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7 Download: 0

악기 음색에 대한 감상자의 정서 지각

Title
악기 음색에 대한 감상자의 정서 지각
Other Titles
Emotional Perception of Musical Instrument Timbres : Focusing on Keyboard Instruments
Authors
김태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건반악기 중 피아노와 파이프 오르간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 차이를 알아보고, 정서 지각 지표 간 상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대학생 커뮤니티 사이트 ‘C’내에 모집 문건과 설문 링크를 게시하여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으며, 선정 기준을 근거로 모집된 연구대상자는 19~29세의 대학생 성인 96명이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자에게 피아노 음색과 파이프 오르간 음색을 각각 들려주고 각 음색에서 지각된 정서의 수준을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두 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 차이는 독립 t-test를 사용하여 살펴보았고, 음악 전공 여부에 따른 두 악기 음색의 정서 지각 차이는 이원반복측정분산을 통해 살펴보았다. 음색에 지각된 색채는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여 살펴보았으며, 정서 지각 지표 간 상관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피아노와 파이프 오르간 음색에 대한 감상자의 정서 지각은 ‘무거운-가벼운’, ‘거친-부드러운’, ‘이완적이지 않은-이완적인’, ‘새로운-익숙한’, ‘둔탁한-명료한’,‘선호하지 않은-선호하는’의 6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음악 전공 여부에 따른 두 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 차이는 무게감, 명료도, 역동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색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지각된 색상과 명도의 빈도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 지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완도와 질감 간에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음악 전공 여부에 따라 정서 지각 지표 간 상관관계 요인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상 중심의 음악심리치료 현장에서 악기가 지닌 정서적 특성 또는 기능을 참고할 때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motional perception between piano timbres and pipe organ timbres,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perception indica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cruited by posting recruitment documents on the student community site ‘C’, and a link to the survey was inserted to allow the subjects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96 university students, aged 19 to 29, were recruited based on the recruiting criteria. The subjects were asked to listen to pipe organ timbre and piano timbre, respectively, and respond to perceived emo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motions and preference for two instrument timbre were examined through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categories was recogni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motions for two instrument tones according to listener variables were examined through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ewer's emotional perception of piano and pipe organ timbre in six categories: “heavy-light”, “rough-soft”, “unrelaxed-relaxed”, “new-familiar”, and “dull-clear”, “unprefer-prefer”. And the piano timbre was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adjectives on the right than pipe organ timbre.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emotional perception was the significant positive-correlation between ‘relaxation’ and ‘texture’. Visually perceived color with respect to timb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responses to two instrument timbre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music majors showed greater differences in emotional perception of two instrument timbre than non-maj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visually perceived color and brightness for piano timbres and pipe organ timbr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when referr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r functions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field of listening-oriented music psycho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