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담화기술 향상을 위한 이야기노래 만들기 중심 비대면 프로그램 적용 사례

Title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담화기술 향상을 위한 이야기노래 만들기 중심 비대면 프로그램 적용 사례
Other Titles
Remote Story Song Making Program for Improving Story-telling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임주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기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이야기형태의 노래 만들기 중심의 활동을 비대면 환경에서 실시간 화상 플랫폼을 통해 실시하였을 때, 학령기 ASD 아동의 담화기술에 변화를 보이는지, 이야기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이 비대면 상황에서 적용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담화는 ‘주제를 유지하며 두 문장 이상을 연결한 이야기 형태의 담화(이야기 담화)’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는 통합학급이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이며 두 단어 이상이나 한 문장 이상의 언어 단위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한 6세에서 11세 사이의 ASD 아동 4명으로 모집하였다. 연구 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주 2회, 회기별 30분씩 총 8회기 세션이 4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야기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고안을 위해 ASD 아동이 이야기담화를 구사할 때 필요한 요소를 다양한 어휘(Lexical diversity), 문장의 연결(Clause-Chaining), 주제운용(Topic-manipulation)의 3가지로 선정하고 각각에 개입하기 위한 이야기 노래의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야기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다양한 어휘를 이용한 짧은 노래 부르기(1단계), 이야기 노래의 구조 익히기(2단계), 경험 기반 이야기노래 만들기(3단계)의 총 3단계로 구성하였다. 진행된 주요과제는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짧은 패턴의 악구에 단어를 조합하여 노래 부르기(1단계), 2~4문장을 이야기 노래로 연결하여 부르기(2단계), 자신의 경험을 활용하여 이야기 노래를 변형 및 재구성하여 부르기(3단계)로 진행되었다. 담화 수준의 발화 시도 및 비대면 상황에서의 음악프로그램 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해 매 회기 촬영한 동영상을 관찰하여 각각 사건 기록법과 시간표집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중재 전 ․ 후로 대상자의 사회적 의사소통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SCQ-K)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음악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대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를 측정하고, 참여 아동 보호자에게 만족도 및 인식와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모두 회기가 진행될수록 담화 수준의 발화 시도가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4명 중 3명의 SCQ-K 점수가 감소하여 사회적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대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가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참여 아동의 보호자가 응답한 만족도 및 인식 설문 결과를 고려해 본 연구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이야기노래 만들기를 활용한 음악프로그램이 학령기 ASD 아동의 담화 기술 및 의사소통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비대면 환경에서 시도했을 때에도 현장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동질한 기능수준의 ASD 아동을 대상으로 한 본 프로그램의 보완 및 구체화와 비대면 환경에서 연주활동이 포함되거나 상호 노래부르기 활동을 적용한 음악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if remote music based story song making program for improving storytelling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asd. Participants were four children with ASD, aged six to eleven years old. For this study, story song making program was constructed with three stages: short melody singing for expanding vocabularies for short telling, singing the structured song for learning how to sequence sentences, and story song making for enhancing the skills to construct a whole story of one’s own experiences. The 30-minut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over four week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story-telling skills,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SCQ) was conducted at pre- and post-program. Also, verbalization behaviors and engagement behaviors in remote program environment were observ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creased in the skills to construct a story when telling form of their own experiences Childeren with ASD showed decreased SCQ-K ratings, indicating negative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During the sessions, engagement in social communication skills, expression of discourse and accompaniment behavior were also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ory-song making intervention using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social communication especially discourse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SD and that it can be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Future Studies would be need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with larger sample size. More specified consideration would also need to be discussed for application on virtual music intervention program to children with ASD with vary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