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가족 시 교육 방안 연구

Title
가족 시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 Methods of Family Poems : Focusing on Diversity of Relationship, Emotions, and Forms
Authors
김솔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시 교육을 통하여 가족 구성원 및 가족 형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바람직한 의사소통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생활을 영위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데 있다. 사회 변화에 따라 가족 가치관, 관계가 변화하고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며, 가족의 정서적 기능이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시 교육도 가족의 관계, 정서, 형태를 고려하여 가족 이해와 다양성 교육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Ⅱ장에서는 한국 가족의 특성과 가족의 일반적 개념을 확인한 뒤, 가족 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뒤에 ‘가족 시’의 용어와 개념을 정립하고, 가족 시 분석을 위한 세 가지 틀로서 관계, 정서, 형태를 제시하였다. ‘가족 시’는 지금까지 국문학 연구나 국어교육 연구에서 사용되던 개념은 아니나, ‘가족의 관계, 정서, 형태를 담은 시’를 통칭하기 위하여 상담학 용어에서 준용했다. Ⅲ장에서는 관계, 정서, 형태 세 가지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교과서의 가족 시 수록 양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관계 면에서는 부모관계 위주로, 정서 면에서는 가족의 죽음이 정서의 원인인 작품 위주로 수록됐다. 형태 면에서는 핵가족을 다룬 시가 수적으로도 많았고 다른 가족 형태에 비해 핵가족이 긍정적 이미지로 그려졌다. 학습 활동은 제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된 경우도 있었으나, 대개 가족과 관련된 학습 활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의 가족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필요해 보인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가족 시 교육의 방향을 두 가지로 설계했다. 하나는 국어과에서의 가족 시 교육 방향이며, 다른 하나는 가족 시를 활용한 융합 교육의 방향이었다. A절에서는 국어과의 가족 교육의 방향을 다루었다. 국어과의 가족 시 교육의 목표로 시 향유를 통한 가족 문제의 해결, 가족 내외에 존재하는 타자에 대한 다양성 이해와 존중을 제시했다. 이 두 가지 목표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가족 시 교육 내용을 각각 마련했고, 가족 시 교육 방법을 상호텍스트적 감상과 생산 활동 보완으로 제시했다. 다음으로 B절에서 가족 시를 활용한 융합 교육의 방향을 모색했다. 가족이라는 주제를 학습할 때, 가족 시를 활용한다면 학습자가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차원에서 학습 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족 시 교육의 목표와 함께 사회, 가정, 도덕과의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융합 교육의 내용과 체계를 설정했다. 그리고 가족 시 융합 교육을 현 교육과정에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 전·중·후 융합 활동을 하는 것과 프로젝트형 융합 수업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이 연구는 다양성 관점에서 가족 시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가족 시가 나아갈 방향을 설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가족 시 교육의 논의가 확장되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urture human beings who recognize and respect the diversity of family members and family forms through poetry education. I hope and believe these people could lead a healthy and happy family life through modest and suitable family communication. As society changes, family values and relationships change, family forms vary, and family emotional functions have become important. Accordingly, poetry education also needs to contribute to family diversity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family relationship, emotions, and forms. In Chapter Ⅱ, I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ies and general concepts of families, and examined how family understanding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curriculum. Subsequently, the terms and concepts of family poems were established, and three frameworks for analysis of family poems were presented: relationship, emotion, and form. Family poems are not a concept used in Korean literature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 This term is brought from counseling and psychology branch where S.T. Gladding(1985) firstly used it. In this study family poems mean “poems containing family relationships, emotions, and forms.” In Chapter Ⅲ, I critically analyzed aspects of family poem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three perspectives: relationship, emotion, and form. The textbooks were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middle and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a lack of diversity in aspects of containing family poems. In some cases, learning activities consisted of content that could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a poetry itself, but usually no family-related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Therefore,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applicable to learners' family realities would be needed. In Chapter Ⅳ, I designed two directions of family poems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III. The one is the direction of family poet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other is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family poetry. In section A, I dealt with the direction of famil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Goals of family poet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to solve family problems through poetry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and respect diversity of others in and outside learners’ own family. Specific education contents were prepared for each of these two goals, and accordingly, two education methods were presented. One is an appreciation among family poems using intertextuality. The other is a supplementation of production activities in learning activities. In section B, I presented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family poetry. When learning the topic of family, if family poetry is used, learners can internalize their learning contents on a more practical and specific level. Therefor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family poems are nee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et the direction for family poems to move forward by analyzing family poems in terms of diversity.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follow-up research would be actively conducted so that the discussion of family poems education could be expa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