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인물상을 중심으로 본 앨리스 닐(Alice Neel)의 휴머니스트적 태도

Title
인물상을 중심으로 본 앨리스 닐(Alice Neel)의 휴머니스트적 태도
Other Titles
A Study on Humanistic Attitude of Alice Neel : Focused on Human Figures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into and an analysis of the humanistic attitude in paintings by Alice Neel (1900-1984). She has maintained a humanistic demeanor through works that concentrate on human figures even though Abstract Expressionism, a 20th-century art movement, was in the mainstream of postwar American art. Neel explored human existence in tumultuous period such as the Great Depression, rather than any individual attribute. In this process, she portrayed humans marginalized by a social system or expressed figures’ faults without making any adjustments. This study considers that her artistic attitude was initiated by her humanistic demeanor to denounce an unequal social reality and enhance the value and dignity of downtrodden humans. It tries to categorize her works into various human images and analyze those figures from the humanist point of view. Her humanistic attitude resulted from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early 20th century America and her personal experience as well.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she started her artistic career, the United States was in a chaotic situation due to an economic crisis. Neel tried to faithfully reflect this social reality while involved in the Communist Party of the USA and the federal art project. During this period she began focusing primarily on human life through portraits of people of various social classes, portraying the human body realistically. Also influenced by social realism art taking note of the lives of poverty-stricken workers and immigrants, Neel’s work was designed to reflect a social atmosphere fraught with discrimination. Triggered by her interest in humans sacrificed by materialism, her artistic activity later developed into a humanistic attitude. And this attitude was shown diversely through a variety of figures, irrespective of their class, sex, and race. Neel, who began her artistic activity in earnest in the 1930s during the Great Depression, urged the public to pay attention to the alienated working class, depicting the wretched reality of workers facing unfair dismissal and unemployment as labor market contraction was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In addition, her paintings feature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and social figures associated with the human rights movement. Neel tried to clarify her stance pertaining to human rights problems through portrayals of black civil rights activists and women activists, reflecting aspects of the human rights movements. Her perspective toward race issues was concretely embodied after she moved to Spanish Harlem, New York in 1938. Neel also tried to overcome dichotomous prejudice like whites and races of color in a way that symbolically represented different races, their outer appearances, and their diverse identities. In closing, she also made an attempt to liberate women suppressed by the sexually hierarchical structure not by beautifying her own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such as pregnancy and childbirth. This attitude was extended to a way of depicting the faults and flaws of physically aging elderly people and people around her without any adjustment. This derived from her intention to show that all characters in her works are equal irrespective of their status, class, or sex.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various types of figures in her works derived from her own consistent artistic demeanor to ultimately document her time and its people despite their various differences. Her work has been consistently researched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by reason that she is a woman artist. However, her work features figures from various backgrounds of course including women. Thus, this paper intends to cast light on her practices from a humanistic point of view in order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s, including the feminist point of view. This approach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address her paintings comprehensively in terms of politics, figures, family, lovers, and races of color. ;본 논문은 미국의 미술가 앨리스 닐(Alice Neel, 1900-1984)의 회화에 나타난 휴머니스트적 태도의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닐은 20세기에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라는 새로운 미술 동향이 미국 미술계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음에도, 꾸준히 인물의 형상을 중점적으로 묘사한 작품을 통해 인간을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태도를 견지해왔다. 그녀는 인간의 개인적인 속성보다는 대공황 같은 격동의 시기를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인간 존재를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체제로 인해 소외된 인간을 작품에 등장시키거나 인물의 결점을 가감 없이 표현하는 작업방식을 고수하였다. 본 연구는 그녀의 예술적 태도가 불평등한 사회 현실을 고발하고 실추된 인간의 가치와 존엄을 재고하는 휴머니스트적인 태도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았으며, 그녀의 작품을 다양한 인물상으로 구분하여 각 인물의 표현에 담긴 휴머니스트적인 시각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닐의 휴머니스트적 태도는 개인적 경험과 함께 20세기 초 미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에서 기인하였다. 그녀가 작품 활동을 시작했던 20세기 초 미국은 경제적 위기에 직면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닐은 미국 공산당과 연방 예술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이러한 사회 현실을 작품에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에 그녀는 정식 미술 교육을 받으면서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초상화와 인체의 사실적인 표현 방식을 통해 인간의 삶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도시의 가난한 노동자, 이민자의 삶에 주목한 사회적 리얼리즘 미술의 영향 하에 닐은 자신의 작품에 차별이 만연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물질만능주의로 인해 희생된 인간을 향한 관심에서 시작된 그녀의 작품 활동은 이후 인도주의적 태도로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태도는 계층·성별·인종과 상관없는 다양한 인물의 형상을 담은 작품을 통해 여러 양상으로 드러났다. 대공황이 일어난 1930년대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 닐은 미국 경제의 위기로 노동시장이 위축되면서 부당해고와 실업사태를 맞이한 노동자의 비참한 현실을 표현하여 소외된 노동 계층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그녀의 작품에는 다양한 인권 운동과 관련된 정치·사회적 인물이 등장한다. 닐은 흑인 민권운동가와 여성 운동가의 모습을 여러 유형으로 묘사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던 당대 인권 운동의 상황을 반영하여 인권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인종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1938년 뉴욕 스페니쉬 할렘으로 거처를 옮긴 뒤 구체화되었다. 닐은 유색인종의 외형과 함께 이들이 가진 다양한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방법을 통해 백인과 유색인이라는 이분법적인 편견을 뛰어넘으려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녀는 임신과 출산 같은 자전적 경험을 미화시키지 않음으로써 성적위계 구조로 억압받는 여성을 해방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신체적 노화를 겪는 노인과 주변 인물의 결점을 가감 없이 묘사하는 방법으로 확장되었는데 이는 자신의 작품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이 신분, 계급, 성별에 상관없는 동등한 인간 존재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던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연구는 닐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의 유형이 표현방식에서는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에도,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중심으로 시대를 기록하고자 하였던 그녀만의 일관된 예술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 작가라는 이유로 그녀의 작품은 줄곧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연구되곤 하였다. 그러나 닐의 작품은 여성 외에도 다양한 계층의 인물이 등장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성주의적 시선을 포함하면서도, 해석의 가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휴머니스트적 관점으로 작품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나아가, 그간 간과된 정치 인물, 가족, 연인, 유색인종 같은 작품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