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두경부암환자의 연하재활을 위한 대면-비대면 가창중재사례 비교

Title
두경부암환자의 연하재활을 위한 대면-비대면 가창중재사례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online versus face-to-face singing-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in swallowing rehabilitation
Authors
우혜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두경부암 환자에게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연하발성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재구성한 음악중재를 제공하여 세션제공방식에 따른 연하기능의 변화와 참여경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의 S병원에서 두경부암 진단 및 의학적 처치를 받은 환자 4명으로 주 1-2회 30분씩 12회기 중재에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개별 참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 및 경부의 마비 이완을 위한 PSE기법과 발성 중 저음에서 고음으로의 음고이동이 후두근의 상승을 유도하여 후두개 폐쇄를 통해 삼킴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를(Kim, 2010) 토대로 재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S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진단 및 의학적 처치를 받은 후 외래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로 주치의에 의해 의뢰되었으며, 사전 면담에서 대상자들의 의사에 따라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프로그램 참석을 결정하였다. 사전-사후 연하기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재활의학과에서 실시한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 결과와 Praat 프로그램을 통한 후두교호운동속도(L-DDK) 및 음성의 질(jitter, shimmer)을 평가하였으며, 중재 참여 이후 대면 또는 비대면 세션제공방식에 따른 참여경험을 비교하기 위해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면 및 비대면 그룹 간 연하기능 비교 시 두 그룹 모두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참여경험 비교 시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기능변화와 즐거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션참여에 영향을 주는 환경에 대한 범주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환자의 선호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세션의 형태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대면 세션 뿐만 아니라 비대면 세션에서도 제공될 음악치료의 보완 및 확장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 and changes in swallowing function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rough a singing intervention program using music-based voice protocol.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based on the previous study(Kim, 2010), and designed to improve breathing, phonation, and swallowing functions focusing on laryngeal elevation. Fou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o compare online and face-to-face. They received an individual music therapy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measurements were used. First, Swallowing function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VFSS test performed at the hospital. Second, the measures of laryngeal-diadochokinesis rate(L-DDK), jitter, shimmer by Praat test to investigate laryngeal function and voice quality were analyzed. And last, the therapist compared face-to-face and online group through post-interviews. The results of dysphagia function, laryngeal function and voice quality showed that both groups improved. Post-interview results show that face-to-face groups and online groups showed similar responses in the private category, and differed in the environment category.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supplement and expand online music therapy as well as face-to-face form so that various session types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atient’s environment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