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숨 쉬고 순환하는 점

Title
숨 쉬고 순환하는 점
Other Titles
Breathing and Circulating Dot : A Study on Suhaeng-Seong(修行性) Through the Repeated Expression of Dot
Authors
임율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If you look at the seeds of plants that you can see in nature, you can see the shape of the dots. Seeds are small circular dots with infinite energy that seemingly do not know what they will grow into. By observing the shape of dot from seeds and soybeans in nature, I felt infinite vitality from small seeds and selected dot as a material for art work. I simply repeated the dots with japanese ink and proceeded with the art work. Repetition is a phenomenon of harmony that appears in the order of natural circulation that we often see. After seeds germinate, flowers bloom and fall repeatedly.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seasons repeat every year. The Sun rise and set. Living things repeat birth and death, and the blood of the body circulates repeatedly. The heart also beats repeatedly. As in Chapter 40 of Lao-tzu(老子)'s‘Tao Te Ching (道德經)’"The Return is the Movement of Tao(道)", All things go through the seasons and repeat the cycle of returning to their original place according to the providence of nature. At the beginning of making dots in the process of my work, I drew the shape of the dots consciously. However, as I drew dots repeatedly, I suddenly forgot myself concentrating on the shape of the dots that appear on the korean paper by shading control of the brush and concentrating on the harmonization of the dots that the japanese ink spreads and permeates, and I found myself drawing dots without any thoughts. The more I was absorbed in the expression of dots through repetition in my work, the more I became forgetful of myself. 'Suhaeng(修行)' refers to the effort to focus on only one thought and prevent other thoughts from arising. The repetitive expression of dots may be simple labor, but I focus on the repetitive action that pursues formativeness and forget myself for a while, I knowingly find the peace of mind and the pleasure of artistic activity, and I also get the effects of self-cultivation and meditati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xperiencing absence of ego by repeating dot, Mua-Jigyeong(無我之境, a spiritual state of perfect selflessness) is a term that refers to a absence of ego in which the mind is immersed in one thing and forgets myself. It is a state of freedom and peaceful mind, free from all thoughts and worries. In the process of art work, my mind was immersed in work, and I got out of all the worldly thoughts and felt at ease. In the formative analysis of the work, I explained the formative features displayed in the work by dividing into the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of dots, the accidental effect, the direction of the sequence. First of all, based on the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of rice dots(米點皴) and rain dots(雨點皴) in my work, I drew various shape of dots in nature such as seeds and beans. As the material characteristic, I used Shunji, which is the thinnest type in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the japanese ink and glue water. I used the japanese ink and glue water to express the incidental effect. Then, the dot were spread on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due to the effect of spreading, and the surface was made. At this time, the dots-spreading surface was left as it is, or on the surface, the dark dots of ink were overlapped to revive the shape of the dots. In this way, I observed traces and spreading of ink soaked on korean traditional paper, and tried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of dots by shadow expression of japanese ink. In the direction of the sequence, I tried a method of dividing the korean paper into several squares through 'Batjun(田) play' and not dividing the paper for fun and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I also explained instructional direction and random direction separately. In the instructional direction, I used the method of drawing a picture by folding traditional korean paper to several squares, and by setting the order to each cell, and setting a certain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and top to bottom. As another method, without separating the cells, I tried to draw random dots on one sheet, but I drew dots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in the random direction, I tried to draw a picture by folding traditional korean paper to several squares, randomly assigning the order to each cell, and filling the cells according to the order. For the expression and analysis of the work, I tried to analyze the process and expression method of drawing while repeating dots through several works of myself. And in the conclusion, I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summarized and described the experiencing absence of ego and formative techniques and expressions method by repeat of dots.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my work process and formative expression method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ot, repetition, Suhaeng(修行), and by examining Suhaeng–Seong(修行性, experiencing absence of ego) through repetition of dots appearing in painting, and artists cases.;자연 속에서 볼 수 있는 식물들의 씨앗을 보면 점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씨앗은 겉보기에는 어떤 존재로 성장할지 알 수 없는 무궁무진한 에너지를 가진 원형의 작은 점들이다. 자연 속 씨앗, 콩에서 점의 형태를 관찰하고, 작은 씨앗에서 무한한 생명력을 느끼게 되어 점을 작업의 소재로 선택하게 되었다. 본인은 수묵으로 점을 단순하게 반복적으로 표현을 하며 작업을 진행하였다. 반복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조화의 현상이다. 씨앗이 발아되어 꽃이 피고 지는 것을 반복하며, 봄·여름·가을·겨울 계절이 반복되며, 해가 뜨고 지고, 생명체는 탄생과 죽음이 반복되고, 신체의 혈액도 반복적으로 순환하며, 심장도 반복적으로 뛴다. 노자의 「도덕경」 제 40장에서도 ‘되돌아감이 도의 움직임입니다.’라는 말처럼 만물은 자연의 섭리에 따라 계절을 거치면서 다시 본래의 제자리로 돌아가는 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본인의 작업과정에서 점을 찍기 시작할 때에는 의식적으로 점의 형태를 만들어 갔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점을 찍다 보면 어느새 자신을 잊은 채 한지 위에 붓의 농담조절로 나타나는 점의 모습과 수묵이 번지고 스며드는 점들의 어우러짐에 집중하게 되면서 아무 생각 없이 점을 찍게 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인은 작업에서 반복을 통한 점의 표현에 몰입할수록 점점 내 자신을 잊게 되는 수행적 태도를 갖게 되었다. 수행이란 오로지 한 생각에만 집중하여, 그것 외에 다른 생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노력을 뜻한다. 점의 반복적 행위는 단순한 노동일 수 있지만 조형성을 추구한 반복행위에 집중함으로써 잠시 자신을 잊어버릴 정도로 몰입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마음의 평정과 예술 활동의 즐거움을 찾게 되어 자기수양과 수행의 효과도 얻게 된다. 점의 반복에 의한 수행성의 이론적 근거로 무아지경(無我之境)은 정신이 한 곳에 몰입되어 스스로를 잊어버리는 무아의 경지를 가르키는 말로, 어떤 대상에 완전히 몰입된 상태 즉, 모든 생각과 근심걱정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평안한 마음상태를 말한다. 작업의 과정에서 정신이 한 곳에 집중되어 나를 잊어버리는 상태에서 모든 잡념에 벗어나 마음이 편안해지기도 한다. 작업의 조형적 분석에서는 점의 조형적 표현기법과 우연적 효과, 순서의 방향성으로 나누어 작업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였다. 먼저 본인의 작업은 미점준(米點皴)과 우점준(雨點皴)의 표현기법을 사용하고 씨앗, 콩과 같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점의 형태를 그렸다. 재료적으로는 한지 중에 두께가 가장 얇은 종류인 순지와 먹과 아교물을 재료로 사용하였다. 우연적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한지 위에 먹물과 아교물을 희석하여 붓으로 점을 찍으면 점들이 한지에 번져 면이 되기도 한다. 이때 점이 번진 면을 그대로 두기도 하고, 그 면 위에 다시 수묵의 농도가 짙은 점을 겹쳐 그려 점의 모습들을 되살리기도 하였다. 이렇게 수묵이 한지에 스며드는 흔적과 번짐을 관찰하고 먹물의 농담표현을 통해 점의 다양한 조형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점을 찍어가는 순서의 방향성에서는 재미있고 다양한 조형적 표현을 위해 밭전놀이를 응용하여 한지를 밭전(田)자 형태로 칸을 나누는 방식과 나누지 않는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또한 지시적 방향성과 무작위적 방향성을 나누어 설명하였다. 지시적 방향성에서는 한지를 접어서 여러 개의 네모 칸을 만들고 각 칸에 순서를 정해서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방향을 정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식과 칸을 구분하지 않고 한 면에 자유롭게 무작위로 점을 찍어 나가되 상하, 좌우 방향성을 정해 그려 보았다. 그리고 무작위적 방향성에서는 한지를 접어서 여러 개의 네모 칸을 만들고 각 칸 안에 순서를 무작위로 매겨서 그 순서에 따라 칸을 채워 그림을 그려나가는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작품 표현 및 분석에는 본인의 여러 작품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점을 찍어나가면서 그려지는 과정과 표현 방법을 분석해보고, 결론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되짚어 보며 점의 반복에 의한 수행적인 태도와 조형적 기법과 표현에 대해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본 논문은 점, 반복, 수행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회화에서 나타나는 점의 반복을 통한 수행성 및 작가사례를 알아보고, 본인의 작업과정 및 조형적 표현방법을 정립하는데 의의를 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