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은-
dc.contributor.authorFEI, JIE-
dc.creatorFEI, JIE-
dc.date.accessioned2021-02-17T16:30:38Z-
dc.date.available2021-02-17T16:30:3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5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56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9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20~30대 BMI지수 25kg/m2이상의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블 라우스 착용 시 생긴 맞음새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였다. 3종 기존 교육용 패 턴을 비교하여 기존패턴으로 선정된 3명 연구대상자의 신체치수를 기준으로 1차 교육용 패턴 실험복을 제작하여 연구대상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에 대한 착의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어 착의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비만 체형 과 잘 맞지 않는 항목을 수정 및 보완하여 비만 여성의 신체 결점을 보완하고 시각적으로는 날씬해 보이면서 활동성이 높은 비만 여성을 위한 최적의 패턴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BMI지수 25kg/m2이상의 비만 전 단계 여성을 대상으로 신 체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BMI 지수에 따라 그룹1 정상 BMI 그룹(18.5kg/ m2이상~25kg/m2미만), 그룹2(25kg/m2이상)의 비만 BMI 그룹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대한비만학회, 2019) 비교해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구분에 따라 신체치 수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레, 너비, 두께, 길이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가슴너비,유장과 유폭 등 블라우스 패턴 제도 시 주된 관계가 있는 치수가 그룹2가 그 룹1 정상 BMI 그룹에 비해 집단의 값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또한, 높이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에서는 그룹1 정상 BMI 그룹이 그룹2 비만 BMI 그룹보다 값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20~30대 BMI 25kg/m2이상의 비만 여성 소비자를 블라우스의 구매실 태, 착용실태와 선호 디자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비만 여성이 블라우스 기성복을 구입 후에 수선 경험이 있다라는 응답이 65.6%로 크게 나타났으므로 기성복 착용 시 많은 문제가 셍기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 었다. 특히, 허리너비, 가슴너비, 어깨너비에 대한 불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74.0%의 비만 소비자가 일주일에 2일 이상 블라우스를 착 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비만 여성은 자신의 체형 인식에 대해 45.8%가 살찐 편, 54.2%가 매우 살쪘다고 응답하였기 때문에 비만 여성은 자신의 신체에 대 해 자신감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셋째, 기존 교육용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 3종에 대해 피험자 3인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착의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착의적합성을 평가한 결과,3종의 패턴 중에서 패턴C의 착의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패턴C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기존 패턴 중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패턴C를 기준으로 착의적합성 평가 결과 중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정리하여 2차 연구 패턴을 설계하였다. 몸판의 앞, 뒤진동 부위에 군주름과 겨드랑둘레의 여유분이 많아서 이를 줄이 기 위해 진동깊이를 수정하였다. 허리가 들어가 날씬해 보이도록 뒤허리중심 선 분량을 수정하였으며, 소매의 맞음새 개선을 위하여 위팔둘레, 커프스둘레, 소매길이의 항목 등을 수정하였다. 2차 연구 패턴으로 2차 연구 패턴 실험복 을 제작하였다. 1차 교육용 패턴 실험복과 2차 연구 패턴 실험복의 착의적합 성을 비교한 결과, 2차 연구 패턴으로 제작된 2차 연구 패턴 실험복의 수정 항목에 대한 치수만족도가 대부분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가슴둘레, 뒤품, 어깨길이 항목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평가결과를 반영 한 패턴 재수정을 통해 비만 여성을 위한 최종 블라우스 원형패턴 제도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체형을 대상으로 한 교육용 패턴을 기반으로 20∼30대 비만 여성 체형을 대상으로 의복을 제작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존 교육용 패턴을 수정 및 보완하여 심미적으로 우수하고 맞음새가 개선된 블라 우스 원형 패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20∼30대 비만 여성을 위 한 다양한 의복 스타일을 패턴으로 구현하고자 때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women who were obese with a BMI index over than 25kg/m2 in their 20s and 30s regarding the right fit for wearing a blouse.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three types of educational patterns, the 1st educational pattern experimental clothing was produced based on the physical dimensions of the 3 study participants selected by the existing pattern to evaluate the fit suitability was conducted for groups of study participant and expert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t suitability assessment, items that do not fit well with the body type of obesit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presenting the optimal pattern for obese women who seemed to be physically and visually slim and highly a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BMI of 25kg/m2 or higher, depending on the BMI index, group 1 general body types (between 18.5kg/m2 and 25kg/m2) and group 2 (25kg/m2 or higher)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 2 and 3 level of obesity (Korea Society for Obesity, 2018). As a result, there was differences in body dimensions according to the two groups.In the blouse pattern scheme, the main relevant dimensions such as circumference, width,thickness, and length items with significance such as 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chest breadth, neck point to breast point and bust point-bust point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values for the group 2 than for Group 1's general body type. In addition, item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items showed that group 1 general body type had a greater value than group 2 obese body type. Second, after surveying and analyzing obses female consumers over 25kg/m2 of BMI in their 20s and 30s on the buying status of the blouse, wearing conditions and preferred design, 65.6 %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had experience in mending a blouse after purchasing it, indicating that many problems with wearing a ready-made clothes were felt. In particular, 74.0 percent of obese consumers said they wear a blouse more than two days a week, although they also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issatisfaction with waist width, chest width and shoulder width. 45.8 percent of overweight women said they were fat and 54.2 percent said they were very fat, which leads to consumption that obese women are insecure about their bodies. Third,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three types of first experimental clothing made with existing patterns for education and were evaluated for suitability. The assessment of fit suitability showed that among the three types of patterns, the fit suitability of pattern C was the highest, and based on these results, pattern C was chosen as the base pattern. Fourth, based on pattern C, which is the most highly evaluated among existing patterns, the second study pattern was designed by organizing items that needed improvement among the results of the fit suitability assessment. The armhole depth was modified to reduce the presence of extra wrinkles in the front of a body, wrinkles on the back, and the armhole circumference. In order to make the back look slim, waist center back line was modified and item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rm, cuff circumference, and sleeve length were modified to improve the fit of the sleeves. The second experimental clothing was made based on the second study pattern. The first suitability of the second experimental clothing was higher than the first experimental clothing. However, satisfaction with chest circumference, back interscye(length) and shoulder-length items was relatively low. The final blouse pattern was proposed for obese women through the re-modification of patterns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Based on educational patterns for general body type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arising from the manufacture of garments for ob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proposed a blouse prototype pattern that is aesthetically superior and has improved first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existing educational patter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when implementing various clothing styles in patterns for ob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II. 이론적 배경 5 A. 비만 5 1. 비만의 정의와 판정기준 5 2. 20~30대 비만 여성의 실태 11 B. 비만 여성의 신체 특징 14 C. 블라우스에 관한 고찰 21 1. 블라우스의 분류 21 2. 블라우스의 특징 23 3. 블라우스 원형 개발의 선행연구 25 III. 연구방법 28 A. 20~30대 비만 여성의 신체치수 분석 30 1. 20~30대 여성 BMI지수에 따른 빈도 분포 30 2. 집단별 비만 여성의 신체 특징 분석 31 B. 블라우스 착용실태 및 선호디자인 조사 33 1. 연구대상 및 조사기간 33 2. 설문지 구성 34 3. 설문지 분석 방법 35 C. 비만 여성을 위한 블라우스 패턴 설계 및 착의평가 36 1. 기존 교육용 블라우스 원형 패턴의 비교 36 2. 연구대상의 선정 및 신체치수 측정 39 3. 1차 교육용 패턴 실험복 제작 42 4. 1차 교육용 패턴 실험복 착의적합성 평가 43 5. 2차 연구 패턴 실험복 제작 및 착의적합성 평가 46 6. 비만 여성을 위한 블라우스 최종 연구 패턴 제안 47 IV. 연구결과 및 고찰 48 A. 20~30대 비만 여성의 신체치수 분석 48 B. 블라우스 착용실태 및 선호디자인 53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53 2. 착용하는 의복의 사이즈 54 3. 블라우스의 구매 실태 55 4. 체형에 대한 인식도 56 5. 블라우스 수선 실태 57 6. 블라우스의 착용시 불만족 사항 59 7. 블라우스 디자인 선호도 62 C. 비만 여성을 위한 블라우스 패턴 설계 및 착의평가 66 1. 기존 교육용 블라우스 원형 패턴 설계 66 2. 1차 교육용 연구 패턴 실험복 제작 78 3. 1차 교육용 연구 패턴 실험복 착의적합성 평가 82 4. 2차 연구 패턴 설계 및 실험복 제작 94 5. 2차 연구 패턴 실험복 착의적합성 평가 99 6. 비만 여성을 위한 블라우스 최종 연구 패턴 제안 108 V. 결론 및 제언 112 참고문헌 116 부록1. 비만 여성 대상 소비자 설문지 123 부록2. 연구대상자 외관평가지 129 부록3. 전문가 대상 외관평가지 131 부록4. 1차 교육용 패턴 실험복 착용 사진 133 부록5. 2차 연구 패턴 실험복 착용 사진 136 ABSTRACT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158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20~30대 비만 여성을 위한 블라우스 맞음새 및 패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ment of Blouse Fit and Pattern for Ob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dc.format.pageix,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산업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