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 및 가정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 및 가정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on Depression in Married Female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uthors
권지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요인(전통적 가족가치관, 현대적 가족가치관, 성역할태도) 및 가정요인(연간가구소득액, 미취학자녀, 가사분담비율)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기혼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기혼 여성근로자를 위한 정책적 제언은 물론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실천적 개입근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요인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가정요인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요인 및 가정요인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이 매개하는가?’이다. 분석 대상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 규모의 패널조사인 여성가족패널 7차 조사에 참여한 만 19세~64세 여성 9,602명 중 기혼이면서 임금 근로자인 여성 2,083명이다. 연구 모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전통적 가족기치관이 강할수록 즉, 결혼과 가족을 중시하는 관념이 강할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현대적 가족가치관이 강할수록 즉, 결혼을 선택사항으로 개인의 가치관이 가족 안에서 해석되기 보다는 가족과 자신을 분리하여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정도가 클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역할태도의 경우,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공평한 수준이라고 인식하는 태도가 강할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가정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간가구소득액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연간가구소득액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정요인에서 객관적인 요소인 가사분담비율과 미취학자녀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여성근로자가 경험하는 객관적인 요인 보다는 여성이 가진 ‘태도, 가치관’의 주관적인 요소가 우울수준에 더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직무만족에 따른 우울을 확인했을 때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로는, 현대적 가족가치관에서만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석 내용에 따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가치관과 태도에 대한 접근이다. 본 연구에서 기혼 여성근로자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여성이 경험하는 객관적인 상황보다는 그 상황에서 여성이 스스로 어떻게 느끼는지의 주관적인 인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단지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 아니며,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가 가정 내에서 긍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남성의 인식변화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단, 개인의 가치관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단 시간 내에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에 보다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겠다.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접근이다.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진다는 결과로 비추어볼 때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조직에서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문화가 확산되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조직차원에서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기혼 여성근로자를 위한 정신보건정책에 대한 접근이다. 구마다 설치되어 있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일반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 예방을 위한 사업, 그 중에서도 기혼 여성근로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다양화 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과 예산 마련이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traditional family values, modern family values, gender role attitudes) and family factors (annual household income, preschool children, household share ratio) on depress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female workers by proving the mediating effect, and to provide a practical intervention basis from a social welfare point of view as well as policy suggestions for married female work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married female workers' personal factors affect depression?' Second, 'Do married female workers' home factors affect depression?', Third, 'Married female workers' personal and family factors and depression. Is job satisfaction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 The subject of analysis was 2,083 married and wage-earning women among 9,602 women aged 19 to 64 who participated in the 7th surve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Panel, a nationwide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For the research mod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onger the traditional family values ​​of married female workers, that is, the stronger the idea of ​​marriage and family,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tronger the modern family values, that is, the greater the degree to which marriage is an option, and the individual values ​​resulting from marriage are separated from the family and recognized as an individual existence, rather than being interpreted within the family, the level of depression increases. Also, in the case of gender role attitud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ttitude that the gender roles of women and men were not separated and perceived that they were at a fair level,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depress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it was found that annual household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nnual household income,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household factors, objective factors, such as housework sharing ratio and preschool childre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at the subjective factors of women's 'attitudes and values' are more important to the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objective factors experienced by married female workers. Fourth, when the depression caused by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ly in the modern family valu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main analysi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 approach to the values ​​and attitudes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lower the depression level of married female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 of how women themselves feel in the situ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objective situation that women experience. And this is not just for women. In order for family values ​​and gender role attitudes to work positively in the home, the change in men's perception must also be taken serious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ceed with a program for this purpose. However, changing individual values ​​and attitude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resolved in a short time, so a longer-term approach is needed. Second, it is an approach to job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actical system for reconciling work and family in an organization where they can maximize their abilities. .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mbine effor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ith the active publicity of the government to spread a culture that can make good use of the system for work-family balance. Finally, it is an approach to mental health policy for married female workers.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stalled in each ward, the national policies and policies are implemented and diversified to operate and diversify projects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of general residents and the prevention of mental diseases, especially for married female workers You will need a budge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