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통합 파닉스 및 음운규칙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난독증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통합 파닉스 및 음운규칙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난독증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ynthetic Phonics and Phonological Rule Intervention on the Early yea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yslexia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읽기 능력은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되고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중요한 도구로,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이다. 이러한 읽기 능력은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중요한 과업이지만 특히 학령기에 학업을 성취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자 더 나아가 성인기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및 사회에서의 성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난독증(dyslexia)이란 신경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특정 학습장애로서, 단어재인이 정확하지 못하고 철자와 해독능력이 저조한 것이 특징이다(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 2002). 이런 어려움 때문에 난독증 아동은 지능이 정상 수준이고 적절한 교육환경이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되는 수준보다 낮은 학업 성취를 보인다. 학령기 대부분의 학습이 읽기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등학교 저학년 때 읽기 능력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한 아동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에서 또래보다 뒤쳐질 확률이 증가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읽기 중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난독증 아동의 읽기 중재 방법 중 음운인식과 자소-음소 대응관계를 이용한 통합 파닉스가 효과적임이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문자와 소리에 대한 인식은 읽기 성공의 매우 강력한 예측 인자이며, 통합 파닉스 접근법을 통한 읽기는 자소와 음소가 대응하고 익숙하지 않은 단어를 발음하기 위해 문자와 소리를 혼합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단어의 음운구조를 알게 한다. 이는 의미 단어 읽기 뿐 아니라 무의미 단어까지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계발해 내고, 읽기 실패의 발생률도 낮춘다(Johnston & Watson, 2004). 또한 통합 파닉스 접근법은 철자쓰기 능력의 향상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어 난독증 아동의 읽기 및 쓰기 모두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국내 난독증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에서 통합 파닉스 훈련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보고되었는데, 이는 한글의 특성에 기인한다. 한글의 경우, 음절과 음절의 경계에서 음운변동이 나타나기 때문에 자소-음소 대응관계만으로는 올바르게 발음할 수 없는 단어가 상당수다(김형복, 2004). 특히 1음절 단어의 경우 자소-음소 대응관계가 투명한 표음문자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2음절 이상의 단어의 경우 그 단어의 본래 형태를 밝혀 적도록 표기하는 표의주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이문정, 2004). 이처럼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는 자소-음소 대응관계를 통해 읽을 수 있는 규칙 단어와 비교하였을 때 투명도가 떨어져 불규칙 단어로 분류할 수 있다. 한글 뿐 아니라 여러 언어권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규칙 단어를 읽을 때보다 불규칙 단어(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를 읽을 때 속도 및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애화, 2009; Jared, 1997; Ziegler et al., 2000). 따라서 한글 교육에 있어서 음운규칙 교수의 중요성은 절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 파닉스 및 음운규칙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난독증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1 ~ 3학년에 재학 중인 난독증 아동 14명(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1) 대상자 선정, (2) 사전 평가, (3) 통합 파닉스 및 음운규칙 훈련(총 20회기), (4) 사후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 7명에게는 사전 평가 후 주 2회씩 20회기의 중재를 실시한 후에 사후 평가를 진행하였고, 통제집단 대상자 7명에게는 사전 평가 후 실험집단과 동일한 시간 간격을 두기 위해 10주 후에 사후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에서는 동일한 단어 읽기 및 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평가에서의 집단 간 단어 읽기 및 쓰기 수행력 차이를 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재를 받은 실험집단 내에서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에 단어 읽기 및 쓰기 수행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 방법인 Wilcoxon signed-rank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평가에서는 집단 간 단어 읽기 및 쓰기 수행력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후 평가에서는 집단 간 단어 읽기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단어 쓰기 수행력은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중재를 받은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단어 읽기 및 쓰기 과제 수행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단어 읽기 과제 수행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어 쓰기 과제 수행력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집단 내에서 단어 유형별 수행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단어 읽기 및 쓰기 과제에 대한 수행력을 어휘 유형(자소-음소 일치 또는 불일치 단어, 의미 또는 무의미 단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자소-음소 일치 단어를 제외한 평폐쇄음화, 연음화, 비음화와 같이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단어 읽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의미 단어가 아닌 의미 단어 읽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어 쓰기 과제 수행력은 자소-음소 일치 단어 쓰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외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단어 쓰기에서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통합 파닉스 및 음운규칙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난독증 아동의 단어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특히 자소-음소가 일치하는 단어보다 불일치하는 단어, 즉 음운변동이 나타나는 단어 읽기에 효과적이며, 무의미 단어보다 의미 단어 읽기에 효과적이었다. 반면 단어 쓰기 능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난독증 아동의 읽기 중재로 통합 파닉스 접근법의 효과성을 입증한 국내외 여러 선행연구(김애화, 김의정, 표소래, 2011; 신수정, 강옥려, 2018; Johnson & Watson, 2004)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동시에 음운규칙에 대한 중재를 함께 진행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단어 수준에서 읽기 및 쓰기 중재를 동시에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Reading is the basis of all learning and i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and a tool for acquiring the knowledge necessary for living. Reading ability is not only crucial for anyone regardless of age but is also essential to make academic accomplishment especially in school-age, and furthermore, it can affect effective communication in adulthood and achievement in society. Dyslexia is a specific learning disability caused by neurobiological factors and is characterized by inaccurate word recognition and poor spell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Because of this difficulty, level of intelligence and are provided an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Since reading is carried out throughout most school-age, children who do not acquire the necessary reading skill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re more likely to fall behind their peers in school as they move up school years. Thus, reading intervention must be initiated to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synthetic phonics using phonological recognition and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is very effective for children with dyslexia. Recognition of letters and sounds is a very strong predictor of reading success, and synthetic phonics allows children to learn the phonological structure of words by showing that grapheme and phoneme can respond to each other and that letters and sounds are mixed to pronounce unfamiliar words. This develops the ability to read meaningful as well as meaningless words and decreases reading failures. Also, the synthetic phonics approach can be effective for reading and writing in children with dyslexia since i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spelling and writing ability. Meanwhile, some studies reported that synthetic phonics training did not have effects, which is due to the nature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Hangeul. Phonological fluctuations appear frequently at the boundary between syllables, so there are many words that cannot be pronounced correctly only by the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in Hangeul. While Hangeul is a phonetic writing system with a transparent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for one-syllable words, it also becomes ideographic by clarifying and writing the original form of a word with two or more syllables. According to reports in Korean and several languages, reading irregular words(words with phonological fluctuations) had lower speed and accuracy than reading regular words. Thus, the importance of teaching phonological ru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never be overlooked.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ynthetic phonics and phonological rule intervention on the vocabulary reading and writing ability of dyslexia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13 children with dyslexia enrolled in the first to thi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7) and control group(6).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Selection of subjects, (2) Pre-test, (3) Synthetic phonics and phonological rule training in total 20 sessions, and (4) Post-tes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pre-test, 20 interventions twice a week, and post-test; after pre-test,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had post-test 10 weeks later to keep the same time interval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same word reading and writing tasks were performed in the pre- and post-tests.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word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s between groups in the pre-and post-tests. Also,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word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after they received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group word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s in the pre-tes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d reading performa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post-tes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word writing performance. Second,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 and post- performances of word reading and writing task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d reading task performa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d writing performance.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of pre- and post- word reading and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vocabulary type(words of consistent of inconsistent grapheme-phoneme, meaningful of meaningless wor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y word typ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ding of words applying phonological rules except for words with grapheme-phoneme consistency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meaningful words, not meaningless words. For the performance of word writing tas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words with grapheme-phoneme consistenc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writing words that applied phonological rules. The above results proved that the synthetic phonics and phonological rul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word reading ability of dyslexia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intervention was especially more effective in reading words with inconsistent graphemes and phonemes, i.e., words with phonological fluctuations, rather than words with matching ones, and it was more effective in reading meaningful words than in meaningless words. However, the interven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ildren's ability to write word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supported the results of sever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vious studies tha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synthetic phonics approach as a reading intervention for dyslexia children, and that it includes phonological rule intervention.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research changes in the word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of dyslexia children with by conducting both reading and writing interven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