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Tendencies of Bookstore Space Design as ‘The Third Place’
Authors
박새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정아
Abstract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겨난 소통의 단절, 디지털 중독, 인간소외 현상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지친 현대인들은 스마트 기기 속 온라인 공간에서 벗어나 색다른 경험을 하고, 편안하게 휴식하며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인‘제3의 공간’을 찾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서점은 판매공간을 넘어서 다양한 콘텐츠를 담은 책을 중심으로 체험과 커뮤니티를 제공하는‘제3의 공간’으로 그 기능과 의미가 새로워지고 있다. 연구자는 학회 저널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공간 디자인 경향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학회 저널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제3의 공간’특성을 가진 서점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향후‘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 공간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에 대한 논의를 위해 제 Ⅱ장에서 ‘제3의 공간’과 서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 후,‘제3의 공간’개념의 토대가 되는 레이 올든버그(Ray Oldenburg)의 개념과 그가 제시한 8가지 특성을 정리하였다. 그 후 ‘제3의 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제3의 공간’의 특성을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 개방성, 영역성, 체험성, 공간 이용적 측면에서 접근성, 편안성, 유희성으로 정리하여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제Ⅲ장에서 공간 구성적 측면에 한정하여 서점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후 제 Ⅳ장에서 2015년 이후 생겨난 8개의 국내․ 외 서점의 공간 프로그램과 ‘제3의 공간’특성 중 공간 구성적 측면인 개방성, 영역성, 체험성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첫째, 서점 공간은 접근의 편의성이 뛰어난 곳에 위치하여 물리적 개방성을 확보하며, 투명한 유리 파사드로 외부와 내부의 시각적 교류를 유발하는 시각적 개방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시야를 가려주는 높이의 서가나 벽으로 둘러싸인 좌석과 같은 수직적 경계로 물리적 영역성을 형성하며, 다층적 층위의 변화와 같은 수평적 요소를 통해 인지적 영역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서점마다 다른 공간 컨셉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엔터테인먼트, 교육, 현실도피, 미적 체험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최근의 서점 공간이 ‘제3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제 Ⅴ장에서는 디자인 모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에서 도출한 서점의 공간프로그램과‘제3의 공간’특성 중 공간구성 측면에서의 개방성, 영역성, 체험성을 대상지 맥락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공간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제 Ⅵ장에서 도출된‘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 공간디자인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교통의 중심지나 일상적 커뮤니티의 거점이되는 접근성이 뛰어난 건물의 1층 또는 지하 1층에 위치하여 외부공간으로부터 물리적 접근의 편의를 지원해야 한다. 또한 서점의 진입공간에 투명한 경계인 유리 파사드를 적용하여 내·외부의 활발한 시각적 교류를 유도하는 개방적 경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둘째, 공간을 둘러싸는 수직적인 서가의 다양한 형태와 높이를 통해 공간을 분할하고 그안에 다양한 형태의 착석공간을 배치하여 집중하고, 휴식할 수 있는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좋으며, 바닥면의 높낮이 조절로 나타나는 수평적인 경계를 통해 인지적 영역성을 형성하여 계단공간과 같은 동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공간을 계획하여 오랜시간 머무를 수 있는 공간적 환경을 조성헤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희성을 강조하기 위해 주로 서적 콘텐츠와 연계된 도서 체험형 이벤트와 같은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프로그램을 강화하여 4가지 체험요소가 한 공간에 종합적으로 나타나 사람들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본 연구는‘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공간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근 서점공간은 단순히 책만 파는 공간을 넘어 다양한 체험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며 누구에게나 열린 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서점에서 나타나는‘제3의 공간’적 특성을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제3의 공간’적 특성을 공간 구성측면과 공간 이용측면으로 나누어 도출하였고, 공간 구성측면인 개방성, 영역성, 체험성을 실제 공간에 적용하여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공간 모형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에 활기를 부여하는 ‘제3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서점의 공간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지며 향 후‘제3의 공간’으로서 공간 이용적 측면에서의 후속 연구를 기대하며 본 연구를 마친다.;Tired of social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digital addiction, and alien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odern people have begun to find‘The Third Place’an offline space where they can experience different things, relax, and communicate with people. As a result,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bookstores are being renewed as‘The Third Place’that provides experiences and communities centered on books containing various contents beyond the space of sale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on the design trend of bookstore space as‘The Third Place’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rough the Academic Journal. In this study, based on academic journal research,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a bookstore with‘The Third Place’and to propose a bookstore space design as‘The Third Place’in the future. To discuss the bookstore as‘The third place’this study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The third place’and bookstores in Chapter II and then summarized Ray Oldenberg’s concept and eight characteristics, which became the basis theory for‘The third place' After that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penness, territoriality, experientiality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and organized into accessibility, comfort and amusement in terms of space usage. This analysis framework was derived and among them, spatial design trends in bookstores since 2015 were analyzed only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in ChapterⅢ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first, the bookstore space is located on the first floor or basement of a building with excellent accessibility to secure physical openness and visual openness that causes visual exchang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with transparent glass. Second, it forms physical territoriality with vertical boundaries, such as high-height shelves or walled seats, which cover the view when seated and it forms cognitive territoriality through horizontal elements, such as changes in height. Third, each bookstore could form entertainment experiences, educational experiences, escape reality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with different concepts in different space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see that the recent bookstore space was playing a role as‘The Third place’ In Chapter Ⅴ, The researcher selected a target site to conduct design model research and developed a design model by applying openness, territoriality, and experience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among the spatial programs of bookstores deriv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The suggestions for the bookstore space design as a 'third space' derived from Chapter VI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physical openness, it should be located on the first floor or the first basement floor of a building with excellent accessibility to support the convenience of physical access from external spaces. In addition, glass facades, which are transparent boundaries in the entry space of bookstores, shall be applied to induce active visual exchanges inside and outside to form open boundaries. Second, it is recommended to divide the space through various shapes and heights of vertical bookstores surrounding the space and place various types of seating spaces in them to provide a comfortable space for concentration and relaxation. It should create a spatial environment that can stay for a long time by designing a space that forms a dynamic atmosphere by forming a cognitive domain through horizontal boundaries that appear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loor surface, such as stair space. Finally, to emphasize entertainment, experience element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pace programs to support various activities, such as book-experience events, mainly related to book content, and designed as a space for people to enjoy through various space program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design of bookstore space as a 'third space'. Recently, bookstore space has become an open cultural space for anyone, providing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rest areas beyond just selling books. Following this trend,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e ‘The Third place' characteristics of bookstor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In response, the researcher derived the ‘The Third place'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spatial composition and space usage aspects, and proposed a bookstore space model design direction as‘The Third place' by applying openness, territoriality, and experience to the actual spac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spatial design direction of the bookstore, which serves as 'The third place' to revitalize the city, and is expected to follow up on the spatial aspect as a 'third space' in the future as 'The third pl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