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이 유치원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이 유치원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effect of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competency(TPACK) on the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Authors
이진숙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With the rapid arriv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have always called for changes and reforms in education in the future. Recently, Covid-19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reveal the appearance and necessity of future education without makeup, and is a turning point for educational change. As online classes have increased due to Covid-19, it has become common for teachers to use technology in their classes, along with educational demands to introduce technology in school education. However, there are many concerns that the online class, which started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is deepening the gap between learning and education, such as the phenomenon in which most students cannot concentrate on learning,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friends and teachers, and the absence of care for double-income families. As discussions on online classes begin, online classes require integrated changes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s, and curriculum beyond the application of e-learning method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look at proposed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competence (TPACK) to explain interactive knowledge of technology,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content. In addition, efforts are active in the education community to change the paradigm of education, and teachers are at the core and most important position in changing education. Teachers'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are very important in rapidly changing online classroom environments where the future is unpredictable, and teacher effectiveness among teachers' inner beliefs or attitudes consistently and consistently affects learners' achievemen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at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competence (TPACK) as variables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eachers in online class setting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competence (TPACK) on kindergarten teachers' sense of teacher effectivenes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kindergarten teachers' sense of teacher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vary depending on teacher-level variations, school-level variations, technology content, and professor-competence variations? Second, what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ffectivenes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reated referring to the 7th Gyeonggi Education End Study and the questionnaire questions of TALIS 2018, and surveyed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do and analyzed the results. Statistics and data processing utilized the SPSS Statistics 25 program, with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ronbach's α coefficient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echnical statistics, one-way batch ANOVA, and post-test variables. First of all, the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level variation, school-level variation,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effectiveness,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ectiveness, and living guidance effectiveness. Nex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er-level variations, school-level variations, technology content, and professor-level varia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struction and living instructio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schools, technology, and teaching skills,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ectiveness, and life guidance effectiveness. In the background of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in their 20s and 50s than teachers in their 20s, and teachers in their 30s and 50s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 characteristic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utility motivation, social utility motivation, teacher morale and enthusiasm, teacher satisfac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higher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In school-level vari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stablishment type, school culture, and director's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effectiveness, teacher effectiveness, and life guidance. In terms of technology content and professors' capabiliti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chnology knowledge and technology professor knowledge, which are subcomponents of teacher efficacy, learning guidance efficacy, and living guidance efficacy. Second,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eacher efficacy were teac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school culture, and technology teaching knowledge, while those that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guidance efficacy were teachers' age, morale, enthusiasm, educational background, school culture, and technology teaching knowledge. Variant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living guidance wer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school culture, and technology teaching knowledge. As a result,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school culture, and technology teaching knowledge,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guidance, and the effectiveness of living guidance.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echnology contents and teaching capabilities (TPACK) of kindergarte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competence (TPACK) that can be selected and utilized according to the given classroom situation and specific tasks and teaching methods. To this end, TPACK programs should be structured to have technology integration experience in the preliminary teacher curriculum, and TPACK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by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appropriately utilize technology with great learning effects for incumbent teachers. Second, educational policy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a democratic school culture based on respect and consideration. Kindergarten should be a warm and safe learning space, and based on openness and cooperation, a democratic kindergarten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which all organizational members become subjects of education and learn and grow together in democratic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o this end, education policies need to be supported so that democratic kindergarten culture can be established by creating educational conditions for teachers to concentrate on classes and life education, expanding opportunities for all educational communities to participate in operations as participants, decision-makers, leaders, guides, collaborators and assistants. Third, support is needed to revitalize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 priority should be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system that can boost the morale and enthusiasm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nhance teacher satisfaction and teacher effectivenes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that grows together in the process of kindergarten teachers developing and practicing curriculum and classes,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with educ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as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do. Second, this study analyzed mainly the variables of technology knowledge(TK) and technology teaching knowledge(TPK), which are sub-elements of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competency(TPACK), and generalized to the effect of technology content and teaching competency(TPACK) on the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There are limits to what you can do. Third, as a quantitative analysis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re is a limit in finding out the specific reality such as the affective aspect in relation to the teacher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4차 산업혁명 등 지능정보화사회의 급속한 도래로 미래사회 교육에 대한 담론에서 우리는 항상 교육의 변화와 개혁을 요구하였다. 최근 코로나19는 미래교육의 모습과 필요성을 민낯처럼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육변화의 전환점이 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온라인수업이 증가됨에 따라 학교교육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구와 함께 교사들은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준비없이 시작한 온라인수업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습에 집중하지 못하는 현상, 학습시간 축소, 친구․교사와의 소통 부재, 맞벌이 가정 자녀의 돌봄 공백 등 교육에 있어 배움의 지체와 교육격차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면서, 온라인 수업은 이러닝 방식의 응용을 넘어서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식 및 교육과정을 고려한 통합적 변화를 요구한다. 이와 관련하여 테크놀로지와 교수법, 교과 내용에 대한 상호작용적인 지식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계에서는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활발한데, 교육의 변화에 있어 교사는 핵심이고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급변하는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교사의 신념, 태도 및 가치는 매우 중요하며, 교사의 내적인 신념이나 태도 중에서 교사효능감은 학습자의 성취정도에 일관성 있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성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변인으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이 미치는 교사효능감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효능감은 교사 수준 변인, 학교 수준 변인,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하여 7차년도 경기교육종단연구와 TALIS 2018의 설문지 문항을 참고하여 설문지를 만들어, 경기도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과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판단 위해 Cronbach’s α 계수 확인, 연구 변인의 전반적인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에 대해서 Scheffé의 사후검증,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피기 위한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먼저 교사 수준 변인, 학교 수준 변인,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교사 수준 변인, 학교 수준 변인,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사, 학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수준 변인의 교사배경에서 교직경력이 10년미만 교사보다 20~30년 경력의 교사가, 연령은 20대 교사보다 30~50대 교사가,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특성에서는 개인적 유용성 동기, 사회적 유용성 동기, 교사의 사기와 열의, 교직만족도, 전문성 개발활동 참여, 수업 개선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 학습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차이 있으며, 생활지도 효능감에는 사회적 유용성 동기, 교사의 사기와 열의, 교직만족도, 전문성 개발활동 참여, 수업 개선 활동, 직무 연수 참여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에서는 설립유형, 유치원문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립교사가 사립교사보다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에서는 테크놀로지 지식, 테크놀로지 교수지식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 하위구성요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의 연령, 학력, 유치원문화, 테크놀로지 교수지식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의 연령, 사기와 열의, 학력, 유치원문화, 테크놀로지 교수지식이 나타났다. 생활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의 학력, 유치원문화, 테크놀로지 교수지식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력, 유치원문화, 테크놀로지 교수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으며, 이외 교사의 연령, 사기와 열의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 강화가 필요하다. 교수․학습 상황에 적합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고, 이를 주어진 교실 상황과 특정한 과제 및 교수법에 맞게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테크놀로지 통합 관련경험을 갖도록 TPACK 프로그램을 구조화해야 하고, 현직 교사에게 학습효과가 큰 테크놀로지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연수 등을 확대하여 TPACK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존중과 배려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적인 유치원문화가 정착되도록 교육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유치원은 따뜻하고 안전한 배움의 공간이 되어야 하며, 개방과 협력을 바탕으로 조직구성원들 모두가 교육의 주체가 되고 민주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속에서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민주적인 유치원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가 수업과 생활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교육여건을 조성하고, 교육공동체 모두가 수평적인 관계에서 참여자, 의사결정자, 리더자, 안내자, 협력자, 조력자로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체제를 마련하는 등 민주적인 유치원문화가 정착되도록 교육정책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소통과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유치원 교사의 사기와 열의를 진작시키고 교사의 교직만족도,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환경체제 마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유치원 단위 교사들이 동료성을 바탕으로 함께 교육과정과 수업을 개발하고 실천하며 교육활동에 소통하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함께 성장하는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연구대상의 범위가 경기도 지역 공․사립 유치원교사로 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의 하위요소 테크놀로지 지식(TK), 테크놀로지 교수지식(TPK) 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로, 유치원교사 효능감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TPACK)이 미치는 영향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양적분석 연구방법으로, 유치원 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관련하여 정의적인 측면 등 구체적인 실제를 알아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