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우리나라 성인 빈혈 환자의 신체활동과 삶의 질의 연관성

Title
우리나라 성인 빈혈 환자의 신체활동과 삶의 질의 연관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 Anemia Patients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2018
Authors
지주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남경
Abstract
본 연구는 매년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빈혈 환자의 신체활동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빈혈 환자들의 건강행위 실천과 빈혈예방교육,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등 예방 및 관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2018년 현재 대한민국 영토 내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 중 성인 빈혈 환자 총 2,226명으로 구성하였고, 복합표본 자료분석 방법을 통해 Survey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AS Ver9.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 값이 0.05 미만일 때로 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차이를 보았을 때 성별, 연령,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재분류 및 실업/비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차이를 보았을 때 신장 체중, 허리둘레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차이를 보았을 때 음주상태,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만성질환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차이를 보았을 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뇌졸중, 허혈성심질환, 관절염, 당뇨병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보았을 때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삶의 질 EQ-5D index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신체활동 수준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거주지역, 소득수준, 결혼여부, 교육수준, 직업재분류 및 실업/비경제활동상태), 신체적 특성(비만), 건강행태 특성(흡연, 음주, 스트레스 인지), 만성질환 특성(관절염, 당뇨병)을 보정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신체활동 수준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보았을 때 운동능력과 일상활동 영역은 신체활동 수준 하 그룹에 비해 중, 상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관리 영역은 신체활동 수준 하 그룹에 비해 중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EQ-5D index에서는 신체활동 수준 하 그룹에 비해 중, 상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his study was conducted annually from 2014-2018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 identify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adult anemia pati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health activities of anemia patients, education on the prevention of anemia, and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final study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226 adult anemia patients among households residing in the Korean territory as of 2014-2018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composite sample data analysis and SAS Ver9.4 program was u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when the P value was less than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sex, age, residence,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The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drinking condition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chronic diseas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hypertension, dyslipidemia, stroke, ischemic heart disease, arthritis and diabetes.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ess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EQ-5D index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identify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quality of life of the study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residential area, income level,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obesity),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smoking, drinking, stress recognition), chronic disease characteristics (arthritis, diabetes) were first set as correction variables.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quality of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bility and usual activities between the moderate groups and high groups compared to the low groups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between the moderate groups compared to the low groups physical activity level. In addition, the EQ-5D inde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oderate groups and high groups compared to the low groups physical activity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