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지역설화 활용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 교육 방안 연구

Title
지역설화 활용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 of YouTube Multi-modal Texts Using Local folktale
Authors
김은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설화를 활용한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 구조와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격적인 4차 산업 시대로 진입하면서 청소년들이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하는 중심 매체는 소셜미디어로 변화하였다. 스마트폰은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청소년의 필수품이 되었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소셜미디어는 청소년의 삶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런데 소셜미디어와 지역설화는 전방위적인 소통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 맥락이 닿아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역설화를 활용한 소셜미디어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노원썰화’를 중심 사례로 활용하여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의 구조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셜미디어 중에서도 유튜브는 청소년들에게 선호도가 가장 높고, 자주 사용되는 매체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소셜미디어 중에서도 유튜브에 주목하고 있는데, 지역설화의 서사적 내러티브가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설화의 이야기가 일상적 내러티브로 변형된다는 점, 둘째, 단위텍스트가 확대·재생산 된다는 점, 셋째, 초구조가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과정을 분석해 보았을 때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는 문자 중심의 텍스트보다 훨씬 더 복잡한 텍스트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기술적 요소가 결합하여 텍스트의 의미와 텍스트성을 보완 및 강화하고, 텍스트 구조에 대한 스키마를 제공한다. 물론 설화가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로 생산된 사례가 매우 부족하고, 소셜미디어에서 생겨나고 전승되는 전통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하나의 사례라 할지라도 ‘노원썰화’와 같이 지역설화를 활용한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를 면밀히 분석해봄으로써 소셜미디어 시대의 국어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가늠해볼 수 있다. 그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지역 연계 교육과정과 창의적 수용·생산 교육과정을 지향한다. 지역과 연계한 방식으로 청소년 학습자는 국어 교육을 통하여 지역 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고, 지역설화를 활용한 창의적 수용·생산을 통해 창조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청소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의 생산을 위한 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설계해 보았다. 큰 틀에서 ‘기획·개발 단계 - 제작·편집 단계 - 공유·평가 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고 세부적으로 수행해야 할 내용들을 정리해봄으로써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교과서 기반의 문자 중심적인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 환경에 알맞은 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설화를 활용한 유튜브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 구조를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설화와 소셜미디어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로 노원구의 지역설화를 바탕으로 생산된 유튜브 콘텐츠를 사례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 조금 더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교사들이 소셜미디어 환경에 알맞는 국어과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우며, 학생들에게는 지역정체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소셜미디어를 생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창조적 국어 역량을 함양하고 문학생활화를 실천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xtual structure of YouTube multi-modal text using local folktale and education plan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entral media used by teenager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has changed to social media. Smartphones have become a necessity for teenagers with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Smartphone-based social media has become a powerful influence on teenagers' lives. Social media and local folktale are in line with the fact that they enable all-round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judges that social media education using local folktale is effective. And using ‘Nowon Ssulhwa’ as a central case,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YouTube multi-modal text and present specific education plans. Among social media, YouTube is the most preferred and frequently used media among teenagers. Therefore, we are paying attention to YouTube among social media, and the following principles can be foun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narrative narratives of local folktale into YouTube multi-modal text. First, the local folktale narrative is transformed into routine narratives. Second, unit text is expanded and reproduced. Thirdly, the super-structure is actively involved. Analysis of these processes confirms that YouTube multi-modal text has a much more complex text structure than text created with letter. In addition, technical elements combine to complement and enhance the meaning and textuality of text, and provide a schema for textual structure. Of course, there are very few cases in which folktales are produced in YouTube multi-modal text,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not known what traditions arise and are inherited from social media. However, even in one case, we can closely analyze YouTube multi-modal text using local folktale such as ‘Nowon Ssulhwa'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ocial media era. In order to present detailed education measures, this study aims at regional-linked curricula and creative acceptance and production curricula. In a manner linked to the region, juvenile learners may cultivate their local identity through education and foster creative capabilities through creative acceptance and production using local folktales. In order to prepare educational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education sites for learners, the study designed the curriculum for the production of YouTube multi-modal text as step by step. In a large framework, the study tried to provide ideas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y dividing it into three stages: Planning and Development - Production and Editing - Sharing and Evaluation and organizing details to be carried out.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eeking ways to teach Korean language suitable for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As part of the effort, we analyzed the text structure of YouTube multi-modal text using local folktale, and based on this, we presented an education plan that considered local stories and social media in an integrated manner. This study can actually provide more effective help to educational sites because it uses YouTube content produced based on local tales in Nowon-gu as an example. It helps teachers organize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suitable for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gives students regional identity, and provides systematic education methods to use social media productively. As a result, this process will enable learners to develop creative Korean language skills and practice literary acti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