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운동기능성 향상을 위한 여성용 사이클웨어 상의 개발

Title
운동기능성 향상을 위한 여성용 사이클웨어 상의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Cycle Wear Top with Advanced Function for Woman
Authors
권채령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동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cycle wear and to suggest a cycle wear top jersey improved in mobility. Interview and survey were done targeting male and female cyclis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wear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f the cycle wear. A total of 443 surveys were used to analyze demographic information, inconvenience and design pre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the study developed a new cycle wear with improvement in dissatisfaction factors by planning design, pattern and the functionality of fabric. The developed cycle wear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cycle wear. The assessment of the developed cycle wear was composed of wearing comfort evaluation by female cyclist, photo analysis and garment pressure evaluation. Through the evaluation, the study verified the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cycle wear and suggested a functionally advanced cycle wear. 1.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wearing conditions of cycle wear The average age of the male respondent was 34.45 and female was 33.39. The majority were in their 20s and 30s. More than 90% of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cycled in autumn and spring, which rai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ycle wear for spring and autumn. As for the time of riding the bicycle, 41.9% of female cycled in the morning and 39.5% cycled in the evening.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the skin from ultraviolet rays and securing the safety at night. The number of cycle wear owned by female respondents were higher than for men, which indicates that the demand for cycling wear is higher for women. Helmets(91.0%), gloves(81.7%) and goggles(78.1%)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s the additional items worn when wearing cycle wear. The results of question regarding the items putting in back pocket of the cycle wear jersey showed 79.9% of mobile phone, 53.0% of wallet, and 34.3% of toilet paper or towel were in order. Quick water-absorbent and drying properties were accounted as important functionality in cycle wear for 87.8% of male and female. When wearing cycle wear, it was found that female felt more discomfort than male in term of the length of the jersey top. Therefore, length adjustment of the cycle wear jersy top was found to be necessary. 2. Design of the test apparel Considering the amount of sweat and the necessities of compression part, the basic material, the additional compression material, and the mesh material were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areas. A new cycle wear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cycling motion. The front and back lengths of the developed cycle wear were designed longer than existing cycle wear. And the size of waist was reduced and the compression material was used. In addition, the open zipper is designed with lap facing so that the zipper is prevented from directly touching the body. The sleeves were designed to reflect the cycling motion. It is also designed to serve as a glove with an annular sleeve. In the case of the back pocket, the lap facing were attached to the entrance to prevent the loss of belongings, and a zipper pocket was additionally designed on back pocket. Reflection tape and materials are added on the open zipper, back pocket entrance, zipper pocket entrance and back of upper arm. Therefore, the visibility of the wearer at night was increased. 3. Wear test The assessment of the developed cycle wear was composed of wearing comfort evaluation by female cyclist, photo analysis and garment pressure evaluation. As a result of wearing comfort evaluation, the developed cycle wear was evaluated as better than the existing ones in all part,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reflection tape and materials, partial pressure, pocket size, and prevention of loss. The movement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all the items of the developed jersey top were evaluated as better than the existing top. Especially neck movement, waist movement, hem, partial pressure feeling was significantly better. Photo analysis was in agreement with the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The fit of the waist of the developed cycle wear was better. Also, it was shown that the overall length was longer than that of the existing cycle wear to cover the abdomen area and the back waist area. During the bicycle riding operation, the abdomen and back waist of the developed cycle wear did not come up, and it was shown that the zipper reduced the abdominal hump and supported the lower chest area. The upper arm of the experimental apparel designed with a frontal sleeve pattern was not pulled and wrinkles did not occur. The arm angle when using the back pocket was measured. The angle of the lower arm of the developed cycle wear was larger than that of the suit. The lower angle of the upper arm showed that it was more comfortable when using the pocket. As a result of garment pressure evaluation, the front neck part was more comfortable because there was less pressure in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cycling posture. The upper arm, abdomen, and waist area showed higher pressure, so it partially supported the body.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for developing a new cycle wear top, protecting the body and improving the exercise effect.;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녀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이클웨어의 착의실태를 비교한 결과와 현재 판매되고 있는 사이클웨어의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파악하여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인 여성을 위한 춘추용 사이클웨어 긴소매 저지(Jersey)를 개발하는데 있다. 국내외 사이클웨어 브랜드의 공식홈페이지를 기준으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분석하였으며, 성인 남녀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44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사이클웨어의 착의실태, 불편사항, 희망개선사항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패턴, 소재의 개선점을 실험복에 적용하였다. 기존복과 실험복에 대하여 각각 연구대상자 집단의 착의평가, 사진분석 평가, 의복압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비교, 분석하여 실험복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기능성이 향상된 여성을 위한 춘추용 사이클웨어 저지를 제안하였다. 1. 사이클웨어 착의실태 조사 결과 성인 남녀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착의실태 조사결과, 남성 평균연령은 34.45세, 여성 평균연령 33.39세로 나타났으며 자전거를 주로 이용하는 연령대는 20-30대임을 알 수 있었다. 자전거 이용 계절은 남성과 여성 모두 가을, 봄에 90%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여 춘추용 사이클웨어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자전거 이용 시간대를 조사한 결과 여성의 경우 오전이 41.9%, 저녁이 39.5%로 높게 나타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야간주행 시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클웨어 보유 수량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았으며 이는 사이클웨어에 대한 수요가 여성이 더 높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이클웨어 착용 시 추가적으로 착용하는 아이템을 조사한 결과는 헬멧(91.0%), 장갑(81.7%), 고글(78.1%)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이클웨어 저지 뒤허리 주머니에 소지하는 물품은 휴대폰(79.9%), 지갑(53.0%), 휴지 또는 수건(34.3%)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사이클웨어에 필요한 기능성은 남녀 모두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배출시키는 기능이 8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이클웨어 착용 시 불편부위에 대한 문항에서 남성과 여성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항목을 알아본 결과, 상의 길이에서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의 길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실험복 설계 부위별 발한량, 압박이 필요한 신체부위를 고려하여 기본소재, 추가압박소재, 메쉬소재 등 부위별 소재 배치를 달리하였다. 실험복의 디자인은 설문조사의 결과와 주행동작 및 상황을 적용하여 앞, 뒤길이를 기존복에 비해 길게 설계하였으며 허리부위의 치수를 줄이고 압박소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앞중심 지퍼에 안단을 설계하여 지퍼가 몸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였다. 사이클웨어 착용 시 불편을 느끼는 부위에서 목부위가 높게 나타나 칼라를 앞목 V자 스탠드 칼라로 제작하였다. 소매의 경우 주행동작을 반영하여 전방형 소매로 설계하였으며 소매단 벨크로를 부착하여 손목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고리형 소매로 장갑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뒤허리 주머니의 경우 입구에 안단을 부착하여 소지품의 분실을 예방하였으며 그 위에 지퍼포켓을 추가로 설계하였다. 반사테이프 및 반사부자재를 설계한 부위를 살펴보면 앞중심 지퍼, 뒤허리 주머니 입구, 지퍼포켓의 지퍼, 위팔 뒤부분으로 정면, 측면, 후면 모두 안전성을 높였다. 3. 착의평가 착의평가는 연구대상자의 착의평가, 사진분석 평가, 의복압 측정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착의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실험복이 기존복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반사테이프 및 반사부자재 설계, 부분적 압박감, 주머니 크기, 소지품 분실 방지에 대한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작적합성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실험복이 기존복에 비해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는데 목의 움직임과 허리의 움직임, 밑단, 부분적 압박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진분석 평가결과, 연구대상자 집단의 외관평가와 일치하였는데, 실험복이 허리부위의 맞음새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복에 비해 전체길이를 길게 설계하여 배 부위와 뒤허리 부위를 안정감 있게 덮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주행동작 시 실험복이 배 부위와 뒤허리부위가 당겨 올라가지 않으며 지퍼로 인해 배부위가 들뜨는 현상을 감소시키고 젖가슴아래 부위를 지지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형 소매 패턴으로 설계한 실험복의 위팔부위는 당김이 없어 군주름이 생기지 않았다. 뒤허리 주머니 사용 시 팔의 각도를 측정하였는데 기존복에 비해 실험복의 아래팔 각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위팔의 각도가 낮게 나타나 주머니 사용 시 좀 더 편안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의복압 측정 결과, 정자세와 주행자세 모두 앞목부위는 압박이 적어 더 편안하며 위팔둘레, 복부, 허리둘레 부위는 압박이 높게 나타나 신체를 부분적으로 더 지지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복은 착의평가 및 의복압 평가를 통해 설계의 적합성이 검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 신체를 보호하고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