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글로컬리즘의 문화융합모델로서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글로컬리즘의 문화융합모델로서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Fashion Design as the Cultural Convergence Model of Glocalism : Centered on Coat(Po: Korea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uthors
김혜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In the modern times as a creative era when great emphasis is put on imagination and image, art and design, there has been the rise of a phenomenon called the glocalism that aims to pursue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 the national unique identity along with the globalism and localism. Keeping pace with such a periodic change, leading countries are defining desig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nd making efforts for their cultural projects with the conversion to the age of ‘culture and creativity’. The globalism shows a tendency to expand to the marginal from the central culture so equalize the global culture but cultural changes beyond the border come to be a significant basis of a life in the period of transition where cultural boundaries are rapidly being deconstructed and reorganized. Such a trend is also much influencing the fashion world and it is needed to look back on the meanings of our identity and roots for fashion design. Hence, paying attention to modernity of a coat(Po)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study analyzed its aesthetic values and presented the creative fashion design merging the localism with the globalism, researching fashion design as a cultural convergence model of the glocalism. Therefore, the study aims to achieve the fashion design of creative convergence satisfying the values of the glocalism in the trans-boundary period so present the vision of cultural reciprocality involving the cultural tolerance.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ies, the study examined concepts, goals and values of the glocalis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onducting the conceptual analysis and case study for convergence through research on the glocalism and culture. Based on above, the study pondered upon measures for practicing the cultural reciprocality. In addition, it analyz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 coa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presented 8 fashion design works along with the methodologies for the creative fashion design to integrate with the western fashion, or the global modern fashion.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term born from the globalism and the localism, the glocalism means that local specificity leads to the global universalism. Beside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is important for west-centered global culture and local cultur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t acts as a factor for contemporary fashion to go toward the globalism while reflecting the identity of each nation. Second, as a case of cultural convergence where creativity is the core value, convergence of the glocalism shown from art and fashion was roughly classified into aesthetic and technical aspects, and an integrated structure for ideas was derived. Third, case study for the modern fashion design showed that structure/form, extrinsic elements of aesthetic factors, are convergence elements of the global culture. There existed free convergence of the intrinsic elements like the concept as the philosophy of a designer, regional feeling and culture, image with the extrinsic elements of aesthetic factors like traditional material, structure/form/color/material of modern western clothes and of technical factors like material expression techniques. Fourth, in order to practice the convergent design, the research examined characteristics of coat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hich were selected as a fashion element of local culture, and conducted the review on cultural factors. In particular, it analyz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flatness, beauty of simplicity, composure, flight and calmness and applied them to design. Fifth, the study established the structure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based on the case study for convergence and applied the formative methods triggering the creative thinking in the convergent process dealing with visual elements of aesthetic/technical factors. Followings ar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that applied the creative and convergent fashion design methodologies to the works. First, the study accomplished the interesting cultural convergence by integrat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western fashion as the global modern fashion cultur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two-dimensional structure. Second, for the creative and convergent fashion design, the research applied the formative methods including combination, cutting, addition, proximity, penetration, overlapping, separation and inversion where structure and structure, form and form are combined in the design development. It is inserted into the cognitive process, inducing the creative thinking and realizing the unique third structure and form. Third, the research concentrated on representation of 5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 coat and they could be achieved by a silhouette, form, texture and color. The beauty of simplicity could be represented by expressing plain geometric shapes on a flat silhouette. The beauty of composure could be expressed with the loose and voluminous silhouette and the beauty of flight could be shown by the addition of a light see- through material. Furthermore, as for the color, the beauty of soft calmness was expressed. Fourth, the research applied details of the traditional coat including a collar, sleeve, gusset(Mu), string, pleat and opening to a coat, jacket, one-piece dress, vest and pants. As a result, aesthetic and functional integration was accomplished. Fifth, as for colors, white and ivory traditionally favored in our nation were mainly used to express the beauty of calmness with the black color used selectively. Sold colors created the subtle depth with the delicate distinction in materials by overlapping materials or combining different textures. Sixth, in terms of the overall design expressions of the works, it seems that directions and methods of selecting materials play a very critical role in expressing the aesthetic factors of the coa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response to materials like air cushion, air mesh, wool silk, cotton silk and corrugated silk with western images, silk organza, hand woven silk, silk and doupion silk, materials visually similar to those in the traditional coats, were used together so subtle difference was given to the thickness and tone, creating the modern expression of the images realized in the coat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Seventh, western sewing techniques as a technical factor made smooth convergence possible in a process dealing with the part and part, part and whole, whole and whole. As a technique for the material, quilting and pleating made linear and textural expressions of the inner silhouette rich. Simple and delicate expressions of a line were achieved by Ggaeggi sewing and it matched with the image pursued in the work. Eighth, not only unique characteristic of design could be expressed but consistent images could be created in the entire work by freely crossing the structures, forms, details, materials of the western fashion and traditional Korean coat without regard to certain particular form. Therefore, cultural interaction was accomplished, showing the significance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t fashion design.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creative and convergent fashion design methodologies in a new global environment demanding the cultural convergence. Despite some limitations in the range of research subjects,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the way to develop differentiated fashion design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Hereafter,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conduc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cultural/disciplinary convergence.;상상과 이미지, 예술과 디자인이 중시되는 창의 시대로서 현대는 세계화와 지역화가 진행되면서 문화의 보편성 추구와 함께 각국의 고유한 정체성을 구현하려는 글로컬리즘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세계화와 함께 지역화를 추구하는 태도나 사고를 의미하는 글로컬리즘은 오늘날 하나의 사조로 구분될 만큼 괄목할 만한 개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세계 주요국가에서는 디자인을 세계와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정의하고, ‘문화와 창의성’ 시대로 전환된 이래 자국의 문화사업을 위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세계화는 중심부 문화에서 주변부 문화로 확산되어 세계문화를 동질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나, 문화적 경계들이 빠르게 해체되고 재편되는 오늘날 변화의 시대에는 탈경계적 문화변동이 중요한 삶의 근간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패션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패션디자인에 있어 우리의 정체성과 그 근원적인 뿌리에 대한 의미를 되짚어 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시대 포가 지닌 모더니티에 착안하여 그 미적 가치를 분석하고 지역성과 세계성이 융합된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시하여 글로컬리즘의 문화융합모델로서 패션디자인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탈경계의 시대적 흐름 속에 글로컬리즘의 추구가치에 부응하는 창의적 융합의 패션디자인을 실현함으로써 세계 속에 문화적 포용력을 내포하는 문화 상호성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양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글로컬리즘의 개념 및 목표와 가치를 살펴보고, 글로컬리즘과 문화 연구를 통해 융합의 개념분석 및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문화상호성의 실천적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포의 특징과 미적 특성을 분석하여 현대패션의 글로벌문화인 서구패션과의 융합을 도모하고자 창의적 융합의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여 총 8벌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컬리즘은 세계통합주의와 지역중심주의가 결합해 탄생한 용어로 지역적 특수성이 곧 세계적 보편성으로 통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서구가 장악했던 글로벌문화와 로컬문화가 상호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토대로 현대패션에서 자국의 정체성을 반영하면서 세계화로 발전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창조력이 중요한 핵심가치인 문화융합의 사례로서 글로컬리즘의 융합의 양상을 현대미술 및 패션에 나타난 융합의 방법으로 미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이 대별되었고 그것을 축약한 융합적 발상 구조가 도출되었다. 셋째,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의 분석을 통해, 글로벌문화의 융합 요소로 미적 요인의 외재적 요소 중 구조와 형/형태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요소인 디자이너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 개념, 지역적 정서와 지역을 상징하는 문화와 심상 이미지, 외재적 요소인 전통적인 소재, 현대의 기본 서양복 구조와 형태, 색채, 재질을 포함한 미적 요인과 소재표현기법 등의 기술적 요인이 서로 자유롭게 융합된 양상이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융합디자인 실천을 위해 로컬문화의 패션요소로 선택한 조선시대 포의 종류별 특징을 고찰하였고 문화요인을 살펴보았다. 특히 미적 특성으로 평면성, 단순미, 여유의 미, 비의 미, 담조의 미를 분석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다섯째, 융합의 사례분석을 통해 구축한 융합적 발상구조를 토대로 창의적 융합 발상 구조를 세웠고, 미적 요인과 기술적 요인의 시각적 요소들을 다루는 융합적 발상과정에서 창조적 사고를 촉발하는 조형방법을 적용하였다. 창의적 융합의 패션디자인 방법을 실제 작품에 적용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의 글로벌문화로서 서구패션의 입체적 구조와 한국전통 평면적 구조를 결합시킴으로써 흥미로운 문화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둘째, 창의적 융합의 패션디자인 발상을 위하여 디자인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구조와 구조, 형태와 형태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 절개, 추가, 인접, 침투, 중첩, 분리, 도치 등의 조형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인지과정에 투입되어 창조적 사고를 유도함으로써 독특한 제3의 구조와 형태를 구현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작품에서 포의 다섯 가지 미적 특성을 표현하고자 주력한 결과 실루엣과 형태, 재질감, 색채 등을 통해 이를 구현할 수 있었다. 평면성을 적용한 실루엣에서 단순한 기하학적 형들이 연출됨으로써 단순미를 나타내었다. 품을 넉넉하게 하는 동시에 풍성한 실루엣을 구성함으로써 여유의 미가 표현될 수 있었고 가벼운 투시소재가 추가되어 비의 이미지가 나타날 수 있었다. 또한 색채를 통해 차분하며 은은한 담조의 미가 표현될 수 있었다. 넷째, 포의 디테일로서 깃, 소매, 무, 고름, 주름, 트임 등을 코트와 재킷, 원피스드레스, 베스트, 팬츠 등에 활용한 결과 미적이며 기능적인 융합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색채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선호했던 담조의 색채미를 은은하게 표출하는 백색과 아이보리색을 주로 사용하면서 흑색을 제한적으로 선택하였는데, 단색조의 색채는 소재 중첩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의 조합을 구사함으로써 섬세한 재질의 차를 두어 은근한 깊이를 형성하는 결과를 이끌 수 있었다. 여섯째, 작품의 전체적 디자인 표현에서 소재 선택의 방향과 방법이 조선시대 포의 미적 요인을 표현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에어쿠션, 에어메쉬, 울실크, 면실크, 실크골지 등 서구적 이미지의 소재와 대응하여 조선시대 포에 사용되었던 소재와 시각적으로 유사한 재질의 실크 오간자, 수직실크, 명주, 옥사견 등을 함께 사용하되 두께, 색조 등에 미묘한 차이를 구사함으로써 과거 조선시대 포에서 구현되었던 심상이 모던하게 표출되었다. 일곱째, 기술적 요인인 서구식 봉제기법은 융합에 있어서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 전체와 전체를 다루는 과정에서 매끄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소재 기법인 누빔과 주름은 실루엣 내부의 선적 표현과 재질적 표현을 풍부하게 하였다. 깨끼 바느질은 선의 간결하고 섬세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여 작품 전체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잘 부합되었다. 여덟째, 모든 작품에 서구패션과 한국 전통 포의 구조, 형태, 디테일, 소재기법, 소재배치 등 일정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교차 사용함으로써 디자인에 개성이 표현되면서도 일관된 방향성을 지닌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문화의 상호작용성과 창의적 융합의 패션디자인의 의의를 가질 수 있었다. 문화융합이 더욱 요구되는 새로운 글로벌 환경의 시대에 창의적인 융합의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자 했던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범위 선정에 있어 일부 제한점을 가지지만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차별화된 패션디자인 개발 방법을 제안하는 데에 의의를 두었으며, 이후 제한점을 극복한 다양한 문화융합, 학제적 융합의 후속 연구들이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