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셀프가이드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셀프가이드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Self-guide Facilitated Onlin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 For Adult Viewers
Authors
최이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이삭
Abstract
21세기는 평생학습의 시대이다. 정보화, 지식의 폭증, 급격한 사회변화, 다원화, 고령화로 특징 지어지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따라 교육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고 있다.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체제는 이러한 시대적 전환에 기인하여 사회 전반에 일고 있는 변화의 중심축이다(한순미, 2004). 평생학습은 한 개인의 내적 성장과 가치 있는 삶의 영위를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자 시대적인 요구로서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교육의 흐름이 되었다. 이러한 평생학습시대의 평생학습자가 갖춰야 할 핵심이 되는 역량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계획, 실행, 평가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상통하는 자기관리역량을 개인이 가져야 할 핵심역량으로 꼽기도 하였다. 특히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세계적 대유행이 가져온 온라인 교육으로의 대전환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자유로운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자기관리능력이 성공적인 학습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서 미술관은 평생교육기관이자 자기주도적 학습이 일어나는 공간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미술관은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교육의 공간이며, 대부분의 학습이 자기주도하에 이루어진다. 그중 셀프가이드는 자기주도적 감상을 돕는 교육 도구로써 미술관 교육자가 구성한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발문을 통해 감상자가 스스로 탐구하고, 감상할 수 있게 한다. 최근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미술관은 온라인상에서 이와 같은 전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제 학습자의 의지만 있다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미술관 학습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포스트코로나시대에 온라인 교육은 더욱 활성, 보편화 될 것이며 이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평생교육기관이자 자기주도적 학습공간으로서 미술관이 감상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함양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으로서의 미술관 교육의 기능과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선행 연구들의 제한점을 토대로 연구 방향과 주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돕는 도구로써 미술관의 셀프가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성인감상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미술관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과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과 절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미술관 교육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온라인 미술관의 개념과 특징 및 의의에 대해 탐색하여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이론화하고, 국내 미술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의 고찰과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셀프가이드를 개발하였다. 셋째,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S 갤러리’의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성인 35명을 대상으로 셀프가이드 북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넷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검사도구로 한국교육개발원(2003)에서 개발한‘대학생/성인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실험 사전, 사후에 진행하고,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전, 사후 검사를 통계패키지 프로그램(SPSS ver 26.0)을 통해 통계 내용을 분석하였다. 여섯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단검사 통계분석과 만족도 조사 및 결과물 분석을 통한 종합적 결과를 바탕으로‘ 셀프가이드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인 감상자를 대상으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절차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가이드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감상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전·사후검사의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상에서 유의미한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둘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영역의 사전·사후 검사에 있어서 ’학습계획능력‘과 ’학습실행능력‘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습평가능력’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와 교육 결과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자기주도적 학습단계를 적용한 셀프가이드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성인감상자의 미술관 전시 이해와 교육에 대한 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육결과물에 대한 질적 분석의 결과, 감상자들은 셀프가이드의 각 단계에 따라 주어진 발문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스스로 작품의 의미를 구성하고 확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은 성인 감상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온라인 교육이 평생교육의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셀프가이드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성인감상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와 교육결과물 분석결과, 본 교육프로그램이 감상자들의 전시 감상의 이해와 흥미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교육프로그램은 셀프가이드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이 감상자들의 전시 이해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미술관 교육의 평생교육적 측면과 온라인 교육의 측면에서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포스트코로나시대의 미술관 교육은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이루어지게 될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기존 미술관이 가지고 있던 물리적인 제약에서 벗어나 더 많은 사람들이 미술관을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미술관 교육이 가지고 있는 평생교육으로서의 기능, 자기주도적 학습 공간으로서의 기능, 그리고 온라인 교육의 장점들을 잘 활용하여 전문인이나 전공인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lifelong learning. Through the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digitization, an explosion of knowledge, an ever-changing society, pluralization, and an aging society, th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has a pivotal role in the transformation throughout the society based on the transition. Lifelong learning is not only a foundation but the demand of times for an individual’s inner growth and valuable lif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re capabilities for lifelong learning in this era i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is an ability to plan, execute and assess one’s learning which is a central ability for modern citizens to consistently learn to adapt in a fast-changing society. As such, the Ministry of Education elected self-management capability as one of the core capabilities in the 2015 Amended Curriculum. Especially the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due to the worldwide COVID-19 pandemic has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is the most essential ability for success in the free environment of online education. In this context, museums are being in the limelight of the institu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 museum is a place where people of all ages can participate and most of the learning takes place in a self-directed environment. The self-guide provided in museums is a widely used tool for facilitating self-directed learning. The current pandemic has driven museums to offer online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with viewers learning wherever they want without any limitations. Online education will be more prevalent in a post-COVID environment, putting more importance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is thesis was created based on the fact that museums are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with an emphasis on the efficacy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curve of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direction and subject matter of this thesis have been set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the museum’s self-guide as a tool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xplored the impact of onlin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s on adult viewer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pplied self-guide and to examine the function and efficacy of the museum as a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 by exploring the impact on adult viewer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procedure for this study were below. Firstly, I theorized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the research through reference review and analyze the examples of online museum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Secondly, I developed the self-guide for the onlin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orization and analysis. Thirdly, I executed the educational program as a part of the onlin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in ‘S gallery’ in Seoul for 35 adult viewers via a self-guide booklet and social media. Fourthly, I adapted the questionnaire ‘College student/adul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3) as a learning ability assessment tool and proceeded with the viewers pre- and post-assessment, followed by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survey. Fifthly, I analyzed the statistics of pre- and post-assessment through the statistics package program (SPSS ver 26.0). Sixthly, I derived the conclusion for ‘The impact of self-guide facilitated onlin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For Adult Viewer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ssessment statistics and satisfaction survey with analy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otal score of pre- and post-assessment for adult viewer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significant efficacy in statistics for matching sample t-test results on the self guide-facilitated onlin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Secondly, with the pre- and post-assessment results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subare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planning capability and learning execution capability but not in ‘learning assessment capability. The conclusion below is also derived from analyzing satisfaction surveys and educational material. Firstly, there was a positive impact on adult viewer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museum exhibition and education by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of the self guide-facilitated onlin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Secondly,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for educational material, viewers actively responded with postscripts in each step, forming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artworks on their own. Thirdly, adult view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online museum educational program with no space-time limitation and verified the possibility to apply online education to lifelong learning. The thesis that self guide-facilitated online exhibition educational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dult viewer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was verifi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atisfaction surveys and educational material also verified that this educational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viewers’ exhibition exper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proved the impact on the viewers’ understand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with a possibility of utilizing this study for an educational program in museums and online education. As a representative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 museums could develop programs that can meet adult viewers’ different needs. They could also arrange various educational tools for self-directed learning,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education. The educational programs in museums will be both off-line/online in a post-COVID environment and this transition could offer an opportunity for people to find enjoyment and communicate through learning.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the museums coul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not only specialists but the public could relish by harnessing the benefits of onlin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