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8 Download: 0

Theory of the Dead’s Mind

Title
Theory of the Dead’s Mind
Authors
정다운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김성호
Abstract
Decades of theory of mind research have mainly disclosed much about the children’s capabilities to understand the minds of ordinary humans and then have expanded to studies of the minds of nonhumans and extraordinary agents, including God, since Barrett and colleague’s work (2001). Numerous studies of the mind of God have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religious belief. However,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general religious belief consists of belief in God and the afterlife, it should be surprising that very little has been carried out on the children’s understanding about the mind of a dead person.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children have a different conception of the dead agent’s mind from the living agent. Unveiling the children’s conception of the dead’s mind would facilitat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religious belief development. For this, children were assigned to two conditions (dead or alive condition) and were told a story of personified mice and an alligator. The traditional false belief task, "Sally-Anne task," was added to the story. Children in the dead condition were told that the main character was dead, whereas children in the alive condition were told that the main character survi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children understood that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agent cease after death, while they also believe that the agent’s mind still continues after death. It suggested that the belief in the afterlife would emerge from the innate cognitive predisposition. However, children did not differentiate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dead from those of the living ag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ead's minds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anthropomorphism hypotheses. In other words, children's conception of transcendental entities such as God may be innate, but the understanding of transcendental abilities is not innate. Meanwhile, interesting results were shown in the response to the protagonist's mother presented as another living agent. Unlike previous studies, young children in the dead condition attributed less false beliefs to mommy mouse than the dead agent. At the same time, young children in the alive condition also attributed mommy mouse less false belief than the protagonist, even though they were both living agents. This result seems to be originated the young children's tendency of assigning super-knowing abilities to mother. Therefore, the inclusion of a variety of agents in the story in future studies would provid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theory of mind. The present study expanded the previous theory of mind research and was the first attempt to reveal that children do not inherently distinguish the minds of the dead from the living; thus, the children’s conception of the dead beyond time and space is more likely to be a cultural influence than an innate tendency. This study also helped to enrich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human religious beliefs.;수십 년 동안 마음 이론 연구는 주로 평범한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아동들의 능력에 대해 밝혀왔다. 틀린 믿음 과제를 통해 신과 여러 동식물의 마음에 대한 아동들의 이해를 탐구한 Barrett과 동료들의 연구(2001)가 발표된 후 지난 20년 간 마음 이론 연구는 신을 포함한 다양한 초월적 존재의 마음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며 인간의 종교적 믿음에 대해 이해하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일반적인 종교적 믿음이 신과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죽은 사람의 마음이나 죽음에 대한 아이들의 이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틀린 믿음 과제를 통과할 수 있는 연령인 4-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죽은 행위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아동이 주인공에게 틀린 믿음과 옳은 믿음 중 어떤 믿음을 부여하는지 반응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동이 죽은 행위자의 마음을 개념화하는 반응 양상은 아동이 신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을 바탕으로 추론해볼 수 있다. 아동은 선천적으로 인간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습득한 후 이를 인간 외 대상에게 동일하게 적용한다는 의인화 가설(anthropomorphism hypothesis)에 따르면 아동은 살아있는 평범한 인간 행위자의 마음에 대한 이론을 기본 틀로 삼아 죽은 행위자에게도 틀린 믿음을 부여할 것이다. 반면, 어린 아동이라 할지라도 각 행위자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그에 합당한 속성을 추론한다는 내용의 준비성 가설(preparedness hypothesis)에 따르면 아동은 죽은 행위자를 시공간을 초월하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초월적인 인지 능력을 부여하므로 살아있는 행위자에 비해 죽은 행위자에게 틀린 믿음을 덜 부여할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틀린 믿음 과제인 ‘샐리-앤 과제’를 의인화된 쥐와 악어가 등장하는 이야기에 추가 및 각색하여 들려준 후 아동이 각 행위자 - 주인공 꼬마쥐, 엄마쥐, 신 - 에게 어떤 믿음을 부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을 하였다. 이 때, ‘죽음 조건’에 배정된 아동들은 주인공 쥐가 악어에게 잡아 먹혀 죽게 되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고 ‘생존 조건’에 배정된 아동들은 주인공 쥐가 죽지 않고 살아 남은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참여 아동은 생리적인 속성은 죽음을 기점으로 기능을 멈추지만 마음의 속성은 사후에도 이어진다는 응답을 하며 사후마음영속성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죽은 행위자의 인지 능력에 대해서는 살아있는 행위자와 차별화하지 않고 동등한 속성을 부여하였다. 이 결과는 죽은 사람의 마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가 의인화 가설의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초월적 존재에 대한 인간의 이해는 선천적일 수 있으나 초월적 능력에 대한 이해는 선천적인 것이 아니다. 한편, 또 다른 살아있는 행위자로 제시된 꼬마쥐의 엄마에 대한 아동의 응답에서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일반적인 인간 행위자인 엄마에게 다른 비인간 행위자보다 더 많은 틀린 믿음을 부여했던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죽음 조건’의 어린 아동들은 죽은 꼬마쥐보다 살아 있는 엄마쥐에게 틀린 믿음을 덜 부여했다. 또한 ‘생존 조건’의 어린 아동 역시 꼬마쥐와 엄마쥐 모두 살아있는 행위자임에도 불구하고 엄마쥐에게 틀린 믿음을 덜 부여했다. 이는 어린 아동일수록 엄마의 인지 능력에 대해 초월적 속성을 부여하는 믿음의 경향성이 응답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여겨지는 바,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행위자를 이야기에 포함시킨다면 여러 행위자에 대한 아동의 마음 이론 양상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마음 이론 연구를 확장하여 죽은 사람의 마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를 탐구한 첫 번째 연구이며, 따라서 인간의 종교적 믿음의 발달에 대한 이해를 풍성하게 해주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