verifying that reading abilities,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social support play an important role in alleviating socio-emotional problems and in increasing emotional strength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reading and practical language intervention to reduce the emotional difficulties, and for counselling parents to increase their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