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Title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Other Titl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uthors
김진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2.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살펴본 선행연구와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Martineau(2008), 정영근(2011)의 문헌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제작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수정하고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참여자의 일반적 배경, 현행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 범주로 나누어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에서 교사의 과반수가 다문화교육에 관한 교육을 받았고, 그 방법으로는 교원양성기관, 연수 ․ 학회 순으로 많았다. 반면,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교사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적절성에 대해서는 유아교사들이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금의 다문화교육 내용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그 이유로 한국과 다른 나라의 차이점을 알아보는데 더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이라는 점이 가장 많았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으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 자신의 이해부족이 가장 많았다. 둘째,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서 교사의 대부분이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들어보거나 배운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상호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교사가 대부분이었다. 그 이유로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융통성과 개방성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을 위해서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그리고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생각과 태도뿐만 아니라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이해 수준이 평균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에서 교사의 대부분이 상호문화교육 관련 교사교육에 대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런 상호문화교육 관련 교사교육을 교육청에서 실시하기 원하였고, 실시 방법으로는 강사를 초빙하여 연수 듣기를 희망하였으며, 교사교육의 시간으로는 3~5시간이 가장 적당하다고 하였다. 더 구체적인 요구로는 현장의 바쁜 일정에 대한 염려와 함께 의무교육의 과부화로 인한 부담감이 크므로 이를 고려한 교사교육,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체계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교사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에게 직접 적용 가능한 실제 위주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교사들은 현재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변화 및 보완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런 교사들의 관점에 걸맞은 대안이 상호문화교육이라 시사되므로, 이를 위해서 교육부와 유아교육 관련 양성기관에서 먼저 상호문화교육 관련 연구가 우선되어 이에 대한 정보의 안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 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들은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고, 교사들에게 또 다른 업무로 주어지기보다는 기존의 다문화교육을 교육부와 산하기관이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으로 개편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한 내용 중심으로 교사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find out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2.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inter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20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prior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literature of Martineau (2008) and Jeong Young-geun (2011) on intercultural education, research tools used questionnaires produced by researchers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the help of expert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divided into 26 items, including general background of participants, perception and demand of teachers on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 of teachers on intercultural education, and needs of teachers on intercultural education.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reliability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jority of teachers received educa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ethods were in the order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raining and academic societi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do not have educational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As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not satisfied and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upplement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focus is more focused on fi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he most difficult problem when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was lack of understanding of teachers themselves. Second, most of the teachers did not have experience of listening to or learning about the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intercultural education. However, the interest in intercultural education was high, and most of the teachers felt that intercultural education for children was necessary. For that reason,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cultivate competent talents with flexibility and openness necessary for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as well as teachers' thoughts and attitudes toward intercultural education was higher than average. Third, most of the teachers in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said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intercultural education. The teachers wanted to conduct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intercultural education at the education office, and they wanted to invite instructors to listen to the training as a method of implementation, and 3-5 hours was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teacher education. More specific needs are concern about busy schedules in the field and burdens from overloading compulsory education, so teachers education considering this, teachers education that can raise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understand it, and actual teacher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children in the field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ighly recognized the need for changes and supplementation of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As the alternatives that fit the teachers' perspective are suggested as intercultural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training institution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first give priority to the research on intercultural educ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on it. Next,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lacked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on intercultur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y reflecting the voice of the field, and rather than being given to teachers as another task,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orga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e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ts affiliated institutions and provided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contents applicable to the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