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유아 평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비판적 고찰

Title
유아 평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비판적 고찰
Other Titles
A Crit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Peace Education Program
Authors
김지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에서 살고 있는 유아에게 적합한 유아 평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평화의 개념과 평화교육 이론, 유아 평화교육의 실제 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평화와 평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의 토대가 된 것은 평화의 개념을 확장하여 구성원들이 평화로운 방법으로 평화를 만들어간다는 UN의 지속된 평화의 개념과 평화교육 철학으로는 합리를 넘어서는 초이성적인 관점(Dietrich, 2013) 두 개의 관점이었다. 또한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Freire의 교육론과 Noddings의 돌봄과 배려의 윤리, Buber의 ‘나와 너(I-Thou)’의 개념이 철학적 토대가 되어주었다. 유아교육에서는 유아를 ‘지식, 정체성, 문화의 공동구성자’로 보는 아동사회학적인 관점(Dehlberg, Moss & Pence, 1999; Malaguzzim 1993; Mayall, 1996)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최근 30년간 평화개념과 평화 교육은 UN을 중심으로 한 평화학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지속된 평화’의 개념은 평화를 평화 그 자체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며 평화를 평화의 방법으로 실현해 내고자 하는 매우 적극적인 의미의 평화개념이다. 평화교육은 UNESCO를 중심으로 국제이해교육의 계보를 따라 발전해왔다. 지금까지의 평화교육은 합리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왔다면 최근 평화교육에서는 Dietrich(2013)를 중심으로 합리를 넘어서서 공감과 감정을 포괄하는 초이성적인 관점이 논의된다. 유아교육에서는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의 한계를 제시하며 유아를 유능한 존재로 인식하는 관점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유아 평화교육의 경우 평화교육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평화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유아의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 근거하여 유아의 친사회적인 행동 증진, 자신과 타인을 인식하는 차원의 다소 제한적인 범위를 다루어지고 있었다. 2010년대 이후의 평화개념과 평화교육 이론, 그리고 유아교육의 발달 이론은 모두 기존의 것을 넘어서는 관점을 제시한다. 그러나 여전히 이러한 관점들은 각자 자신의 분야에서 이론으로 존재하고, 현장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지속된 평화의 개념은 학습자를 포함한 사회 구성원의 평화 실천의 참여를 중요시하는 개념이다. 평화교육의 초이성적 관점은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를 재구성하여 학습자와 평화를 실천하는 파트너로 인식하기를 촉구하며 기존의 분절적인 교육을 비판하고 총체적으로 평화교육에 접근하기를 요구한다. 아동을 지식과 문화의 공동구성자로 보는 아동사회학적 관점에서는 유아의 유능함에 초점을 맞추며 유아의 참여권을 교실에서 보장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유아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천하기를 요구한다. 즉 이 세 가지 연구 분야는 공통적으로 학습자인 유아의 유능함을 인정하고 유아를 교육의 혹은 평화 실천의 파트너로 인정하여 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유아 평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평화를 바라보는 관점과 유아의 목소리를 수용하는 전략, 평화교육 프로그램의 교수 학습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유아를 위한 평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교사와 유아가 평화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과정을 통하여 유아의 목소리를 수용하여 진정한 의미의 ‘유아 중심’ 평화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모든 과정을 통하여 유아는 평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평화를 만들어가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해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consider the concept of peace, the theory of peace education, and the reality of peace education for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programs suitable for children living in Korea. The basis of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peace and peace education was the United Nations' concept of peace, which expanded the concept of peace and created peace in a peaceful manner, and the transrational perspective (Dietrich, 2013), which goes beyond rationality. In addition, Freire's educational theory, Nodding's ethics of care and consideration, and Buber's ‘I-Thou’ concept have bee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ren's sociological perspectives (Dehlberg, Moss & Pence, 1999; Malaguzim 1993; Mayall, 1996) were actively embraced as 'co-organizers of knowledge, identity and culture'. For the past 30 years, the concept of peace and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around the theory of pacifism centered on the United Nations. The concept of 'sustained peace' is part of efforts to understand peace itself and is a very active concept of peace to realize it as a way of peace. Peace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of UNESCO. So far, peace education has focused on rationality and pro-social behavior, but in recent peace education, an irrational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rationality and encompasses empathy and emotions is discus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are presented and the perspective of recognizing children as capable beings is presen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peace education, despite various topics and contents in the study of peace education, the actual peace education program covered the limited scope of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and recognizing themselves and others based on the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eace concept, the theory of peace education, and the theory of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 2010s all offer perspectives beyond the existing ones. However, there is still a limitation that these views exist as theories in their respective fields and are not applicable to the site. The concept of sustained peace is a concept that places importance on the participation of peace practice by members of society, including learners. The supernatural view of peace education ur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to be recognized as partners who practice peace with learners, criticizing existing fractional education and requiring a holistic approach to peace education. Children's sociological perspective, which sees children as co-organizers of knowledge and culture, focuses on the ability of children, raises the need to guarantee their right to participate in classrooms, and calls for implementing child-oriented curricula. In other words, these three areas of research should recognize the ability of the learner, the child, and recognize the child as a partner in education or peace practice to actively reflect the child's voice in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these theories, this paper discussed the view of pea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Peace Education Program, strategies for accommodating the voice of children,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of the Peace Education Program. At ever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a peac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eachers and children will be able to develop a true "child-centered" peace curriculum program by accepting the voice of children through the process of talking about peace. Throughout this process, children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peace and grow into members of a society that actively creates pe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