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의 다단어 단위 연구

Title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의 다단어 단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ultiword Unit for Korean Pedagogy Theses :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the Move.
Authors
윤새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다단어 단위는 ‘연속된 둘 이상의 단어 조합’을 뜻하는 것으로 담화 구성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다단어 단위는 학문적 경계의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한국어의 경우에는 학술 텍스트에서의 다단어 단위 사용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나 다단어 단위 목록은 쓰기 능숙도가 낮은 이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코퍼스 분석에 기반을 두어 학술 텍스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단어 단위를 추출하거나 이동 마디 분류를 중심으로 한 수사적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자 직관에 의한 다단어 단위가 선정되었다. 그러나 다단어 단위와 이동 마디는 모두 담화 구조의 핵심 표지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각 이동 마디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효과적인 장르 교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다단어 단위를 추출하고 이를 이동 마디와 연결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으로 그 대상을 한정한 이유는 기존 연구들을 통해 학술 텍스트 유형과 전공에 따라 사용되는 다단어 단위는 물론 이동 마디 구조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보다 대표성을 갖춘 코퍼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그 동안 쟁점이 되어 온 다단어 단위 관련 용어와 개념, 추출 단위 및 추출 기준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착어인 한국어 다단어 단위 연구에서는 형태소 단위의 분석이 적합하며, 한 어절이 약 두 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4-gram부터 10-gram까지의 다단어 단위를 살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후에는 한국어 교육학 전공 석·박사 학위 논문 200편을 수집하여 약 260만 어절 규모의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빈도 기준과 범위 기준을 충족한 다단어 단위는 평정 과정을 거친 이동 마디-단계와 연결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에서 추출된 다단어 단위는 한국어 문어, 특히 기타 학술 장르에서 빈번하게 출현하는 다단어 단위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짧은 길이의 다단어 단위 상당수는 여러 이동 마디-단계에서 중복 등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대부분 기능어로 구성된 이들 다단어 단위와 함께 사용되는 내용어는 한정적이었는데, 이에 현직 한국어 교수자 3명과 함께 각 항목에 대한 교수 가치를 확인하고, 교수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 다단어 단위에 대하여 이들 다단어 단위에 선/후행 하는 어휘를 내용어를 중심으로 살폈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에서 사용되는 다단어 단위의 개념과 기능의 명료성을 높여 교수·학습의 효용성을 높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장르 분석 연구에서 연구자의 직관에 의해 제시되었던 다단어 단위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다단어 단위가 등장하는 이동 마디 및 함께 사용되는 내용어와 함께 제시함으로서 교수·학습의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에서의 다단어 단위의 사용 경향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각 이동 마디에서 다단어 단위의 기능에 대해 면밀히 살피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 학위 논문의 구성 요소로서 다단어 단위와 이동 마디를 함께 고려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앞으로 다단어 단위의 기능과 교수·학습 연구 등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에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multiword unit mean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nsecutive words’ and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discourse composition. The multiword unit plays a role in the academic boundary. Especially, in case of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multiword unit in academic texts is higher, and a list of the multiword unit can be very useful for those with low proficiency in writing. In the previous research, a multiword unit which is frequently used in academic texts was extracted based on corpus analysis, or a multi-word unit was selected by a research intuition focusing on rhetorical structure centered on move classific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the multiword unit and the move together because they act as the core markers of the discourse structure. It would be an effective genre of teaching to be able to have universally used language knowledge at each move. In this study, I tried to extract the most commonly used multiword uni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is and link it with the m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subject from the Korean pedagogy thesis because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ve structure as well as the multiword unit used according to the academic text type and major by the existing studies. In order to construct a more representative corpus, I discussed the terms related to the multiword unit, concepts, extraction units, and extraction criteria that have been issues in the past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morpheme unit analysis is suitable for the Korean multiword unit study, which is a settled word,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ultiword unit from 4-gram to 10-gram considering that a word consists of about two morphemes. After that, I collected about 20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in the Korean language pedagogy and constructed a corpus of about 2.6 million word-sized Korean pedagogy theses. The multiword unit that meets the frequency criterion and the range criterion are linked to the move-process through the rating process. As a result, the multiword unit extracted from the Korean pedagogical these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Korean words, especially those frequently appearing in other academic genres. In addition, many short words with multiword unit tended to appear in multiple moves. However, the content word which is composed mostly of the function word was limited, and the teaching value of each item was confirmed with three current Korean teachers; we have focused on the vocabulary which is used for each of these words. It is intended to enhance the clarity of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multiword unit used in the dissertation of Korean language pedagogy 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presents more objective evidence about the multiword unit that was presented by the intuition of the researchers in the existing genre analysis research, and it shows the efficac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presenting it together with the move with the content wor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tried to raise the efficacy of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did not pay close attention to the function of multiword unit in each move in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tendency to use multiword unit in Korean pedagogy theses. Nevertheless, there is no research that considers the multiword unit and the move as components of theses in Korean language pedagogy. Therefore,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multiword unit and teaching-learning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