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0 Download: 0

생태학적 모형에 근거한 20·30대 여성의 흡연의도 관련 요인 분석

Title
생태학적 모형에 근거한 20·30대 여성의 흡연의도 관련 요인 분석
Other Titles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Smoke i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based on Ecological Model
Authors
이주하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Smoking is the biggest public health risk in the world, affecting society in many ways, including individual health. The overall smoking rate for adults in Korea has been on a gradual decline as people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and various anti-smoking policies are implemented. However, the smoking rate for wome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ast, and it has been on the rise recently. The effects of smoking on health are all similar, but in women, it is characteristically more serious than in men. In order to transform an individual's unhealthy behavior into healthy behavior, we should not only consider individual-level problems, but also social factors. However, in the case of domestic research,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conducted with a majority of the factors affecting women's smoking. Therefore,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se smoking rate is increasing, are the priority of research in order to prepare scientific evidence a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omen-tailored anti-smoking arbitration programs.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in the majority of cases based on the ecological model.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430 women in their 20s and 30s (1982-2001) and used a total of 430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for analysis. Research tools were organized into three are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dividu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community and public policy levels), and smoking intention.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from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chi-square test, correlation, multilinear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3.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of the study subjects were low for those with low age, academic and income levels. The high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of an individual's knowledge of smoking, belief and attitude, and self-efficiency in smoking control were high. Smoking by people around them was high among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who lived alone. The level of social acceptance for smoking was high in those with low age, college students, unmarried people, living alone, and low income levels. The level of recommendation for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was high among those who attended graduate school or highe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d anti-smoking campaigns had high levels of implementation in professional jobs depending on the work industry, and the autonomy of smoking was low in age, management workers, and high school graduate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or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cigarette advertising experience, purchase experience, purchase impulse, and anti-smoking advertising experience. Second, the average smoking limit for the study was 2.49 points, and the smoking limit for non-smokers was 3.61 points for smokers and 1.38 points for non-smoker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which were similar to that for smokers and non-smokers. The lower the age and final academic record of smokers, the higher the smoking intentions when living with acquaintances such as friends and colleagu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on-smokers, the higher the position of the workplace, the higher the smoking intention. Third, each level of the ecological model influenced the smoking intentions of the subject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plained the smoking intentions by 26%. Fourth, in the case of non-smoking subjects, all levels, except for factors at the interpersonal level, affected the intention of smok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explained the intention of smoking by 25.6%.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for the future studies and applicstion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and response fidelity of the survey items may not be high, and subsequent studies will need to apply accurate sampling methods and further strengthen the universality of the findings based on reliable response results. Second, the study found that the degree of smoking deviation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was relatively large. In subsequent studies, a detailed study of age groups could lead to meaningful results by identifying clear factors on the intention of smoking b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ird, the study was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intent of smoking at the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and community and public policy levels, but had a relatively low impact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questionnaires by ecological level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a problem caused by limitations that have not been standardized by the researchers, which are structur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ior studies. If further research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due to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lementary measures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흡연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공중 보건의 위험요인으로, 개인의 건강을 비롯하여 사회 전반에 다방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흡연의 해로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다양한 금연 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국내 성인 흡연율은 전체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여성 흡연율의 경우 과거와 큰 차이가 없으며, 최근에는 증가추세에 있다.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여성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성에 비해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개인의 불건강한 행동을 건강한 행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수준의 문제만 고려할 것이 아니며, 사회적인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연구의 경우, 여성 흡연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다수준적으로 파악하여 수행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여성 맞춤형 금연 중재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과학적 근거 및 기초자료가 마련되기 위해서는 흡연율이 증가하고 있는 20·30대 여성이 연구의 우선 순위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에 근거하여 20·30대 여성의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다수준적으로 파악하고 흡연행동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30대(1982년부터 2001년까지 출생자) 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총 43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생태학적 특성(개인, 개인 간, 조직 및 기관, 지역사회 및 공공정책 수준), 흡연의도 총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정,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의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건강상태는 연령, 학력 수준, 소득 수준이 낮은 대상자에서 낮았다. 개인의 흡연에 대한 지식, 신념 및 태도, 흡연 절제 자기효능감은 연령, 학력 수준, 소득 수준이 높으면 흡연에 대한 신념 및 태도, 흡연 절제 자기효능감도 높았다. 주변 사람의 흡연은 고등학교 졸업 대상자와 혼자 거주하는 대상자에서 높았다. 흡연에 대해 사회적으로 허용하는 수준은 연령이 낮고, 대학생, 미혼, 혼자 거주, 소득 수준이 낮은 대상자에서 높았다. 흡연예방 및 금연에 대해 권유하는 수준은 대학원 재학 이상 대상자에서 높았다. 흡연예방 교육, 금연캠페인은 직장의 업종에 따라 전문직에서 시행 수준이 높았으며, 흡연의 자율성은 연령이 낮고, 관리직 종사자, 고등학교 졸업 대상자에서 높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금연정책 시행 인지 수준, 담배광고 경험, 구매 경험, 구매충동, 금연 광고 경험이 모두 높거나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평균 흡연의도는 2.49점이며, 흡연 여부에 따른 흡연의도는 흡연자 3.61점, 비흡연자 1.38점으로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흡연자 및 비흡연자 흡연의도는 기존 연구 결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흡연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흡연의도는 연령, 최종학력이 낮을수록, 친구, 동료 등 지인과 거주할 때 흡연의도가 높았다. 비흡연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흡연의도는 직장의 직위가 높을수록 흡연의도가 높았다. 셋째, 생태학적 모형의 각 수준은 흡연 대상자의 흡연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태학적 특성은 흡연의도를 26% 설명하였다. 흡연의도에 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보았을 때, 연령, 최종학력, 흡연 절제 자기효능감, 조직 및 기관 수준의 흡연 자율성이 흡연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거주형태, 흡연에 대한 신념 및 태도, 개인 간 활동패턴, 금연 광고 효과성은 흡연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넷째, 비흡연 대상자의 경우 개인 간 수준의 요인을 제외한 모든 수준이 흡연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적 특성과 생태학적 특성은 흡연의도를 25.6% 설명하였다. 흡연의도에 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보았을 때, 직업, 직장의 근무연수, 직위, 고위험 음주, 흡연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조직 및 기관 주변 환경, 담배 광고 경험으로 인한 구매 충동이 흡연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은 흡연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의 적용 및 후속 연구에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설문 항목에 대한 이해도, 응답 충실도가 높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정확한 표본추출법을 적용하고 신뢰성 있는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보편성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 결과 20·30대 대상자 간 흡연의도 편차는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속 연구 시, 세부적으로 연령대를 구별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대상자의 생태학 특성별 흡연의도에 미치는 명확한 요인을 파악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개인 간 수준, 조직 및 기관 수준, 지역사회 및 공공정책 수준 각 요인의 흡연의도를 설명하는데 유의미하였으나, 생태학적 특성에서 상대적인 영향력은 낮았다. 본 연구의 생태학 수준별 설문 문항의 경우, 연구자가 여러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구성한 것으로 표준화 되지 않은 한계로 기인하는 문제로 예상한다.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어 향후 추가 연구가 진행된다면, 문항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완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