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교육체험 강화를 위한 스마트뮤지엄 전시공간디자인 연구

Title
교육체험 강화를 위한 스마트뮤지엄 전시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mart Museum Exhibition Design for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Experience
Authors
황정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정아
Abstract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가 도래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우리 생활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며 교육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이와 함께 과거 단순한 지식 전달 중심의 교육이 아닌 새로운 지능형,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평생교육 기관인 뮤지엄도 큰 변화를 맞이하며 디지털 기술과 전시콘텐츠가 융합된 ‘스마트 뮤지엄’ 구축 프로젝트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뮤지엄 전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이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하여 활용되는 교육콘텐츠로, 미래 지향적 뮤지엄 전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학회 저널에서 교육체험 강화를 위한 온라인 뮤지엄 전시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맥락적 학습 측면에서 온라인 뮤지엄 전시의 교육적 체험을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학회 저널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시가 통합된 스마트 뮤지엄 전시에서의 교육적 체험 강화를 위한 디자인 방향 제안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 Ⅱ장에서 국내·외 문헌연구와 뮤지엄 사이트를 통해 뮤지엄의 역할 변화와 교육을 바탕으로 스마트 뮤지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또한, 뮤지엄 교육이론인 맥락적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교육체험 강화를 위한 스마트 뮤지엄 전시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맥락적 학습 측면에서의 스마트 뮤지엄 전시디자인 특성을 개인적 맥락에서 개별 맞춤성,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상호작용성, 물리적 맥락에서 관람성, 이동성, 정보성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에서 나타나는 관람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이후 제 Ⅲ장에서 스마트 뮤지엄 구축을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시뿐만 아니라 모바일을 활용한 스마트 전시 관람을 지원하는 뮤지엄 상설전시 3곳과 이와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뮤지엄 기획전시 3곳을 선정하여 국내 국공립 뮤지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종합을 통해 국내 국공립 뮤지엄의 기획전시는 상설전시와 비교해 맥락적 학습 측면에서 스마트형을 위한 교육적 체험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제 Ⅳ장에서는 교육체험 강화를 위한 스마트 뮤지엄 전시디자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그에 적합한 전시를 선정하고, 앞선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에서 도출한 맥락적 학습 측면에서의 스마트 뮤지엄 전시디자인 특성인 개별맞춤성, 상호작용성, 관람성, 이동성, 정보성의 개념을 전시 맥락에 적용하며 기존 전시공간의 리노베이션을 전개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적 체험 강화를 위한 스마트 뮤지엄 전시디자인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체험 강화를 위한 스마트 뮤지엄 전시디자인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체험 강화를 위해 스마트 뮤지엄 전시는 개별 맞춤성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맞춤화된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인이 정보를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는 선택적 정보수집 요소와 반응적 정보수집 요소를 지원하여 디자인해야 한다. 둘째, 사회문화적 맥락 측면에서 학습자-학습자, 교수자-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성을 강화하기 위해 공유요소와 학습요소를 균형 있게 제공하여 디자인해야 한다. 셋째, 물리적 맥락 측면에서 관람성, 이동성, 정보성을 균형 있게 균형 있게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시물을 자유롭게 조작하고 관찰 및 탐색할 수 있는 적극적인 관람요소를 제공하고, 자연스러운 관람과 특정 공간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는 연속적 이동요소와 불연속적 이동요소를 제공하며, 그리고 공간적 요소와 연출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시공간 및 전시물의 정보인지를 지원하는 디자인을 해야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 뮤지엄 전시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 할 수 있었고 맥락적 학습 측면에서 스마트 뮤지엄 전시의 교육체험을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스마트 뮤지엄 전시디자인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echnology has greatly affected our lives and changed the educational paradigm. Therefore, the need for new intelligent and customized education has become important. For that reason, Smart museum exhibitions have attracted more public attention as a new method of museum education with th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The researcher worked on ‘A Study of Online Museum Exhibition Design for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Experience focus on Falk and Dierking's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in an acacdemic journel research. This study intended to specify how to reinforc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online museum exhibitions, based on Falk and Dierking's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Based o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continue her research on exhibition of smart museums on specifying how to reinforce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Chapter Ⅱ, theoretical reviews, regarding the changing role and education of museums, smart museum exhibitions, the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and smart learning, were conducted. Based on Falk and Dierking's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mart Museum Exhibitions were developed, which is personalization, interaction, viewing, mobility, information characteristic. These f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online’, ‘offline’, and ‘smart’ types of exhibition viewing. With these,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Chapter Ⅲ, three permanent exhibitions that support not only online exhibitions and offline exhibitions but also mobile service that supports smart museum were selected for case analysis. Also, the researcher selected three more temporary exhibitions to compare with permanent exhibitions. Through case analysis, the temporary exhibition of the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 Korea lacked educational experience for ‘smart type’ in terms of contextual learning compared to the permanent exhibition. In Chapter Ⅳ, a suitable exhibition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Renovation of the existing exhibition was carried out by applying five characteristics that derived from previou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ccordingly, a smart museum exhibition design plan was proposed to reinforce educational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smart museum exhibition design in terms of contextual learning to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experience is as follows. First, smart museum exhibitions require personalized services to build an educational environment tailored to individuals in terms of personal context. Second, in terms of socio-cultural aspects temporary exhibitions of smart museums require services to share experiences to intereact with learners. And it also requires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various platforms. Third, in order to support viewing behavior in smart exhibitions in terms of physical context, viewing elements, mobility elements, and information element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hrough this study,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e educational value of smart museum exhibitions. And also learn about smart museum exhibition design direction to reinforce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terms of contextual learning. Therefore, this work is significant as a basic study of smart museum exhibition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