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9 Download: 0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지수 개발과 타당화

Title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지수 개발과 타당화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ex of Child Social Exclusion
Authors
김소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의 발달 조건과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사회적 배제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아동기 사회적 배제 측정을 위한 합의된 지표체계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표 간의 가중치를 설정하여 아동기 사회적 배제를 지수화 하는 것이다.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합의된 구성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아동복지 및 사회복지분야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1, 2차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였고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각 요소들의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AHP설문을 실시하여 각 영역별, 지표별 가중치를 확인하였다. 이후 개발된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보호자용 조사 설문과 쌍수로 매칭 되어 자기 기입 설문에 참여한 9세~17세 아동 2,510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영역으로 제안된 ‘기초생활욕구와 소비, 주거, 교육, 건강, 가족 및 사회적 관계, 가구의 재정상황, 사회적 참여, 사회적 배제의 주관적 경험’의 8개 영역 중 교육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영역별 대표 지표에 대한 조사 결과 사회적 참여 영역은 세부 지표 구성이 되지 않아 삭제되어 최종 7개 영역으로 사회적 배제의 측정 지수 영역이 구성되었다. 셋째, AHP방법을 적용한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가중치의 우선순위는 ‘교육 > 건강 > 기초생활 > 가족 및 사회관계 > 가구재정 > 주거 > 사회적 배제의 주관적 경험’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에서 변수들 간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을 실시해도 무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영역별 검증 또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항의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내적 일관성 검증방법인 Cronbach Alpha 검정 결과 27개 지표는 0.646, 8개 영역의 지수는 0.585로 나타났으며, Peasrson 적률상관분석에 따른 변수 간 상관수준은 교육과 주거, 교육과 건강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TLI 값은 .933, CFI 값은 .899, RMSEA는 .0737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연령, 지역의 집단 변수별로 구분된 모형 적합도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는 18.56점으로 성별, 지역별, 연령별로 아동의 사회적 배제 지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 연구를 통한 이론적 함의 및 아동복지실천과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첫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 측정 지표에 대한 전문가의 합의를 이루고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라는 새로운 측정 방식을 최초로 제안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지표별 고유한 가중치를 반영하여 우선순위를 고려한 지수를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지원의 다각화를 모색할 수 있도록 아동의 가구 환경과 함께 개별적 필요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아동복지의 실천적 제언은 첫째, 가구의 경제적 현황만으로 측정되지 않는 아동의 사회적 배제로 확인되는 다양한 욕구에 대한 평등하고 안전한 성장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아동복지 영역의 보편적이며 다양한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의 가중치 설정에 있어 아동 학대에 대한 항목의 우선순위가 높았다는 점에서 아동의 가정 내 방임과 학대에 대한 예방적 접근과 지원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의 영역과 지수를 도출함에 있어 아동의 참여 영역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있어 아동의 권리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아동의 사회적 참여에 대한 다양한 아동권리 옹호를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아동복지 정책에 대한 제언은 첫째, 스스로 자신의 권리 옹호에 취약할 수 있는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우리 사회 안에서도 아동 권리에 대한 인식개선을 포함한 다양한 아동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 아동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아동의 배제에서 고려하여야 할 접근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기에 ‘아동 중심’의 아동의 권리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적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다각적인 사회서비스 지원을 이루어 나가야 한다. 셋째, 아동기 사회적 배제 지수를 통해 가정환경과 아동의 현황에 대한 동시적인 접근이 가능할 수 있기에 가구와 아동에 대한 개입차원을 세분화하고 다각화하여 아동복지정책의 대상을 아동뿐 아니라 아동의 보호자까지 포괄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dex of child social exclusion to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measure child social exclusion that may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and situations for child development by deducing an agreed-upon index and assigning weights to indicators.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for 23 experts in the fields of child welfare and social welfare were conducted to yield the consented indicators for child social exclusion and were weighted by categories. The indicators were determined using the AHP to assign the weights to each factor of child social exclusion. The validity of the child social exclusion index was subsequently tested using the data of 2,510 children who were between 9 and 17 years old and participated in the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with their parents in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tegory of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among the suggested eight categories of child social exclusion including the needs and consumption of basic livelihood, housing, education, health,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social participation, household’s financial status and subjectiv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ing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of each category, the category of social participation was removed, because the subcategories could not be built. Consequently, a total of seven categories were determined to comprise the index of child social exclusion. Third, the weights of categories of child social exclusion through the AHP were ranked from education, health, basic livelihood,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household’s financial status, housing to subjective experiences of social exclusion in descending order. Fourth,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dex of child social exclusion, the interconnectivities among variables were found through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test, which confirmed that factor analysis could be conducted and the tests by categories were also found to be valid. Fifth,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items, Cronbach’s Alpha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used and its value of 27 indicators was 0.646 and that of the categories was 0.585. As to the level of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via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in all the categories except between education and housing and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Sixt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index had satisfactory results: TLI, 0.933; CFI, 0.899; and RMSEA, 0.0737.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that was grouped according to the gender, age, and region of residence of the responder was also satisfactory. Finally, the index score of child social exclusion was 18.56, but it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age, and region of residence of the responde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on child social exclusion in terms of child welfare practice and child welfare policy are presented below.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 new measuring method was suggested as the index of child social exclusion that were agreed upon by experts for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level of child social exclusion.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an index has been developed that considered the priority among the indicators of child social exclusion by reflecting their weighted value. Thir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needs of children in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level of household’s conditions to support them in the multi-dimensional level. The suggestions in terms of child welfare practice are presented below.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universal and various services in the field of child welfare should be provided to give children equal and safe opportunities to enable them to grow by meeting the needs that not only have been identified with the household’s financial status, but also that were revealed by the indicators of child social exclusion. Second, the preventive approach and supportive services against child abuse and neglect should be considered a priority within the family, specifically prioritizing items related to child abuse when calculating and assigning weights on the indicators of child social exclusion. Thir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ategories and index of child social exclusion, the category of children’s social participation was not agreed upon. This prompted the need for discussions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practice by understanding th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he advocates of their rights in relation to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e suggestions for child welfare policy are outlined below. First, various policies for children to enable them to voice their own opinions should be prepared. Such policies should include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in our society because it is not easy for children to advocate their rights for themselves. Second, social services for their integrated growth and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child-centered approach to children’s rights, considering the priority that was derived in this study on child social exclusion by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children in South Korea. Third, the index of child social exclusion made the simultaneous approach on the child and his or her home environment possible. Thus, child welfare policy should be made targeting not only the children, but also their parents or guardians by subdividing and diversifying the intervention levels with regard to the child and his or her fam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