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은-
dc.contributor.advisor이정수-
dc.contributor.authorHAN, PEIWEI-
dc.creatorHAN, PEIWEI-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10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10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6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67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008-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다양한 개성을 드러낸다. 많은 사람들은 유행하는 패션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관련된 다양한 제품을 소비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밀레니얼 세대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시기에 태어나 디지털 문화에서 성장한 세대로 이전 세대와는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 기업과 사회의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은 밀레니얼 세대의 패션에 관한 관심과 소비를 촉진해 그들이 세계 패션 시장 소비의 주역이 되게 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것을 더 쉽게 받아들이며 트렌드의 리더로 떠올랐다. 패션에 민감한 중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며 새로운 유행과 개성을 중시한다. 현재 사회에 진출하여 직장 생활을 하는 세대가 된 이들은 오피스룩을 입을 때도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싶어 한다. 조사 결과, 기존의 오피스룩은 밀레니얼 세대의 개성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그들의 수요에 맞는 오피스룩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국 밀레니얼 세대 직장 여성들의 개성 표현 욕구를 충족하며 예술성과 상업성을 결합한 오피스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 개발을 연구하는 의류업체들에게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의 중국 여성 오피스룩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중국의 25~34세 밀레니얼 세대 293명의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밀레니얼 세대 직장 여성은 의복 선택시 디자인을 중요시하며 기존의 오피스룩보다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의복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구체적인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시행한 선호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아이템별 선호도는 블라우스 및 셔츠, 티셔츠, 원피스, 재킷, 스커트, 투피스 정장, 팬츠, 코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하는 스타일은 심플하고 클래식한 스타일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유행하는 스타일과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스타일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아이템별 디자인 디테일의 선호도는 블라우스의 경우 세미핏(Semi-fit), 스탠드 칼라(Stand Collar), 브이넥라인(V-neckline), 비숍(Bishop) 소매, 중간색, 우븐(woven), 하늘거리는 드레이프성이 있는 소재의 주머니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이 선호도가 높았고, 원피스는 H라인(H-line), 무릎 위 길이(Above-the-knee Length)의 서큘러 드레스(Circular Dress), 중간색, 우븐, 그리고 원피스와 마찬가지로 부드럽고 가벼운 느낌의 소재와 주머니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이 인기 있었다. 재킷은 아래가 넓어지는 A라인, 피시마우스(Fishmouth)칼라, 중간 엉덩이둘레선 정도의 길이, 싱글웰트(Single Welt)주머니, 중간색, 우븐, 바삭한 촉감과 형태감의 소재와 지퍼, 단추 등으로 장식된 디자인 등이 선호도가 높았다. 코트는 통이 넓은 박스형, 손가락 끝 길이(Fingertip Length), 중간색, 니트(knit), 살짝 비치는 소재, 주머니로 포인트를 디자인이 선호도가 높았다. 스커트는 시스(Sheath) 스커트, 하이웨스트(High-waisted)의 허리선 높이와 무릎 길이, 중간색, 니트, 부드럽고 가벼운 느낌의 소재에 주머니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팬츠는 슬림핏(Slim-fit), 하이웨스트 허리선, 중간 길이(Mid-thigh Length), 중간색, 니트, 부드럽고 가벼운 느낌의 소재와 주머니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이 선호도가 높았다. 이로써 도출된 선호도에 근거하여, 봄에 어울리는 컬러와 스타일로 블라우스와 스커트 한 벌, 또 가을에 어울리는 재킷과 팬츠 한 벌, 봄부터 가을까지 믹스매치하여 입을 수 있는 원피스와 코트 등 총 4벌을 개발하였다. 색채, 형태, 소재를 적절히 반영하여 우아하고 부드러운 분위기와 밀레니얼 세대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춤추는 발레복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 I은 블라우스와 스커트로 구성된 투피스이다. 블라우스에는 세미피트, 보우(Bow)칼라, 브이넥라인, 비숍 소매 등의 디자인과 파스텔 색인 크로커스 페틀(Crocus Petal)의 하늘거리는 드레이프성이 있는 소재를 적용하였고, 스커트는 블라우스 디자인과 잘 어울리는 선호도 1위 시스형태에 노멀 웨이스트(Normal Waist)의 허리선 높이와 무릎 길이(Knee Length)에 장식 없는 심플한 디자인이 반영되었고 중간색인 젠 블루(Zen Blue)와 체형을 날씬하게 보이게 하는 소재로 우븐으로 제작해 화려하고 우아하면서도 전문적인 직장 여성의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디자인 II는 자연에서 식물이 자라는 형태미를 반영한 디자인으로 맥시 길이(Maxi Length)에 셔링, 러플 등 주름이 잡힌 A라인의 원피스이다. 언밸런스한 스커트 형태는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중간색인 마르티니 올리브(Martini Olive)를 선정해 하늘거리는 드레이프성이 있는 소재로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III은 피어난 꽃잎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미디 길이(Midi Length)의 코트로 허리부분에 들어간 X라인에 단추로 장식된 디자인이다. 중간색 멜로우 로즈(Mellow Rose)의 자연스럽고 따뜻한 느낌의 우븐 소재로 가슴 부분에 입체적으로 부드러운 셔링을 잡고 각 셔링 사이에 단추로 포인트를 주어 직장 여성의 이지적이며 부드럽고 우아한 매력을 표현하였다.‘가을’이라는 테마를 부각시킨 디자인 IV는 클래식한 느낌의 수트로 조화롭고 자연스러우며 건강한 편안함을 추구하는 재킷은 허리 부분이 들어간 X라인으로 중간 엉덩이둘레선 정도의 길이에 피시마우스 칼라, 싱글웰트 주머니, 단추 장식을 적용하고 중간색 버터럼(Butterum)의 우븐으로 체형이 날씬해 보이는 소재를 선정하여 디자인하였다. 재킷과 같은 소재로 한 벌로 연출하는 팬츠는 슬림핏 형태에 허리선 높이와 발목 길이를 적용한 디자인으로 전통적인 정장의 느낌을 주면서도 디테일한 부분의 스타일링으로 단정하고 깔끔한 직장 여성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밀레니얼 세대 직장 여성의 선호도와 직장 규범을 적용하여 밀레니얼 세대의 요구를 충족하면서 현재 중국 패션 시장의 다양화를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오피스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아이템별 선호도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직장별 규범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중국 오피스룩 패션은 이전 세대와 다른 밀레니얼 세대의 선호도와 패션 감각을 맞추기 위해 다양하게 세분화 되어야 하는 당면 과제가 있다. 현대의 생활, 문화, 비즈니스가 기술의 발전 속도와 맞물려 급속도로 변화 발전하면서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대한 기업의 신속하고 민첩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 시기에 본 연구 결과가 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show a variety of personalities.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fashion trends and are consuming a variety of related products. Currently, the Millennial generation, which has emerged as a major consumer of China, is a generation born in material abundance and raised in digital culture, with a different lifestyle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nd is the subject of research by modern companies and society.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s has promoted millennials' interest in and consumption of fashion, making them the main players in the global fashion market. They have emerged as trend leaders, accepting new things more easily. Fashion-conscious Chinese millennials pursue their own lifestyles and value new trends and personalities. Those who have entered society and become a working generation want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even when they wear officewear. Research shows that existing officewear do not meet Millennials' desire to express individ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illennials and develop an officewear fashion that meets their nee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fficewear that satisfies the desire of Chinese millennial working women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combines artistry and commerciality, and is meaningful for clothing companies studying design development to suit the tastes of millennial consumers. The research method combines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First of all, literature studies have examined the officewear of Chinese wome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empirical research, a quantitative study of 293 working women aged 25-34 years in China using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nese millennial working women put the most importance on design when choosing clothing, and there was a demand for clothing that expressed their individuality rather than existing office wear.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survey conducted to analyze specific needs are as follows: First, preferences for each fashion item were shown in order of blouse and shirt, T-shirt, dress, jacket, skirt, two-piece suit, pants, and coat. Second, the preferred styl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simple and classical styles, followed by trendy style and fancy and luxurious styles. Third, preferred design details for each item are as follows. For blouse, semi-fit, stand collar, V-neckline, bishop sleeves, medium colored woven fabric with fluttering drape-like, design accentuated with pockets were preferred. For dress with H-line, circular dress with above-the-knee length, medium-colored woven fabric which is soft and light, and design accentuated with pockets were preferred. The jacket was preferred for A-line, fishmouth collar, medium length of hip circumference line, single-welt pockets, medium-colored woven fabric, crispy-touch material, design accessorized with zippers, and buttons. As for coat, wide box-shaped, fingertip length, medium color, knitwear, slightly sheer material, and design accentuated with pocket had a high preference for design. For skirt, highest preference was shown in design accentuated with pockets, a sheath skirt, high-waist waistline height, knee length, medium color, knitwear, and soft and light fabric. As for the pants, high preferences were shown for designs with slim fit, high-waist waistline, mid-thigh length, medium-colored, knitwear, soft and light fabric, and accentuated with pockets. Based on these preferences, a total of four officewears were developed, including a set of blouse and skirt for spring, a jacket and pants for autumn, and a dress and coat that can be mix-matched from spring to fall. It was intended to express the elegance and soft atmosphere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by properly reflecting the color, form, and material. Inspired by a dancing ballet tutu, Design I is a two-piece suit consisting of a blouse and skirt. The blouse is made with semi-fit, bow collar, V-neckline, bishop sleeves, and Crocus Petal colored fluttering drape-like fabric, and the skirt is made with sheath fit, number one preference that best matches the blouse design, reflecting a non-decorative simple design with normal waistline height and knee length. The medium color Zen Blue and the material that makes the body shape look slim are made of woven to emphasize the image of a colorful, elegant, and professional working woman. Design II is a design that reflects the beauty of plants growing in nature and is a dress with pleats such as shirring and ruffle on Maxi Length. Unbalanced skirt shapes can give a variety of vibes, and Martini Olive, a medium color, was selected to develop a colorful and luxurious design with drape-like materials. Design III is a midi length coat that expresses the beauty of blooming petals and is decorated with buttons on the X-line fit for slim waist. The natural, warm-feeling woven material of the medium-colored Mellow Rose with soft shirring on the chest part and accentuates it with buttons between each shirring to express the intelligent, soft, and elegant charm of working women. The design IV highlights the theme of "Autumn" is a classic suit with a harmonious, natural, and healthy comfort jacket with an X-line waistline that is about the length of the middle hip circumference and has a fishmouth collar, single-welt pocket, and button decoration, and a medium-colored Butterum woven fabric which looks slim. The pants, which is a part of the two-piece suit have a slim fit design with waistline height and ankle length, giving the feeling of a traditional suit and expresses neat working woman with detailed styling. This study applied the workplace norms and preferences of working women in the Chinese millennial generation to develop an officewear with a new design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millennials while seeking to diversify the current Chinese fashion 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item-specific preference survey and attempted to design based on workplace norms to accurately identify consumer needs. Chinese officewear fashion has a challenge that needs to be subdivided variously to match the preferences and fashion sense of millennials who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s modern life, culture, and business change rapidly in line with the pace of technology's developmen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rapid and agile response of companies to consumer demand chan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4 Ⅱ. 이론적 배경 6 A. 밀레니얼 세대 직장 여성 6 1. 밀레니얼 세대의 정의 6 2.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 8 B. 직장 여성의 패션에 대한 고찰 15 1. 직장 패션의 중요성 15 2. 직장인의 패션과 규범 16 3. 밀레니얼 세대의 패션 취향 23 Ⅲ. 연구 방법 27 A. 설문 조사 27 1. 설문 구성 및 조사 대상자 27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9 B. 디자인 개발 30 Ⅳ. 연구 결과 32 A. 중국 밀레니얼 세대 직장 여성의 패션 선호도 설문 조사 결과 32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2 2. 직장 여성의 패션 선호도 및 소비 행동 35 3. 직장 내 패션 규범에 대한 인식 39 4. 아이템별 디자인 선호도 40 B. 디자인 요소 추출 및 디자인 기획 56 1. 디자인 의도 및 개발 방향 56 2. 콘셉트 57 3. 타깃 60 4. 이미지 포지셔닝 61 5. 컬러 62 6. 소재 64 7. 참고 치수 65 8. 작품 구성 66 C. 디자인 개발 67 1. 디자인Ⅰ 67 2. 디자인Ⅱ 76 3. 디자인Ⅲ 83 4. 디자인Ⅳ 90 Ⅴ. 결론 98 참고문헌 101 부록1. 설문지 (한국어) 108 부록2. 설문지 (중국어) 130 ABSTRACT 1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432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중국 밀레니얼 세대 직장 여성을 위한 패션 디자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shion Design Development for Working Woman of Chinese Millennial Generation-
dc.format.pageix, 1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산업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