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4 Download: 0

박경훈 작곡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분석 연구

Title
박경훈 작곡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and composed by PARK Kyoung Hoon
Authors
이소흔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창작국악이 발전함에 따라 악기 개량이 시도되었고, 오늘날 국악창작곡에서 25현 가야금이 보편화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25현 가야금의 활용 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박경훈 작곡의 25현 가야금 연습곡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두 작품을 살펴보았다. 먼저 박경훈의 작품세계와 두 악곡의 작품개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주제동기와 악곡의 흐름을 고려하여 악곡 구조를 각 네 단락씩 나누어 단락별로 선율을 분석하고, 활용된 연주법과 그 출현횟수를 연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프로디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프로디테>는 총 80마디의 단악장으로, 주제동기와 악곡 흐름에 따라 크게 총 4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악곡 전반에 걸쳐 ♩=120 속도의 4/4박자로 나타났으며 c minor로 진행되었다. 음역은 E♭음부터 a♭ˈˈ음까지 폭넓게 나타났다. 둘째, 악곡의 선율은 전반적으로 16분음표(𝅘𝅥𝅯) 리듬으로 진행하여 각 박의 첫 음을 이용하여 선율선을 형성하였다. 제1단락에서는 파도형(상행-하행-상행), 상행 후 하행하는 선율선이 나타났다. 제2단락에서는 상행 후 하행, 하행 후 상행하는 선율선이 나타났다. 제3단락에서는 상행 후 하행, 하행 후 상행, 파도형(상행-하행-상행) 선율선이 나타났다. 이러한 선율 유형들은 음악을 표현하는 것에 있어 흐름을 가지고 연주자의 빠른 연주를 돕는 역할을 하였다. 악곡을 끝맺는 종결구(Coda)에서는 G음을 반복하다 C음으로 종지하였다. 셋째, 악곡의 연주법은, 제1단락에서는 두 박 단위의 모티브의 리듬의 형태를 빠르게 진행하여, 작곡가가 곡 설명에서 제시한 것과 동일한 휘모리풍으로 나타났으며, 운지는 검지(2)-엄지(1)-중지(3)-엄지(1)로 반복하여, 음색은 첫 박의 첫 음과 두 번째 박의 첫 음에서 차이가 났다. 제2단락에서는 리듬의 형태를 모티브로 가야금 산조의 휘모리와 동일한 형태로 나타났다. 왼손으로 각 박의 첫 음을 뜯고 오른손으로 각 박의 동음을 연튕김하는 연주법이 반복되었다. 제3단락은 제1단락과 동일하게 진행하며 운지는 검지(2)-엄지(1)-중지(3)-엄지(1) 순서로 반복되었다. 종결구는 제2단락과 같은 형태를 연튕김 연주하였다. <아프로디테>에서 활용된 연주법의 횟수를 살펴보면, 연튕김이 총 140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연튕김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면서 전통적이고 휘모리풍의 요소가 되었다. 이 외에 한 줄 아래 현으로 연주하는 주법이 총 50회, 한 줄 윗 현으로 돌아가는 주법이 총 48회, 화음을 뜯는 주법이 총 66회로 활용되었다. <아레스>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레스>는 총 57마디의 단악장 형태의 변주곡으로, 음형과 성부 변화에 따라 크게 총 4개의 단락으로 나뉘었다. 악곡 전반에 걸쳐 ♪=65 속도의 6/8박자로 나타났고, 조성은 E♭ Major로 진행되었다. 음역은 E♭음부터 a♭ˈ음ˈ까지 폭넓게 나타났다. 둘째, 악곡의 선율은 제1단락의 주제선율은 gˈˈ음에서 시작하여 C음으로 점차 하행하며 ‘e♭ˈˈ-dˈˈ’, ‘fˈˈ-e♭ˈˈ’, ‘b♭ˈ-a♭ˈ’음으로 현을 눌러냈다가 푸는 연주법이 나타났다. 제2단락의 제1변주부터 제3변주까지는 주제선율의 리듬을 분할하면서 E♭ Major로, 제4변주에서는 c minor의 화음반주를 더하였다. 제3단락의 제5변주와 제7변주는 주제선율과 보조선율, 그리고 분산화음형의 반주부까지 세 개의 성부로 진행하였다. 제6변주와 제8변주는 각각 제5변주와 제7변주의 상성부와 상성부의 리듬형태를 뒤바꾸어 나타났다. 제4단락의 제9변주는 화성적 진행은 양손을 활용하여 더욱 풍부한 음향을 내며, 주제선율의 확장을 통해 클라이맥스를 이루었다. 제10변주는 주제선율을 재현하며 이완하는 부분으로, 상성부는 제1변주와 동일하고, 하성부의 반주부는 제1변주와 같은 화성진행을 한 옥타브 낮추어 연주하였다. 제11변주는 악곡의 종지부로, 주제선율을 한 옥타브 낮추고, 화성진행은 베이스 음만을 활용하였다. 셋째, 연주법은 양손을 주로 사용하면서 한 줄 아래 현을 눌러내는 것과 같은 주법이 활용되었다. 주제부인 제1단락에서는 단성부로 진행하여 꺾는 음과 같이 한 박에서 한 줄 아래 현을 눌렀다가 곧바로 푸는 주법이 나타났다. 제2단락에서는 오른손으로 주제선율을 연주하며 왼손으로 반주성부를 연주하는 양손으로 진행하였다. 제3단락에서도 양손 주법의 세분화된 리듬으로 인하여 한 줄 아래 현을 눌렀다가 푸는 주법이 제외되었다. 이 곡에서 제8변주는 새롭게 세 음 화음을 빠르게 이어 뜯는 아르페지오와 같은 주법이 함께 나타났다. 제4단락에서도 양손 주법을 활용하였으나, 제10변주부터 리듬을 축소하고 제1단락의 주제선율인 원형으로 돌아가며, 한 박에서 한 줄 아래 현을 눌렀다가 곧바로 푸는 주법이 다시 활용되었다. 또한, 아르페지오와 같은 주법을 활용하여 풍부한 음향을 드러냈다. <아레스>에서는 한 줄 아래 현으로 연주하는 주법, 연튕김, 화음을 뜯는 주법, 아르페지오가 나타났다. 활용된 연주법의 비율을 살펴보면, 화음을 뜯는 주법이 총 141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25현 가야금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화성진행을 구사하고 있었다. 이 외에 한 줄 아래 현으로 연주하는 주법이 총 20회, 연튕김은 총 30회, 아르페지오는 총 10회로 활용되었다. <아프로디테>의 선율진행과 연주법의 특징은 악곡 전반에 걸쳐 16분음표(𝅘𝅥𝅯)로 이루어진 두 모티브를 중심으로 빠르게 연속진행햐며 휘모리풍으로 나타났다. 두 모티브는 두 박 단위로 첫 음이 선율음을 형성하고 옥타브 간격이 축을 이루는 음으로 이루어지는 모티브와, 선율음과 연튕김하는 음으로 이루어지는 모티브로, 상‧하행하는 선율음이나 축을 이루는 음, 연튕김하는 음이 다양한 음으로, 넓은 음역대에 걸치면서, 12현 가야금의 5음 음계에 익숙한 연주자들에게 25현 가야금의 7음 음계를 고루 활용하도록 하며 빠르게 반복진행하면서 작곡가가 의도한 바와 같은 휘모리풍으로 나타났다. <아레스>의 선율진행과 연주법의 특징은 네 마디의 주제선율을 중심으로 곡이 점차 변형을 통하여 11개의 변주로 이어지며, 주제선율성부와 반주성부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제시함으로써, 연주자가 주제선율을 16분음표(𝅘𝅥𝅯), 32분음표(𝅘𝅥𝅰), 64분음표(𝅘𝅥𝅱)로 세분화하여 리듬 표현, 뜯거나 아르페지오로 화성진행, 음역대의 이동과 같은 형태의 연주법이 나타났다. 성부추가나 성부 간 역할 변화와 같은 화음, 화성진행을 주요소로 진행하는 곡으로, 본래 단성부로 연주되던 전통 가야금을 확장하여 넓은 음역대로 양손 연주하는 25현 가야금 창작곡을 대비한 연주곡의 역할을 갖추고 있는 곡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분석을 통하여 25현 가야금이 활용되는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With the development of changjak gugak, or newly-composed Korean traditional music, efforts to modify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have been made, and use of the 25-string gayageum has become common in changjak gugak today. For this study, and —pieces for the 25-string gayageum composed by PARK kyoung Hoon—were chosen to study the special usage of the instrument. The study discusses the composer’s overall compositional ideas and provides outlines of the two pieces. It also analyses the melodies of the pieces by dividing each into four sections according to their theme melodies and musical flows. The playing techniques applied in both pieces are also explored and tallied. Results of the analysis of are as follows. First, is a piece in a single movement composed of 80 measures divided into four sections according to the theme melody and the flow of the music. It is in 4/4 time with ♩=120 tempo in C minor. The music ranges widely from E♭ to a♭". Second, the melody of the piece proceeds in general in using the 16th note, and the first note of each beat is used to form a melody line. The first section exhibits an ascending-descending-ascending (wave-shaped) melody line and an ascending-descending melody line. In the second section, an ascending-descending melody line and a descending-ascending melody line appear. And in the third section, ascending-descending, descending-ascending, and wave-shaped melody lines are found. These melody types help performers play quickly with a musical flow. The closing phrase (coda) ends on note C after playing the note G repeatedly. Third, as regards playing techniques, the first section contains a rhythmic pattern using the motif over two beats in fast tempo—similar to the traditional hwimori rhythmic pattern—as the composer mentions in his compositional note. Fingering is in the order of index-thumb-middle-thumb, with different timbres on the first note of the first beat and the first note of the second beat. The playing technique using one string below the main string appears a total of 24 times, returning to one string above a total of 21 times. In the second section, a rhythmic pattern using the motif appears in a form similar to that of the hwimory section in gayageum sanjo (a solo virtuoso instrumental genre). The playing technique of plucking the first note of each beat with the left hand and playing the same notes of each beat by repeatedly flicking with the right hand is repeated. The plucking technique appears a total of 53 times while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appears a total of 128 times. In the third section, the rhythmic motif and fingering technique are similar to those in the first section. The playing technique using one string below the main string appears a total of 26 times, returning to one string above a total of 26 times. In the closing phrase,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similar to the one used in the hwimori section of sanjo, is used. The technique of playing chords appears a total of 13 times, and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is found a total of 12 times. Of the playing techniques used in ,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is found the most often—a total of 140 times. As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continues to be used, it serves as a musical element that gives the piece a traditional hwimori sentiment. In addition, the playing technique using one string below the main string appears a total of 50 times, returning to one string above a total of 48 times, and chord playing is found a total of 66 times. The results of analyzing are as follows. is a single movement variation with a total of 57 measures, divided into four sec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lodic shapes and vocal parts. It is in 6/8 time with ♪=65 tempo, in E♭ major. The musical range is wide from E♭ to a♭". The theme melody in the first section starts on g" and gradually descends to C, with the use of the press-releasing technique which creates two different pitches, such as e♭"-d", f"-e♭", and b♭'-a♭', on the same strings respectively. In the second section, from the first to third variations, an E♭ major chord is added in the theme melody, and a C minor chord accompaniment is added in the fourth variation. In the third section, the fifth and seventh variations consist of the main melody, sub-melody, and accompaniment with arpeggiated chords. The sixth and eighth variations are characterized by their reversal of the rhythmic patterns of the melodies in the fifth and seventh variations. In the fourth section, the ninth variation climaxes with the extension of the theme melody, with a richer sound effect of harmonic progression using both hands. The tenth variation reproduces the theme melody with a relaxed sense, and the melody par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variation while the accompaniment is played an octave lower than in the first variation. In the eleventh variation, the last part of the piece, the theme melody is lowered by one octave, and only the bass notes are played in its chord progression. Third, various playing techniques, including plucking, repeated-flicking, pressing, and others, use both hands. In the first section in which the main theme is presented, the melody is performed in a single melodic line using the press-releasing technique on the string below the main string, which appears a total of 6 times. In the second section, the theme melody is played with the right hand, while the left hand plays the accompaniment. The playing technique of using one string below the main string appears a total of 4 times,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appears a total of 27 times, and chord plucking is found a total of 32 times. In the third section, the press-releasing technique is excluded because of the subdivided rhythms played by both hands. In the eighth variation, an arpeggio technique in which three chords are quickly plucked appears.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appears a total of 3 times, the chord plucking technique is seen a total of 63 times, and the arpeggio technique appears twice. In the fourth section, the two-hand playing technique is used. However, from the tenth variation, the rhythms have been reduced to return to the original theme melody, and the press-releasing technique is applied. In addition, the sound is enriched by using playing techniques such as arpeggios. The press-releasing technique appears a total of 10 times, the chord plucking technique is used a total of 44 times, and the arpeggio technique appears a total of 8 times. In , the press-releasing, repeated-flicking, chord plucking, and arpeggio techniques are applied. The chord plucking technique appears most often: a total of 141 times, indicating that various chord progressions, which could possibly be expressed by the 25-string gayageum, are in use. The press-releasing technique appears a total of 20 times, the repeated-flicking technique is seen a total of 30 times, and the arpeggio technique is applied a total of 10 times. is a composition in the hwimori style as it progresses quickly and continuously with two motifs made up of 16th notes throughout the piece. Based on the two motifs, each in a two-beat unit, the first notes of the motifs form the melodies. One motif is in a form in which one note is used as a base note and melodic notes are stacked alternately within an octave, while the other motif consists of repeated-flicking not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lodies, the base-and-alternative notes melody, and the repeated-flicking notes occur over wide musical ranges. This allows players familiar with the pentatonic scale of the 12-string gayageum to experience the chromatic scale of the 25-string gayageum. As the melodies are repeatedly performed at a fast tempo, the composer’s intention for the piece to reflect the traditional hwimori style is clearly evident. In , based on the theme melody in four measures, the melody progression and playing techniques are gradually developed into 11 variations, and the theme melody and accompaniment are organically combined and presented. The main melody is continuously subdivided into 16th, 32nd, and 64th notes, and playing techniques such as plucking, chord progression in arpeggios, and shifting musical ranges are used. This work uses harmony and chord progressions as primary elements by applying additional parts and role changes between parts. It could be seen as a preparatory piece for 25-string gayageum compositions applying the use of both hands with expanded musical ranges for performers who are accustomed to playing the traditional 12-string gayageum, which is usually played with a single melody. I hope that this analytical study of and will be helpful in examining aspects of the use of the 25-string gayage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