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2 Download: 0

땅에서 땅으로

Title
땅에서 땅으로
Other Titles
From the Earth(땅) to the Earth(땅) : To the Open World
Authors
임건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intention to encourage people to break away from worldly illusion that mankind came to live in, and to search for the underlying fundamental truth of the world that allows our existence. Bounded by social conventions, today’s society ignores the importance of contemplating and pursuing the meaning of life. Everyone seems to have accepted the social norms without posing any questions while paying attention only to things that are obvious and easily perceivable. People claim that they are willing to endure today’s hardship because better days are ahead, but when will the better future emerg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amine the modern people and their mindset that leads to meaningless certainty towards a bright future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universe. Firstly, The researcher considered “extrinsic thinking” that distances people from the truth about our lives. Extrinsic thinking is an egocentric worldview in which all things are perceived only from a human’s perspective. Extrinsic thinking, which begins with comprehending an object based on logic and reason, ultimately leads to the obsession for materialism and loss of humanism. The study of extrinsic thinking, the tendency to understand all objects through rationalism, is the foundation to my suggestion about our existence and the true life. When a person lives one’s life depended on extrinsic thinking, the inner values of a person are easily overlooked. This is because, a person loses the true meaning of life as he or she only appreciates only the immediate results. The researcher found an example in a commonly used word ‘Earth(땅)’. ‘Earth(땅)’, which is an old writing of Earth(땅), encompassed the purposeful meaning of ‘a place’.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word, Earth(땅), is used as a more general term that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planet Earth. ‘Earth(땅)’ only describes earth as it is without any purposeful meaning. Although the written word and its definition changed over time, our perception of the word ‘Earth(땅)’ still remains the same, as a object that can be possessed, and the truth about ‘Earth(땅)’is forgotten. In an effort to uncover the reasons for widespread extrinsic thinking throughout humanity, the researcher explored Henry David Thoreau’s philosophy and Lao-tzu’s Daoism. Thoreau suggested that we must 'wake up' towards a world that is open to people. This is in line with the way of life suggested by Lao-tzu throughout Daoism. Based on the theories of Thoreau and Lao-tzu, the researcher attempted to reveal that 'awakening' can be our first step towards the true world. Furthermore, the researcher questioned whether pursuing man-made values ​​such as judgments, prejudices, and social norms could be connected with the ideal future. Although modern people yearn for a better future, it seems that they are moving away from it.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how mankind exists in this universe through the artworks. The artworks implicitly ask the question of what the true way of living one’s life is. They also discuss what makes us, humans, different from all non-human beings that we consistently neglect, if we are different, or whether we are so similar that we wish to be different. As a result, the work was focused on illustrating our life from an outsider’s perspective. Through this dissertation, the researcher attempted to pose a question about the ultimate goal that mankind seeks. Caught in their own rules and thoughts, modern people failed to awaken toward the opened world. The researcher hope they come to realize that there is a world that exists before our own existence.;본 연구는 우리가 잊고 살아가고 있는 근본적인 세상에 대해 인지하고, 이를 향해 깨어나야 함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로부터 시작되었다. 현 사회는 통념이나 관습에 얽매인 나머지 스스로 삶의 깊은 의미를 찾아내거나 추구하고자 하는 문제는 뒷전으로 물러나 버렸다. 사회에서 중시하는 체계를 비판 없이 받아들여 겉으로 외면적 요소에만 신경 쓰는 것이 주 관심사가 되어버린 것처럼 보인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현재를 견디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대체 어느 시점의 미래를 위하여 살아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인가. 세상의 근원적인 원리를 바라보기보다는 현재에 안주하거나 더 나은 미래에 대해 확신을 하고선 조금이라도 더 잘살아 보자고 생각하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현주소를 묻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우선 현대인을 참된 삶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원인으로 파악되는 외적 사유를 살펴보았다. 외적 사유란 세상과 세상의 모든 존재를 자기 앞에 놓고 인간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물의 형상을 이성이나 논리적 타당성에 근거하여 인식하는 데에서 출발한 외적 사유는 물질성의 추구와 동시에 인간성의 상실로 이어졌다. 사물을 합리주의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외적 사유에 관한 탐구는 본 연구자가 존재와 참된 삶에 관해 제안하고자 하는 바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었다. 외적 사유에 치우쳐 삶을 살아가게 되면 내면적 가치는 쉽게 외면되어 버린다. 근본적인 것을 뒤로한 채 당장 눈앞에 나타나는 결과에만 신경을 쓰고 존재의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지 못하게 되면 참된 삶은 점점 멀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중 ‘땅’에서 그 예시를 찾을 수 있었다. 땅의 옛말이었던 ‘땅’은 ‘자리’라는 뜻으로 땅에 대한 목적성이 담긴 단어였다. 반면 현재 사용되는 ‘땅’은 지구의 표면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땅’은 땅이라는 존재를 있는 그대로 바라볼 뿐 목적을 지니고 있지 않다. 그런데도 우리의 사고는‘땅’에 머무른 채 ‘땅’으로부터 멀어져, 진실이 잊혀가는 것처럼 보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찾아보고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노자의 도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소로는 사람들에게 열려있는 세상을 향하여‘깨어나야 함’을 제안했다. 열려있는 세상은 도가에서의 무(無)의 세계이다. 노자는 도 개념을 전개하며 존재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 무의 세계를 바라보는 삶의 방식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소로의 주장과 맥락을 함께한다. 이들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연구자는 ‘깨어남’이 참된 세상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인류가 만들어낸 가치판단, 편견, 규범 따위의 것들을 좇는 것이 이상적인 미래와 과연 연결될 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현대인들은 더 나은 미래를 원한다고 외치면서도 사실상 그와 멀어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인류가 세상에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고 있는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삶을 참되게 사는 것인가 하는 질문을 내포한다. 그리고 인류가 등한시하는 인류 외의 존재들과 우리가 과연 무엇이 다른지, 다른 점이 있는지, 혹은 너무나 유사하기에 다르길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논한다. 그 결과 연구자는 제삼자의 시선으로 우리의 현 모습이 어떠한지를 형태로 표현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인류가 추구하고 있는 목표가 과연 무엇을 위함인지에 관한 질문을 던지고자 시도하였다. 스스로가 만든 목표와 틀에 갇혀버린 나머지 사람들은 우리를 향해 열려있는 세계를 마주하지 못하고 있다. 그들에게 우리의 존재 이전에 존재하는 세상이 있음이 환기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