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유예지-
dc.creator유예지-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11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11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1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10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016-
dc.description.abstract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가 모어 화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는 문법적 지식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대부분의 언어에는 그 언어 사회의 구조와 문화가 녹아 있어, 언어별로 호칭어 체계도 상이하게 나타난다. 한국어 호칭어 체계 또한 한국 사회의 구조와 문화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한국 사회와 그 구조가 다른 언어문화권의 학습자일수록 한국어 호칭어 습득에 어려움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의 호칭어 교육 연구에서는 특정 언어권의 학습자에 대한 연구를 중점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다양한 언어권 학습자의 호칭어 교육을 위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비교하고, 학습자 집단을 거주 경험에 따라 다시 두 개로 나누어 한국 거주 경험 유무가 학습자의 호칭어 사용 양상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 후,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호칭어 사용 양상 관련 연구를 통해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호칭어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 한국어 교재 분석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호칭어 교육의 문제점을 정리함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문제 1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는 호칭어 사용 양상에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2는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 거주 경험 유무에 따라 호칭어 사용 양상에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호칭어의 개념 및 한국어 호칭어 선택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연구 절차, 실험 참여자 및 자료 수집 도구, 자료 분석 방법의 순으로 제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6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은 TOPIK을 기준으로 중급 이상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DKL)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KNS)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연구 문제 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Ⅴ장에 결론을 정리하였다. 연구 문제 1인 KNS 집단과 DKL 집단 간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전체 26개 문항 중 두 집단 간의 호칭어 사용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문항이 17개로 나타났으며, 그렇지 않은 문항은 9개였다. 각 문항별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대상으로 추가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연구 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해석을 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문제 2인 거주 경험 유무에 따른 호칭어 사용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학습자 집단을 한국 거주 경험 유무에 따라 거주 경험 있는 학습자 집단(DLK)와 거주 경험이 없는 학습자 집단(DLN)으로 나눈 후 호칭어 사용 양상을 KNS집단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DLN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문항이 8개였으며, DLK 집단은 11개로 그 수가 3개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였을 때 거주 경험이 호칭어 습득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는 무리가 있다고 해석하였다.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한국어 호칭어 교육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네덜란드인 학습자 집단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많이 다뤄지지 않았던 네덜란드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실험 참여자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 결과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자 한 점, 또 이를 통하여 한국어 호칭어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bring it to light the perspective of teaching method of Korean terms of address people by comparing native Korean speak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usage of addre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study how the two groups address respectively and it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terms of address. Since the terms of address reflects Korean cul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learners of language and culture that is different from Korea will have more difficulty addressing someone in Korean. However, until now, terms of address for Korean learners from various cultures has been barely studi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onduct a study with Dutch Korean learners. In this study, we will compare the use of Korean and Dutch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divide the group of learners into two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experience, and observe whether their experience in living in Korea affects the use of the terms of addres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In Chapter I, after summarizing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 reviewed studies on terms of address and derive the research problem. First, we confirmed the need for a study on Dutch Korean learners. Furthermore, prior research on the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identifie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terms of addres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They are as follows: 1. Does Dutch Korean learners and Korean more speakers differ in the use of the terms of address? 2. Does Dutch Korean learners differ in terms of using the term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in living in Korea? Chapter II examines the concept of the terms of address and the factors behind the selection of the terms of address in Korean. Chapter III presents research methods in the order of research procedures, experimental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26 question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Dutch Korean Language Learners (DKL) groups corresponding to TOPIK standards or higher, and on Korean More Speakers (KNS) groups for comparison. In Chapter IV,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problem and the conclusions were summarized in Chapter Ⅴ. A comparison of the use of the terms of address between the KNS group and the DKL group, the study problem 1, revealed that 17 of the 26 question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the term between the two groups, and 9 were no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question, and further interviews with learners were conducted to provide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Next, to compare the use of the terms of address with or without residential experience in Korea, the group of Korean learners was divided into the group of experienced learners (DLK) and the group of non-residential learners (DLN) according to the Korean residential experience. As a result, the DLN group had eight question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DLK group had 11, three more. Given these results, it was interpreted that it was unreasonable for the residential experience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quisition of titles. Through this study conducted on Dutch Korean learners, we were able to look at the use of the terms of address of Dutch learners,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Dutch learners, who have not been treated mu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nted to interpret the results in depth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imental participant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2 1. 호칭어 사용 양상 연구 3 2.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6 C. 연구 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호칭어의 개념 9 B. 한국어 호칭어 선택 요인 11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절차 15 B. 실험 참여자 16 1. 1 차 예비 실험 16 2. 2 차 예비 실험 및 상황 개연성 조사 16 3. 본 실험 17 C. 자료 수집 도구 18 1. 1 차 예비 실험 19 2. 2 차 예비 실험 21 3. 상황 개연성 조사 24 4. 숙달도 검사 25 5. 본 실험 26 D. 자료 분석 방법 2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9 A.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 간의 호칭어 사용 양상 비교 29 1. 교실에서 가르치는 사람을 부르는 상황 30 2. 대학교에서 처음 만난 사람을 부르는 상황 35 3. 대학교에서 친한 사람을 부르는 상황 43 4. 동호회에서 처음 만난 사람을 부르는 상황 50 5. 동호회에서 친한 사람을 부르는 상황 58 B. 한국 거주 경험 유무에 따른 호칭어 사용 양상 비교 64 Ⅴ. 결론 및 논의 70 참고문헌 72 <부록 1> 모어 화자용 설문지 75 <부록 2> 네덜란드인 학습자용 설문지 81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70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호칭어 사용 양상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ng Native Korean Speak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Usage of Korean Terms of Address-
dc.creator.othernameYou, Ye ji-
dc.format.pagei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