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중국 내 음악치료사들의 직무실태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중국 내 음악치료사들의 직무실태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Music Therapists in China
Authors
HUANG, QIRU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내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실태와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설문지는 크게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직무실태, 직무만족도까지 총 3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중국내 음악치료사들의 직무실태와 이들이 인식하는 직무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의 직무실태 특성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고용형태의 경우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근무 기관은 병원 및 의료기관이 가장 높았고, 자격증 소지자는 타국인에 비해 중국 내에서 3.7배 적었다. 월평균 소득의 경우, 170만원(1만위안)이상이 가장 높았다. 근무지 내 동료 음악치료사의 인원은 가장 적은 1명이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하루 근무시간은 7~9시간 이내로 한국 평균 하루 근무시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간 내에서 수퍼비전을 제공받지 못한 수는 무려 7할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경험이 있는 응답자 수는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지만 ‘의무적 참여’가 자발적 참여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타 분야와 협력 현황에서는 ‘분야협력 기회가 없음’이 가장 높았으며 기회가 있던 경우에서는‘사례회의 참여’가 가장 높았지만, 진행 사항에 대해서는 치료 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례회의를 진행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 만족도의 하위 영역 중 ‘직업의 가치/의미에 대한 인식’부분이 가장 낮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경력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사후분석 결과를 살펴본 결과,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음악치료사의 만족도가 월등히 높았다. 고용 형태가 정규직일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음악치료사 수가 4명 이상일 때 가장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크게 두 가지 영역에서 논의점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직무 실태에 관한 세 가지 논점은 다음과 같다. 중국 내 음악치료사 고용 형태에서 비정규직이 가장 많은 수치를 보인다고 제시한 선행연구들과는 반대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통계적으로 음악치료사로 종사하고 있는 인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한국, 미국 등의 나라들과 달리 전체 음악치료사들을 관리하는 통합된 기관이 부재함으로 중국 내 음악치료사들의 인원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다양한 표집 방법을 통해서 참여자들을 모집한 본 연구와는 달리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특정 기관에서 배출되는 음악치료 전문가만을 대상으로 했을 수 있기에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을 수 있다. 또한, 선행연구 수행 이후 음악치료사들의 정규직 고용 형태가 증가하였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음악치료사의 자격증 상황을 살펴보면 중국 음악치료사 대부분이 중국 내 자격증을 취득하여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취득한 음악치료 학위 및 자격증에도 불구하고 자격증 유형에 따른 급여 수준이 높지 않았다. 즉, 중국내 음악치료 교육과정이나 해외 교육과정이 차별화되지 않는 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볼 수 있다. 그 외 비정규직 및 정규직의 급여 수준은 고용형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분포가 동일하게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정규직 60명과 비정규직 58명을 비교한 결과 고용형태와 월수입간의 관계는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반드시 급여 수준이 높은 것은 아니며, 특히 비정규직의 경우 진행하는 월 세션 수가 다르므로 세션별 수입을 중심으로 조사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job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music therapists in Chin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par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Statistic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job conditions of music therapists in China and their perceived job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job condi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employment type, the ratio of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was similar. Hospitals and medical institutions had the highest number of working institutions, and the number of license holders in China was 3.7 times less than that of foreigners. In the case of average monthly income, 1.7 million won (10,000 yuan) or more was the highest. The number of music therapists in the workplace was the smallest, with one having the highest response. Working hours per day ranged from 7 to 9 hours, similar to the average working hours in Korea. The number of those not provided with supervision within the period accounted for 70% or more. Although the number of respondents with experience showed a high percentage, 'compulsory participation' showed higher results than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status of cooperation with other fields, 'No opportunity for field cooperation' was the highest, and 'Participation in case meeting' was the highest when there was an opportunity.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case meetings were not held for progress except for setting treatment goals. Moreover, among the sub-domains of job satisfaction, the 'recognition of the value/meaning of the job' showed the lowest average. After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post-mortem analysis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experience, the satisfaction of music therapist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higher the employment typ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as, an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was shown when the number of music therapists was four or more.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there are two main areas to discuss. First of all, the three points regard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job are as follows. The result contradicted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ed that non-regular workers had the highest number of music therapist employment in China. Unlike countries such a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ere statistically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music therapists is availabl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number of music therapists in China because no integrated organization manages all music therapists. However, unlike this study, in whi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various sampling methods, previous studies may have focused only on music therapists from specific institutions. Therefore, results may differ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orm of regular employment of music therapists has increased since the conduct of the preceding study. Looking at the status of music therapists' licenses, most music therapists obtained their licenses and worked in China. Despite the music therapy degrees and certificates obtained abroad, the salary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certificate was not high. In other words, it is interesting that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in China and overseas curriculum are not differentiated. The distribution of wages for non-regular and regular workers was equally wide despite the different types of employ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60 regular workers and 58 non-regular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and monthly income was not necessarily higher for regular workers than for non-regular workers.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income by s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