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First year calf mortality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Title
First year calf mortality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Authors
하정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이권
Abstract
The first year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life is the most vulnerable period in their life. During this period, the parenting of mother dolphins has significant impact on the survival of the calves. Investigating the survival or death of new-born calve in their first year can present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female dolphins in a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photographs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were used, which were collected during the monitoring research between 2015 and 2019.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mother dolphins and calves, reproductive parameters such as first year calf mortality, the appearance of new-born calves and interbirth intervals were found. For the first year calf mortality calculation, only the cases when the new-born calves were confirmed to be survived or died within a year were included. The number of sightings of dolphin groups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was 388 days. 71 identified mother dolphins and 135 calves were found. Among the calves, 94 calves were newly born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births of calves were showed in every month with relatively higher number in July and August. 36 interbirth interval cases were found from 25 different mothers and most of the cases showed 1 year interval. 63 new-born calves were included for first year calf mortality calculation and showed 0.27 as the result. This calf mortality value might have been up to 0.43 if the 17 new-born calves that were excluded at the calculation because of the lack of followed data were found to be dead within a year. The value of calf mortality of Jeju population seems slightly higher than other references. However, for the more accurate comparison, further research of reproductive parameters in Jeju population are needed. Also, the long-term monitoring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r deeper understating of reproductive ecology of individual females and furthermore, the ecology of the population. ;남방큰돌고래(Tursiops aduncus)의 삶에 있어 생애 첫 일년은 생존에 가장 취약한 시기이며 동시에 어미의 보살핌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새끼 돌고래의 생존과 사망을 조사하는 것은 암컷 돌고래 개체마다의 번식 특성 뿐만 아니라 개체군 단위의 번식과 관련된 생활사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대한민국, 제주도에 서식하고 있는 남방큰돌고래 개체군을 대상으로 진행된 모니터링 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어미와 새끼의 출현에 초점을 맞추어 관찰할 수 있는 번식의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새끼 돌고래의 출현 시기의 양상 및 어미 돌고래의 번식 간 간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연구기간 중 출생한 새끼 돌고래들을 대상으로 제주도 남방큰돌고래 개체군의 1년 이내 새끼의 사망률을 도출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 사이 진행된 모니터링 조사 중 돌고래 무리를 발견한 날은 388일이며 개체 식별된 어미 돌고래의 수는 총 71마리, 이들과 함께 관찰된 새끼 돌고래의 수는 총 135마리이다. 연구기간 중 새로 태어난 새끼는 94마리이며 모든 달에 새끼가 태어나지만 7, 8월에 더 많은 새끼 돌고래가 태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출생 간 간격은 년 단위로 도출되어 25마리의 어미 돌고래에게서 총 36개의 경우를 관찰하였다. 2015-2018년 사이에 출생한 새끼 63마리 중 46마리의 새끼는 1년 이후에도 생존함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17마리의 경우 사망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기간 내 제주도 남방큰돌고래 개체군의 1년 이내 새끼의 사망률은 0.27 이라는 결과를 가진다. 첫 출현 후 1년 이내 사라져 생존 혹은 사망의 추정이 불가능한 17마리의 새끼 돌고래가 사망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최대 0.43의 사망률을 보일 수 있다. 타 지역의 큰돌고래과 개체군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제주도개체군의 1년 이내 사망률은 결과는 조금 높은 결과값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추가적인 후행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더욱 체계적인 장기 모니터링 조사를 통해 개체 단위의 정보 분석이 더해진다면 새끼의 사망률을 비롯해 암컷 돌고래의 번식 생태에 대한 더 정확한 결과 분석과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