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베이비부머세대의 일자리특성이 삶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베이비부머세대의 일자리특성이 삶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f BabyBoomers on Life Satisfaction :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el
Authors
남미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현재 노년층의 경제적 불안정성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공적이전소득의 소득대체율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 속에서 많은 노인들이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세대가 노인세대로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노년층의 주요 소득보장수단 중 하나로 제시되는 일자리사업은 의미없는 하향식의 일자리로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일자리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일자리사업 및 노인 노동시장의 개선을 통한 삶의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자리특성을 근로소득, 근로시간, 신체적 업무요구, 내용적 업무요구, 직무적합도로 구분하여 삶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외재적 직무만족도와 내재적 직무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논리를 살펴보았다. 원 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Korea Logitudinal Study of Ageing; 이하 KLoSA) 제 7차 기본조사를 사용하여 1955년 출생자부터 1963년 출생자 중 현재 수입을 목적으로 일을 하고 있는 사람 중에서 타인 또는 회사에 고용되어 임금을 받고 일하거나 본인의 사업을 한다고 답한 1,379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삶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자리특성의 하위요인은 근로소득과 직무적합도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비부머세대가 은퇴 이후 참여하게 된 일자리정책을 통한 소득획득이 노인 일자리 정책의 노후소득보전기능과 함께 삶의만족도를 증가시키며 교육수준, 기술수준 등에 있어서 베이비부머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일자리특성과 외재적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근로소득, 내용적 업무요구가 정(+)적 영향을 주었고, 신체적 업무요구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근로소득, 내용적 업무요구, 직무적합도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시간, 신체적 업무요구, 내용적 업무요구는 삶의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 근로자 또는 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신체적·내용적 업무요구와 같은 요인이 비교적 젊은 베이비부머세대보다 민감하게 작용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또한 근로시간의 경우 경제적 활동과 동시에 자신의 삶을 충족시키려는 베이비부머의 특성이 반영되었기 때문에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여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넷째, 기존 연구에서는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를 구분하여 살펴봤을 때 근로시간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외재적·내재적 직무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금과 삶의만족도의 관계에서 외재적·내재적 직무만족도 모두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직무적합도와 삶의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내재적 직무만족도만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의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일자리특성 중 임금이 삶의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삶의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일자리 정책의 노후소득보전기능의 강조와 동시에 단기적이고 성과중심의 일자리사업에서 장기적이고 질적으로 의미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베이비부머세대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도적 교육과 근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기존 노인 일자리 사업은 큰 직무만족도를 느끼기 어려운 업무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높은 근로소득, 주의력과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 신체를 활용하는 업무의 최소화, 교육수준과 기술수준에 적합한 직무를 제공해야한다. 셋째, 정부와 민간에서 베이비부머의 직무적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 즉 현재 직무적합성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 제공되는 노인 일자리 사업이 기존 일자리에서 갖고 있던 기술,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한다. 특히 정부주도만으로 질적으로 의미 있고 다양한 노인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민간분야의 노인 일자리 사업 확대 및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Currently, economic instability among older people is deepening, and the income replacement rate of public transfer income is gradually decreasing. In addition, many elderly people are employed in low-quality jobs in the service-oriented economic structure. With the baby boomer generation entering the elderly generation in earnest, the job project, which is presented as one of the main means of income guarantee for the elderly, is being pushed for meaningless top-down jobs. Therefore, the study seeks to find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projects and improve the labor market for senior citizens by identifying how job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affect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we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by dividing job characteristics into earned income, working hours, physical work demands, content work demands, and job suitability, and examined the logic of whether external job satisfaction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play a medium role in the process. The original data was used by the Korea Logistical Study of Ageing (KLoSA) 7th Basic Survey, which conducted multiple recursive analysis of 1,379 people who were born in 1955 to work for another person or company or who said they were employed for their own business. Summarizing the main content and resul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have been shown to be earned income and job suitability.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ustomized job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in education and technology levels, along with the preservation function of old-age income in job policies for senior citizen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earned income and content work requirements had a (+) effect, and physical work requirements had a negative effect. In relation to intrinsic job satisfaction, earned income, content work requirements and job suitability have a hypothetical effect. Third, working hours, physical work requirements, and content work requirements were found to have no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inferred that factors such as physical and content work requirements were more sensitive than those of the relatively young baby boomers compared to prior studies of older workers or working seniors.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working hour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because the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who wanted to satisfy their lives at the same time as economic activities. Fourth,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at working hours affect job satisfaction when looking at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but neither external nor internal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in this study. Fifth, both external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s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only intrinsic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ages have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relationships with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has an import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nstitutional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re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Since the existing job projects for senior citizens are centered on work that is difficult to feel great job satisfaction, they should provide high earned income, environment that can maintai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minimizing work utilizing the body, and providing jobs suitable for education and technology. Thirdl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must provide a variety of jobs to reflect the job suitability of baby boomers. In other words, the job project for senior citizens, which is provided simply without considering job suitability,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can utilize the skills and knowledge that existing jobs have.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expanding and revitalizing the job business for senior citizens in the private sector are needed, as there are limits to carrying out quality and diverse job projects for senior citizens al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