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국내 대학 졸업 후 국내 취업에 성공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동기와 취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Title
국내 대학 졸업 후 국내 취업에 성공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동기와 취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he Career Exper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Graduating from Universities and Finding Employment in Korea
Authors
김경남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희
Abstract
글로벌 지식기반경제가 심화되며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해외의 우수 인력 유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가운데, 우리나라에 유입된 유학생의 수는 어느덧 16만명에 달하게 되었다. 정부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많은 수의 유학생이 유입되며 이들의 졸업 이후의 진로에 대한 관심도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폭발적으로 이루어진 유학생 수에 비해 이들의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한 기초적인 데이터와 학문적 연구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을 졸업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이들이 국내에서 취업하고자 한 동기와 취업과정 전반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진로의사결정 이론을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 관련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아주 소수에 불과한 이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국내 취업 경험의 이야기를 담는 것은 자칫 간과할 수 있었던 교육현장의 문제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의 취업을 결심한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국내 취업 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떠한가? 이와 같이 유학국가인 한국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과 관련한 전반적인 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의 전 생애적 관점에서의 진로 및 취업 논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2000)을 활용하여 외국인 유학생 각각의 경험 자체에 관심을 두고 졸업 후 한국에 남아 취업하고자 한 동기와 전반적인 취업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의도적표집 (purposive sampling) 기법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대학 이상의 교육 과정을 마친 후 국내에서 취업한 세 명의 연구 참여자(베트남 출신, 일본 출신, 중국 출신)를 선정하여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면대면, 전화, 서면 인터뷰를 통해 현장텍스트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취업 동기는 그들의 유학 동기와 유사하게 ‘한국을 더 경험하며 성장하고 싶은’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모두 한국어사용과 한국문화에 대한 높은 선호를 가지고 있었고, 이에 따라 출신국에서의 안정성 및 경제적인 기회와 같은 외재적 요인보다 자기성장에 대한 기대와 만족과 같은 내적 동기로 국내 취업을 결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들의 취업 경험은 적극적인 정보탐색에서 시작하여 유학 과정 속 학업을 넘어 취업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졌다. 외국인으로서 부족한 정보와 제한적인 기회 속에서도 주변에 있던 소수의 한국인 친구들의 사회적지지를 기반으로 부적응적 정서문제 해소와 실제적인 취업정보 및 도움을 받기도 했다. 취업 목표를 세우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도전을 멈추지 않았던 참여자들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한국에서의 취업 가능성을 높여 나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 세 명 모두는 국내 취업에 성공할 수 있었고, 학교와는 다른 기업환경에서 적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도 계속해서 자신의 커리어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 문제는 개인의 노력 뿐만 아니라 조직 및 우리 사회에서 함께 성찰하고 논의되어야 할 주제임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 단기적 유치 목표에서 이들의 생애 진로를 고려한 장기적 관점으로 초점을 바꾸어, 이들을 위한 진로 교육 및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차별적 의식 및 행동들을 성찰하고 조직 차원 및 사회적 차원에서 다문화역량 강화 및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의 필요한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 경험을 하나의 시점이 아닌 전반적인 취업과정으로 확장하여 연구했다는 점, 국내의 유학생 취업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소수에 불과한 국내 대학 졸업 외국인의 취업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했다는 부분에서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 더 다양한 국적의 유학생들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으로 개인 및 조직, 사회 및 국가적 차원에서 유학생들을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할 뿐 아니라, 다양한 문제요소를 점검하고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With the emergence of a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 and growing interest in attracting a highly skilled international workforce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Korea has already reached 160,000. Through the government's leading efforts, a larg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came in, and interest in their careers after graduation has gradually been increasing. However, due to the explosiv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fundamental data and academic research on their careers and employment are still lack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tivation and school-to-work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graduated from domestic universities. Based on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s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the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ployment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chose to study in Korea and present educational implications. In addition, it is to be hoped that the voice of the minority in our society has implications for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field that could have been overlooke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motivated international students to decide to get a job in Korea? Second, what is the experience in the domestic employment process as an international student? The overall career exper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was examined and the issues of their career and employment were also analyzed. Using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research approach, I focused on the voice of each international student and deeply explored the motivation to stay in Korea after graduation and the overall employment process.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ree research participants (from Vietnam, Japan, and China) employed in Korea after completing the undergraduate program or higher courses were selected. Also, the field text was comprised of face-to-face, phone, and written interviews from May to July 2020. In the process of the study, I was able to find out that participants could improve career skills through exploring jobs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nd that they continued to develop their careers stay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motivation to get a job in Korea was influenced by their intrinsic motivation to 'experience Korea more and grow.' They all had a high preference for us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decided to get a job in Korea with internal motivations such as self-growth and satisfaction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such as job stability and higher income in their home countries. Second, their preparation for employment was linked to activ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o expand employment opportunities beyond their studies. Despite the lack of information and limited opportunities as foreigners, they could receive practical job information and help from the social support of a small number of Korean friends around them. Research participants who set career goals and did not stop challenging themselves to get a job increased their chances of employment in Korea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rough this process, all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succeed in getting a job in Korea but were greatly struggling to adapt to a business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school.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career issues of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reflected and discuss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in our society as well as at the individual level. With this process in view, a summary of educational implication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ocus from the goal of inflow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the long-term perspective considering their career paths and provide career education and programs for them. Second, our society should reflect on discrimination awareness and support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addition, necessary education at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level, such as strengthening multicultural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skills,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employment exper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the overall employment process, not a single point of time, and explored the career of only a small number of Korean college graduates amid a lack of research on their employment. In the future, it is to be hoped that research on the career path and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of more diverse nationalities will be conducted to establish supportive system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social and national levels. I also hope this paper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check and improve various issues on the care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