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대학생의 사이버폭력 목격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사건중심성의 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사이버폭력 목격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사건중심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Witnessing Cyber aggression exper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Event Centrality
Authors
김도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2020년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시대가 열리며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이 급증한 해이다. 이와 같은 정보통신기술 사용의 증가로 인해 온라인에서 교류할 시간이 더욱 많아지면서 사이버폭력에 노출될 위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성인이 경험하는 사이버폭력이 증가하면서 그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대학생은 학교 혹은 과를 중심으로 한 단체 채팅방, 커뮤니티뿐 아니라 SNS, 인터넷 취업 커뮤니티 등 교내·외로 사이버폭력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요인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존 사이버폭력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들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진행된 주변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주변인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들 역시 심리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폭력을 목격한 주변인 역시 ‘공동 피해자’로 인식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변인의 사이버폭력 목격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건중심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공동피해자로서 주변인이 겪을 수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우울과 그 개입 방향에 대하여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이버폭력 목격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우울, 사건중심성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이버폭력 목격경험과 외상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사이버폭력 목격 경험과 외상 스트레스 및 우울 간 관계에서 사건 중심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모두 결측값이 없이 양호하여 모든 210개의 자료를 SPSS와 Mplu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건중심성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든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사이버폭력 목격경험이 증가할수록 사건중심성,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우울 역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사건중심성 역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우울과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폭력 목격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목격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반면,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이버폭력 목격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건중심성의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이버폭력 목격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우울에 미치는 총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건중심성을 통한 간접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목격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했기 때문에 사건중심성은 두 변인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즉 사이버폭력을 목격한 주변인의 경험은 직접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면서도, 사건중심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우울의 경우, 목격경험이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건중심성은 목격경험과 우울 간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건중심성은 목격경험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폭력을 목격한 대학생이 겪을 수 있는 심리적 부적응에 관한 선제적 및 사후적 개입의 초점과 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2020 is the year when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rged since the Corona 19 pandemic opened a non-face-to-face era. It also increases the risk of exposure to cyber aggression as people spend more time interacting online. In particular, the seriousness of cyber aggression experienced by adults is rising. Among them, university students are exposed to the risk factors that can lead to cyber aggression risk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university, through college group chat rooms, social media, online communities for job searching, etc. However, the related research on cyber agg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scarce since the prior research has only focused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sides, the study of bystanders has been mainly undertaken in the field of school bullying and only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affect the roles of bystanders as they can influence a dynamic of bullying situations.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bystanders can also suffer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those who witnessed bullying should also be recognized as "co-victi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itnessing cyber aggression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epress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role of an event centrality.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to provide evidence for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of bystanders who witnessed cyber aggression and the direction of pre and post-intervention for them.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ould b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cyber aggression,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event centra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Second, witnessing cyber aggression would affect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event centrality would have a significant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yber aggression witness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We assessed two hundred ten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measure witnessing cyber aggressi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depression, and centrality of event as a cyber aggression bystander. All collected data were appropriate without missing values, and all 210 data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and Mplus. Also,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check the mediation effect of event centr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main variables. As witnessing cyber aggression increased, event centrality,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epression also increased. Besides, event centrality also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at a significant level.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Second, we conducted path-analysis based on a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witnessing cyber aggression o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As a result, the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effect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cyber aggression witness exper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ed effect of event centrality were identifi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the total effect of witnessing cyber aggression o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and so was the indirect effect through event centrality. Since the direct effect of witnessing cyber aggression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as significant, the event centrality partially mediated the positive effect of witnessing cyber aggression on posttraumatic stress. In other words, the experience of students who witnessed cyber aggression was directly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hile indirectly affecting them through event centrality. In the case of depression, event centrality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witnessing cyber aggression on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because the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us, event centrality has been shown 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an explain the association between witnessing cyber aggression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above,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counseling for prevention and post-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who witnessed cyber aggression may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