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Stanley Kubrick’s Cinema of Fantastic Spectacle

Title
Stanley Kubrick’s Cinema of Fantastic Spectacle
Other Titles
스탠리 큐브릭의 환상적 스펙터클 연구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968)와 『샤이닝』(1980)을 중심으로
Authors
이정행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형숙
Abstract
This study emerges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films of Stanley Kubrick, one of the greatest American auteurs of the twentieth century, only demonstrate a dismal world and (re)produce impotence. Chapter one, thus, begins by examining how scholars and critics have evaluated Kubrick’s artistic vision as an auteur. From the way his works reflect his own distrust in the innate goodness of man, critics have, at large, assessed Kubrick’s singular creative vision as deeply pessimistic and cynical. Even Robert Kolker, a prominent Kubrickian scholar, regards Kubrick as “cold,” listing passivity and aloneness as his central image. Though there have been studies which examine Kubrick’s optimism by analyzing his mise-en-scène and the free will of his characters, this study intends to go a step further by investigating the spectacular aspects of his films. Thus, this study focuses on two of his most spectacular and commercially successful films: 2001: A Space Odyssey and The Shining. In analyzing these two film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Kubrick’s visuals do not stand merely to sensationally satisfy an audience but to in fact critique what Guy Debord calls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That is, the socio-cultural climate of late twentieth century America where spectacle became employed to stupefy and numb viewers through awe and mystification. In particular, borrowing the framework of the fantastic, this study identifies in 2001: A Space Odyssey and The Shining that Kubrick utilizes “fantastic spectacles,” “unreal” visuals that transgress natural order and cinematic realism, to keep viewers critically engaged and to interrogate the authoritative “truth” of spectacular surfaces, the entrapping illusions of America’s advancement. In chapter two, I investigate how through 2001: A Space Odyssey, despite its title which suggests a distant future, Kubrick actually critiques contemporary culture, the exhibition of technological spectacles in the time of the Cold War. To do this, I first discuss how various visual schemas of the film can be read as fantastic, which in turn allows the film to eschew escapism and entangle itself to the here and now. Upon this foundation, I then analyze how Kubrick, in earnest, interrogates the era of technological abstraction through HAL 9000, the A.I. computer. Finally,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Dave Bowman’s trail to rebirth, I attempt to illuminate Kubrick’s hope, one based on humanity’s capacity to look past alluring spectacles and speculate where technology is taking us. In chapter three, I explore how The Shining critiques the nostalgia culture that emerged in America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especially its tendency to misrepresent history by supplanting the country’s bloody past with cultural opulence. In a similar manner to the previous chapter, I first identify how Kubrick visually establishes the setting of the film, the Overlook Hotel, in the fantastic through Danny’s supernatural visions and Jack’s nostalgic “hallucinations” there. I then discuss how by making viewers hesitant towards the nature of the “ghosts” that Jack sees, whether it is self-generated or imposed upon him by the insidious hotel, Kubrick implies that the problematic condition of nostalgia is at once personal and social. What is more, by pointing to how the Overlook can be read as a symbol of America, I examine how Kubrick’s critique of and hope for the country is further implied in the different fates of the characters. In particular, by analyzing how Jack remains forever entrapped in the hotel’s maze as he refuses to acknowledge its horrors while Danny and Wendy successfully escape through shining, a metaphor for the ability to honestly see the past for what it is, I deduce that Kubrick’s hope lies in the fact that as long as there are those who are capable of self-awareness there is hope for American history and its future. In chapter four, contrary to the critical assessment that Kubrick does not challenge prevailing cultural conditions but merely presents chaos and antagonism, I conclude that Kubrick does interrogate contemporary culture via fantastic spectacle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Dave’s rebirth and Danny’s and Wendy’s escape, I argue that Kubrick als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hange. ;본 논문은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미국 감독 중 한 명인 스탠리 큐브릭 (Stanley Kubrick)의 영화가 음울한 세계만을 보여주고 무력감을 (재)생산하기만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비롯된다. 이에 따라, 제 1장에서는 먼저 작가(auteur)로서 큐브릭의 예술적 시각에 대한 평가를 살펴본다. 비평가들은 대체로 그의 독창적인 비전을 매우 비관적이고 냉소적이라고 평가해왔다. 큐브릭 연구에 있어 저명한 학자인 로버트 콜커(Robert Kolker) 역시도 수동성과 외로움을 그의 중심 이미지로 꼽으며 그를 차가운 감독으로 평가한다. 한편, 큐브릭의 작품 속 미장센과 등장인물들의 자유의지를 분석함으로써 그의 낙관주의를 검토한 연구도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그의 영화 속 ‘스펙터클(spectacle)’을 분석함으로써 한 걸음 더 나아가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그의 작품 중 가장 ‘스펙터클’하면서도 상업적으로 성공한 두 편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2001: A Space Odyssey, 1968)와 <샤이닝> (The Shining, 1980)을 중심으로 큐브릭이 어떻게 미국 사회를 비판하면서 나아가 희망을 제시하는지 고찰한다. 두 영화의 스펙터클을 분석함에 있어 본 논문은 큐브릭의 영화 속 시각적 요소들이 단순히 관객을 말초적으로 만족시키는 데에 그치지 않고, 기 드보르(Guy Debord)가 말하는 "스펙타클 사회 (the society of the spectacle)"에 대한 비판으로까지 나아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특히 환상성 개념(the fantastic)을 토대로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샤이닝>을 살펴보는데, 큐브릭은 본고에서 “환상적 스펙터클 (Fantastic Spectacle)”이라고 명명하는 비판적 방식으로 스펙터클을 활용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본고에서 말하는 “환상적 스펙터클”이란 자연적 질서와 영화적 리얼리즘(cinematic realism)을 위반하며 환상문학 이론의 주창자인 츠베탕 토도로프(Tzvetan Todorov)가 말하는 머뭇거림을 야기하는 “비실제적” 시각 요소이다. 즉, 큐브릭은 이러한 스펙터클을 통해 관객의 온전한 몰입을 방지하며 보다 비판적인 자세로 영화를 보게끔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큐브릭은 영화의 서사를 통해 미국의 발전과 위대함을 나타내는 듯한 사회적 스펙터클들이 얼마나 현혹적이고 일종의 허상인지 심문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제 2 장에서 본 논문은 큐브릭이 시각적인 전략들로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영화 내부 세계(diegesis)를 어떻게 현재와 미래 사이의 환상성에 위치시키는지 먼저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제목이 암시하는 것과 달리 먼 미래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인 냉전 시대의 미국을 비판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특히, HAL 9000이라는 인공지능을 통해 당대 기술 전시 문화를 어떻게 비판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데이브 보우먼(Dave Bowman)의 재탄생 행로의 의의를 추적함으로써 큐브릭의 희망을 밝힌다. 제 3장에서 본 논문은 <샤이닝>을 통해 큐브릭이 어떻게 피비린내 나는 과거를 간과한 채 노스탤지어(nostalgia)에 빠져드는 20세기 후반 미국 문화를 비판하는지 살펴본다. 앞선 장과 비슷한 방식으로, 먼저 큐브릭이 어떻게 호러(horror) 장르의 시각적 요소들을 활용해 오버룩 호텔(the Overlook Hotel)이라는 영화의 내부 세계를 실제와 비실제 사이에 존재하는 환상적인 공간으로 그려내는지 분석한다. 특히, 광란의 20년대(the Roaring Twenties)를 체현하는 호텔의 ‘유령들’을 사실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그것이 잭 토런스(Jack Torrance)의 환각인지 음험한 호텔이 내세우는 환상인지에 대해 큐브릭은 관객을 주저하게 만드는데 이에 따라 그는 이러한 노스탤지어적인 환상이 개인의 문제인지 사회적 차원의 문제인지 구별하기 쉽지 않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최종적으로, 영원히 오버룩 호텔에 갇히는 잭의 결말과 달리 대니(Danny)와 웬디(Wendy)의 성공적인 도피의 양상과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큐브릭의 희망은 과거를 정직하게 보고 그것을 기반으로 행동력을 발휘하는 이들에 있음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큐브릭이 환상적인 스펙터클을 이용해 동시대 문화, 특히, 냉전시대 기술 전시 문화와 20세기 후반 노스탤지어 문화를 비판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데이브의 재탄생과 대니, 웬디의 탈출이 가지는 의의를 강조하면서 큐브릭은 변화의 가능성과 희망을 제시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