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연구

Title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utainment contents production : focusing on TV Series Animation
Authors
허재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본 연구는 에듀테인먼트의 선행연구와 산업 현황을 바탕으로 국내 TV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아에게 쉽고 흥미롭게 교육적인 메시지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유아 에듀테인먼트로의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콘텐츠 기획 및 제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융합콘텐츠인 에듀테인먼트는 발달한 미디어 기술과 높은 교육열로 경쟁력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다. 교육적 가치와 오락적 재미를 동시에 추구하는 영역으로, 콘텐츠의 시장성이 매우 높게 평가되며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다.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에듀테인먼트는 유아들의 학습에 있어서 ‘놀이’가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도구로 강조되면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교수 방법의 차원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동기 유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에듀테인먼트는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콘텐츠로, 학습영역과 매체를 확장해나가며 폭넓게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TV는 유아가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고,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애니메이션은 유아들이 가장 많이 시청하는 장르이다. 미디어를 통해 지루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배울 수 있고, 능동적으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TV 시리즈 애니메이션은 유아를 대상으로 활발히 제작되며, 교육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통합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실제로 RISS 통합 검색을 통해 1997년부터 2017년까지의 학위논문 중 에듀테인먼트가 주제어인 논문은 총 66편이지만, e-러닝(20편)이나 게임(22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논문의 비율이 63.6%로 다수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는 전체 중 10.6%에 그쳤으며, 스토리텔링(4편), 특성(1편), 제작(1편), 효과(1편)와 같이 부분적인 분석으로 이루어진 한정된 연구에 그쳤다. 나머지 17편은 공간 디자인, 스토리텔링, 교수법 등에 대한 논문으로 전체 중 25.7%를 차지했다. 이와 같이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은 산업의 활용과 비교해 실제적 이론 체계나 제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나 부분적인 분석이 아닌 제작 측면까지 고려한 통합적 연구로,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콘텐츠 기획을 바탕으로 제작을 다룬다. 본 논문의 이론적 논의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에듀테인먼트의 개념과 유형, 구성요소를 정리하고, 유아의 특성과 발달과정, 교육과 놀이, 국내 유아교육 과정을 통해 콘텐츠의 대상인 유아에 대한 이해를 진행한다. 그리고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 현황과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콘텐츠 표현 매체를 이해한다. 이론적 논의를 종합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을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으로 나눈다. 그리고 구성요소를 학습설계인 교육적 요소, 학습 동기의 흥미 유발 요소, 표현 매체의 기술적 요소로 분류하고, 각 세부항목을 도출한다. 도출된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국내 작품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제작에 반영한다. 본 연구는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 실제 제작과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유아에게 쉽고 흥미로운 콘텐츠로 교육적인 메시지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콘텐츠 기획으로, 작품제작과 활용에 있어 제작자와 연구자에게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촉발하는 기초연구로 산업의 확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plan and produce TV series animation contents as infant edutainment which can transmit easily and interestingly educational messages to infants, by analyzing the animation contents of TV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industrial situation of edutainment. Edutainment, which is a fusion content, is developing with competitiveness equipped with advanced media technology and high education fervor. It is an area where both educational value and entertainment fun are pursued, and the marketability of contents is very highly valued and it shows a steady growth every year. Especially, as 'play' is emphasized as a very important and useful tool in infant learning in the edutainment industry for infants, the demand for edutainment contents is rising.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at the level of teaching methodology in motivating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Edutainment is a content that can be learned with a lot of fun, and it is being developed widely by expanding the learning area and media. And TV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at infants can naturally watch and get influenced. Among them, animation is the most watched genre by infants. Through the media, learners can learn without feeling bored, and an active learning can be achieved. Therefore, TV series animations are actively produced for infants and tend to convey educational messages, but there is a lack of integrated research related to them. In fact, among the dissertations from 1997 to 2017 through RISS integrated search, there are only a total of 66 articles with ‘edutainment’ as the key word, but the proportion of papers centering on e-learning (20 articles) and games (22 articles) is 63.6 %, which is the majority. The research on animation was only 10.6% of the whole, and it was a limited research with partial analyses such as storytelling (4 articles), characteristics (1 articles), production (1 articles), and effect (1 articles). The remaining 17 studies were about space design, storytelling, and teaching methods, accounting for 25.7% of the total. In this way, edutainment animation lacks research on actual theoretical system and production as compared with the utilization of the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duction based on the content planning of edutainment animation as an integrated study considering not only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partial analysis but also the production side. I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is paper, the concept, type, and the components of edutainment are summariz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analyses, and the understanding on infants who are the target consumers is deepened through th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infants, education and play, and the education process for infants in Korea. Also, the understanding on the content expression media is achieved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omestic animation industry and the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the edutainment animation for infants is divided into content and formal aspects. Then, the components are classified into a learning design such as educational element, interest-inducing element of learning motivation, and technical element of expression media, and detailed items are derived. Based on the derived components, the case study of domestic works will be conducted and implications will be derived and reflected in the produ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ual production and use of edutainment animation that affects the development of infan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industry as a basic research that will lead to more in-depth discussions for producers and researchers in the production and use of the TV series animated contents plan which can effectively deliver educational messages to infants with easy and interesting cont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