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T]he garden says it all”

Title
“[T]he garden says it all”
Other Titles
“[T]he garden says it all” : Stoppard’s Utopianism and the Garden in Arcadia
Authors
조주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아카디아』(Arcadia, 1993) 속 자연과 문화,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위치한 ‘정원’이란 개념 및 공간에 투영된 극작가 톰 스토파드(Tom Stoppard)의 독창적 유토피아니즘을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정원과 유토피아니즘의 철학적, 사회문화적, 이론적 분석을 통해 물질, 사상, 인간으로 이루어진 복합적인 생태적 환경인 정원에 집약되어 있는 인물들의 유토피아적 열망을 드러내고, 문제적 공간으로 묘사되고 있는 정원에 내재된 시대적, 사상적, 젠더적 가치체계를 분석한다. 나아가 극 중 인물들이 뉴턴의 결정론이 지배하는 조화와 질서의 세계에서 불가해하고 불규칙한 세계로 이행되는 양상을 통해 스토파드가 자연, 예술, 인간의 ‘이상적’ 관계와 목가적 이상향으로서의 ‘아카디아’를 해체하고 정원을 개인적, 사회적 변화를 위한 사회문화적 (성)정치의 장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서론에 해당하는 I장에서는 그동안 과학과 수학 이론 위주로 진행되어온 『아카디아』의 선행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스토파드의 인간관, 예술관, 자연관을 아우르는 그의 유토피아니즘을 관통하는 핵심 기제로 ‘정원’을 소개한다. 이어서 토머스 모어로부터 시작되어 카를 만하임과 폴 리쾨르에 의해 발전된 유토피아니즘의 계보를 개괄한 후 고전적 유토피아에 대한 스토파드의 비판의식과 그가 제안하는 유토피아니즘의 현대적 양상이 작품 속 정원을 통해 드러나고 있음을 주장한다. 본론1에 해당하는 II장에서는 문화지리학 내 경관 이론을 통해 작품 속 자연과 문화의 변증법적 관계를 드러내고, 인간/예술과 자연/물질 간의 상호침투성에 주목하는 스토파드의 생태적 사유를 분석한다. 먼저 작품 속 정원 논쟁을 통해 과거와 현대의 인물들이 이해하는 ‘자연’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면밀히 검토하고, 유토피아이자 이데올로기로서 정원의 모습이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본다. 동시에 인간과 자연의 의미를 고정시키는 인물들에 대해 스토파드가 가지는 풍자적 시선을 자연에 내재된 프랙탈적 특성을 폭로하는 인물(들)을 통해 설명한다. 이 장의 마지막에서는 알렉산더 포프가 제시한 “the genius of the place” 개념을 활용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을 특정한 관점으로 통합하거나 보편화하려는 인물들의 한계를 보완하고 자연과 문화의 파트너쉽을 제시하는 스토파드의 유토피아니즘을 조명한다. 본론2에 해당하는 III장에서는 정원과 마찬가지로 내부와 외부, 문명과 야생의 경계선상에 위치한 섹슈얼리티와 ‘전이 영역’으로서의 정원의 상관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정원에 깃든 문화적, 정치적 함의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지적 담론이 지배하는 내부 공간에서 가부장 원리가 작동하는 방식과 정원의 외부 공간에서 여성 인물들의 섹슈얼리티가 자유롭게 표출되는 양상을 비교한 후, 고딕-낭만주의 양식으로의 정원 개조에 발맞춰 야생적 섹슈얼리티가 실내로 틈입함에 따라 인물들이 자신의 내부로 섹슈얼리티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추적한다. 이 과정에서 현대 수학/물리학의 프랙탈, 카오스 이론처럼 자연과 섹슈얼리티(에로스)의 통제 불가능성이 오히려 두 세계의 고정적 질서에 균열을 내고 가부장적 질서를 전복하는 변화와 탈주의 가능성을 만들어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장의 마지막에서는 상반되는 두 인물/세계 간의 상호침투가 절정에 이르는 왈츠 장면을 빅터 터너의 리미노이드 이론을 통해 조명하고 젠더/이데올로기의 간극을 상보적이면서도 유희적으로 해결하려는 스토파드의 유토피아니즘을 고찰한다. 결론에 해당하는 IV장에서는 정원과 극장의 공통점을 유토피아니즘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고 스토파드가 현대 관객들에게 던지는 진정한 이상향에 대한 화두를 성찰한다. 이 과정에서 스토파드가 인간과 자연, 여성과 남성 사이의 반목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제3의 사유 지점으로 작품 속에서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범위의 창조적 활동 즉 예술을 제시함으로써 미완의 ‘유토피아’로서의 ‘정원/극장’의 수행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m Stoppard’s unique utopianism in Arcadia(1994) via the English landscape “garden” which locates in between nature and culture, the inner and outer space. By transporting characters from Newton’s deterministic universe to an incomprehensible and irregular sphere, Stoppard not only deviates from the idyllic Arcadia, but also deconstructs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rt, and human. Thus, I argue that Stoppard presents the garden as a sociocultural and (gender) political site in which the individual and social transformations continuously take place. By providing a philosophical, sociocultural, an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link between the garden and utopia(nism), I examine the landscape and gender ideologies as well as human’s utopian aspirations projected onto the garden, along with the complex ecology of the garden. In the first chapter, I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Arcadia which mostly revolves around the scientific and mathematical theories, and introduce the “garden” as a key topic/space encompassing Stoppard’s perspectives on the human, art, and nature. I, then, situate the play within the geography of utopianism which began with Thomas More and later developed by Karl Mannheim, Paul Ricœur, and others, and claim that Arcadia—which deals with a problematic garden and “carnal embrace”—functions as Stoppard’s critique of the classical utopia, and hence an embodiment of his modern aspect on the utopian(ism). The second chapter reveal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 by applying the landscape theory used in cultural geography and emphasizes Stoppard’s ecological viewpoint in regards to his portrayal of the interconnectivity and interpenetration between human/art and nature/material. I first illustrate different perspectives characters have on “nature” and insist that the garden works both as a utopia and ideology as seen from the variated debates on garden throughout the centuries. Also, by revealing how Stoppard incorporates fractal properties inherent in nature to the play, I delineate his satirical and critical stance on the Euclidean/Newtonian universe which fixates nature and humans within a particular point of view. At the end of this chapter, I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Stoppard utilizes Alexander Pope’s concept of “the genius of the plac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characters and materialize his utopianism which indeed highlights a partner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art). The third chapter delves into the gender political implications embedded in the garden by concentrating on the “sexuality” which also locates on the border of civilization and wilderness, indoor and outdoor as the garden. I first contrast the internal space dominated by the intellectual discourse and patriarchal order with the external garden in which female characters’ sexual desires are freely expressed. Particularly, alongside the renovation of the outdoor garden into the Gothic-Romantic style, I explain how the uncontrollable, unpredictable nature and sexuality permeated into characters’ bodies and the interior not only creates a rupture in the dichotomy of the two separate realms, subverting the patriarchal order but also opens up the possibility for change whereby the creative erotic force generates more horizontal and democratic relationships among them. Furthermore, while interpreting the double waltz through the lens of Victor Turner’s concept of “liminoid,” I demonstrate that Stoppard fulfills his utopianism by building communitas between distinct characters/worlds with the playful and aesthetic ritual/play/performance. In the final chapter, I point out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garden and theatre and assert that these two spaces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Stoppard’s idea on the utopia(nism). By foregrounding a wide spectrum of creative activities that attempt to transcend one’s loss, gravity, and the ultimate “death,” I conclude that Stoppard “celebrates” humans’ utopian and erotic impulse to transform themselves and each other with their incessant artistic endeavors including gardening/acting. In this sense, garden/theatre becomes a precarious but “imminent” utopia where neither nature nor humans remain the same and constantly evolve to form a partnership with the 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