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7 Download: 0

의과대학 온라인교육(Online education)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효과적 교수학습전략 연구

Title
의과대학 온라인교육(Online education)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효과적 교수학습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Factor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Online Education for Medical Education
Authors
이희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권복규
Abstract
1990년대부터 인터넷의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 태블릿 PC와 모바일 폰 등 전자매체를 통해 인터넷을 익숙하게 접해온 학생들은 이전 세대에 비하여 인터넷을 통해 많은 지식을 얻고 있다. 이렇듯 지식 습득 과정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교육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기존의 원격교육 방식에 비하여 접근성이 높고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인터넷의 장점으로 인해 2000년대부터 교육분야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교육방법인 온라인교육이 도입되었으며, 의학교육에서도 2000년대 후반부터 온라인학습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온라인 컨퍼런스를 활용한 국제 학술대회, 인터넷을 통한 수술 시연인 라이브 수술 등을 통하여 멀리 가지 않고도 새로운 의학 지식을 빠르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온라인 연수교육을 통하여 근무시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교육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의 의학교육에서는 실제 진료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의학교육(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이 확대되고 있는데, 온라인학습에 시뮬레이션 의학교육을 접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더 많은 교육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온라인교육을 통한 의학교육은 아직까지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 BME. 학부의학교육)에서는 널리 활용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전공의 교육 혹은 전문의 연수교육 등에서 더 널리 활용되었다. 온라인교육이 의학교육 영역에 도입된 지가 얼마 되지 않아 기본의학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논의와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과정에 온라인교육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데는 부담이 있을 것이다. 그로 인해 온라인교육은 일부 단기간의 교육 프로그램 혹은 단발성 교육에 제한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하여 E의과대학에서는 2020학년도에 본과 3학년과 4학년의 임상실습 교과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육과정을 온라인교육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비록 전염병이라는 외부 요인에 의하여 시행하게 되었지만 이는 미래 의학교육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온라인교육의 효과를 검증할 좋은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2020학년도 1학기에 E의과대학에서 시행한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와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등 교육적 요인, 학습자의 인터넷 숙련도와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 등 학습자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향후 온라인교육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그룹인터뷰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2020학년도 1학기 온라인교육에 참여한 의과대학 본과 1학년에서 4학년 학생 252명과 교수 6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학년 별로 학생 2명씩 총 8명과 교수 2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 요인 중에서는 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숙련도,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 유무 및 기존 온라인교육에서 경험한 교육 방식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컴퓨터 및 인터넷 숙련도가 낮은 학생의 경우 낮은 학습참여도와 학습성취도, 학습만족도를 보였으며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에서 학습성과가 낮게 나타났다.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이 있던 학생 중에서는 이전에 동영상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다른 방식으로 온라인교육을 경험한 학생보다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의 내용과 온라인교육의 전달 방식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온라인교육의 교수설계 과정에서 적절한 교육내용과 적합한 교육방식의 선정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자기조절학습은 온라인교육에서 중요한 학습 원리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학습전략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동료 학생 및 자료 검색을 통한 자료 구하기와 학습에 적합한 환경 선택 등 일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활용하기도 하였으나 그 방법이 체계적이지 않고 학습자의 재량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학생이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설계하고 점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또한 온라인교육방법 및 활용 도구에 대한 교육, 온라인교육자료 제작을 위한 장비 및 프로그램 지원 등 교수자 대상 지원과 더불어,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온라인교육 플랫폼의 개선 및 학생 대상의 인터넷 활용 및 온라인교육 안내, 학생을 위한 학습 공간의 지원 등 교육기관 차원에서 필요한 학생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전염병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시행된 온라인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설계가 치밀하지 못했으며, 여자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를 전체 학습자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동일 집단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기간 동안 서로 다른 교육내용의 교과목에 적용된 온라인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기본의학교육에서 온라인교육에 미치는 요인들을 다방면으로 분석하고, 온라인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방안을 고찰하는 등 의학 교육에 온라인교육을 적용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from the 1990s, students who have been familiar with the Internet through electronic media such as computers, tablet PCs and mobile phones since childhood are gaining more knowledge through the Internet than in the previous generation. As the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changes, the need for an edu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emerged. In addition, online education, a distance education method using the Internet, has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the 2000s due to the advantage of the Internet that it has higher accessibility and can provide education to more learners compared to existing distance education methods. In medical education, online learning began to be introduced in the late 2000s.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using online conferences and live surgeries made it possible to quickly share new medical knowledge without going far, and through online training, it was possibl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without being limited by working hours. In addition, in recent medical education,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which provides a situation similar to the actual medical treatment situation, is expanding.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ombines online learning with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has raised interest in education. It is believed that it could not only trigger, but also provid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However, despite these expectations and possibilities, medical education through online education has not yet been widely used in basic medical education (BME, undergraduate medicine education), but rather, it is more widely used for education in majors or training for specialists. Due to the 2020 COVID-19 pandemic, E Medical School has conducted online education for most of the curriculum except for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the 3rd and 4th grades in 2020. Although it was implemente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his provided a good opportun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online education conducted by E Medical School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learner factors such as online education experience, and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online education in the future. A questionnaire survey and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252 students in the 1st to 4th grades of the medical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education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69 professo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8 students and 2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with 2 students per grade.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learner factors, students' computer and internet proficiency, existing online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methods experienced in existing online education acted as influencing factors on learning effect. Students with low computer and internet proficiency showed low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students without previous online education experience showed low learning outcomes.Among the students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online education, students who had previously heard video lectures showed higher learning outcomes than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online education in other way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the delivery method of online education, which implies that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education content and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is important in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of online education. Since self-regulated learning acts as an important learning principle in online educatio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y also used som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finding data through searching for data with fellow students and select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learning, but the method was not systematic and depended on the discretion of the learner. To overcome this, detailed guidelin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were presented to help students design and check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in addition to support for instructors, such as education on online education methods and tools, equipment and programs for online education materials production, improvement of online education platform to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and Internet use and online education guidance for students. This study was aimed at an online curriculum that was suddenly implemented due to the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so the design of the study was not precise, and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study results to all learners because it was targeted at women's medical college students. But,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online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