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노인의 지역사회 지속거주 모형

Title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노인의 지역사회 지속거주 모형
Other Titl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aging in place (AIP) of older adults
Authors
김은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related to Aging in Place(AIP) at the physical,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 level, which is an attitude towards continuously living in the place of residenc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IP of older adults in Korea, and to propose social welfare alternatives that support the facilitation of AIP.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that consist of AIP, housing satisfaction, social support, exchange between neighbors, community attachment, and social cohesion.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of AIP were set based on the ecosystem theory, including housing satisfaction as an individual factor, and social support and exchange between neighbors as social factors, and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as examined. In addition, community attachment and social cohesion were set as mediating variables based on place attachment theory. Final model was constructed to observe the continuous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he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ediating variable of community attachment. The study used the open data of ‘Aging in Place Needs Analysis of the Elderly in Gyeonggi Province’ conducted by Gyeonggido Assembly in 2019. The original data includes 300 older adults over 65 years who reside in Gyeonggi province, and stratification sampling method of gender (50:50), age below 75 years old(50:50), and region of city (dong) and rural (ri) (50:50) were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50 older adults who are unable to relocate due to reasons such as financial or caring matters despite their desire to move, also known as Stuck in aging (SIA), were eliminated, and a total of 250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sociodemographic factors on AIP were examined, older adults who are over 75 years old, are with a spouse, own a house, have greater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higher values in AIP. Secon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of housing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exchange between neighbors, and AIP was examined, housing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AIP. In particular,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AIP. Third, community attach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satisfaction and AIP, whereas social cohes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between neighbors and AIP, illustrating a differentiated mediating effects regarding physical place attachment and social place attachment. Fourth, contiguous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as social cohe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exchange between neighbors, and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mportance of place attachment in AIP was emphasized by presenting the continuous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hesion as well as the differentiated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nd social place attachment in place attachment theory. Second, practical implications of ① the need for various housing policies promoting AIP, ② expanding home safety modifications service for older adults, ③ creating supportive housing and senior community ④ efforts to promote social cohesion and build sense of community, rather than simply activating neighborhood exchanges were emphasized. Third, policy implications include ① establishing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AIP for older adults, ② expanding the provision of care for older adults and reducing regional imbalances, ③ expanding various house alternatives for AIP, and creating age-friendly environments.;본 연구의 목적은 자신이 살던 곳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하고자 하는 태도인 지속거주(AIP)에 관련된 물리적·사회적·심리적·개인적 차원의 요인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의 지속거주(AIP)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확인하고, 노인들의 지속거주(AIP)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거주(AIP), 주택만족도, 사회적지원, 이웃간교류, 지역사회 애착, 사회응집력으로 구성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종속변수인 지속거주(AIP)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로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체계로서 주택만족도, 사회체계로서 사회적 지원과 이웃간 교류를 설정하고, 각 체계들이 지속거주(AIP)에 미치는 복합적인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 장소애착이론에 근거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변수로 지역사회 애착과 사회응집력을 설정하였다. 이 모형에서 사회응집력이 독립변수들과 매개변수인 지역사회 애착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회응집력의 연속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최종 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회가 2019년 수행한‘경기도 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 : AIP) 욕구분석’의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당 자료는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300명의 자료로, 노인 중 남녀(50:50) 성별 층화와 75세 이하와 75세 이상(50:50) 연령 층화로 조사되었고, 동지역(도시)과 리지역(농촌) (50:50)으로 조사된 자료이다. 특히, 지속거주(AIP)는 자발성을 기초로‘거주지를 이동하고 싶지만 경제적 문제나 돌봄 문제 등으로 인해 머무를 수밖에 없는(SIA: Stuck in aging)’노인들 50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50명의 자료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속거주(AIP)의 차이를 살펴보면, 75세 이상, 배우자가 있는 경우, 주택을 소유하고 있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응답한 노인들의 지속거주(AIP)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독립변수인 주택만족도와 사회적지원, 이웃간교류와 지속거주(AIP)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주택만족도와 사회적지원이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특히 사회적 지원이 지속거주(AIP)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애착은 주택만족도와 지속거주(AIP)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회적지원과 이웃간교류와 지속거주(AIP)와의 관계에서 사회응집력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장소애착과 사회적 장소애착의 구분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사회응집력이 사회적지원과 이웃간교류와 지역사회애착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속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이론적 함의는 기존 연구에서는 각각의 영향요인들과 지속거주(AIP)와의 단선적 관계만 보았을 뿐 이론적 모형을 시도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지역사회 지속거주(AIP) 모형을 이론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장소애착이론에서 물리적 장소애착과 사회적 장소애착의 분리된 매개효과와 더불어 사회응집력의 연속매개효과를 밝혀 지속거주(AIP)에 있어 장소애착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실천적 함의로서 ① 지속거주(AIP)를 위한 다양한 주거 정책 필요, ②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안전한 주택개조 사업 추진 확대, ③ 서비스 지원주택 및 노인커뮤니티 조성, ④ 단순한 이웃교류 활성화 보다 사회응집력 및 공동체 형성지원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강조되었다. 셋째, 정책척 함의는 ① 노인의 지역사회 지속거주(AIP)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 구축, ② 노인 돌봄 서비스 제공 확대 및 지역별 불균형 해소 강화, ③ 지속거주(AIP)를 위한 다양한 주거대안 확대 및 고령친화도시 조성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