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디지털 매개 성폭력

Title
디지털 매개 성폭력
Other Titles
Digital sexual violence (DSV) : Comparison study of characteristics between digital and non-digital sexual violence
Authors
배승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임원정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성폭력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과 디지털 비매개형 성폭력의 특성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해바라기 거점센터에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만 3년간 내방한 여성 피해자 1,408명이 연구의 대상자에 포함되었다. 사건 내용 분석을 통해 사전, 사건 당시 및 사후 과정 중 온라인 플랫폼이나 디지털 기기와 기술이 이용된 경우를 조작적 정의 상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 사건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들의 외상후후유증상은 성인의 경우 PTSD Symptom Scale-Self Report (PSS-SR), 미성년자는 Children's Revised Impact of Event Scale (CRIES)의 자가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인구학적 자료와 임상적 자료 분석과 함께 연도 및 연령군별로 디지털 매개형과 비매개형 성폭력 비율을 분석하였다. 성인과 미성년자 집단의 양 성폭력 유형과 연관성이 높은 인자와 미성년 피해자의 외상후후유증상 위험요소를 알아보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성인의 외상후후유증상 위험인자는 PSS 총점과 하위 그룹 점수 각각에 대하여 로그선형모형 적합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대상자 중 성인은 737명(39.2%), 미성년자는 671명(47.7%)이었다. 대상 사건 중 21.0%가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에 해당하였으며 이 중 미성년자의 사건이 60.8%였다. 디지털 매개형 사건의 세부 내용을 보면, 피해자 연령에 무관하게 '가해자를 온라인에서 처음 알게 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이 유형은 매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윤간과 사건 당시 언어 폭력 동반 비율이 높고, 피해자가 가해자를 알게 된 지 상대적으로 짧은 시기인 당일 또는 3개월 이내에 범행이 일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게다가 사건 신고율과 조기 신고율 모두 디지털 매개형에서 비매개형 사건의 경우보다 낮았다. 외상후후유증상은 성인 피해자의 경우 유형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성년자 집단에서는 디지털 매개형에서 후유증상 점수가 높았다. 전체적으로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은 과거 성폭력 피해가 있었던 경우, 가해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발생할 위험도가 높아졌다. 또한 피해자-가해자 간의 관계 기간이 짧고 가해자의 음주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서 비매개형 성폭력보다 일어날 가능성이 높았다. 성인의 외상후후유증상 위험인자 분석에서는 1회성보다 반복된 성폭력 사건에서 점수가 높고 반대로 사건 당시 동반된 의식소실은 자각증상의 보고 점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 당시 신체나 언어 폭력이 동반된 경우 후유증상 중 과각성 증상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미성년 피해자는 13세 미만보다는 13세 이상에서, 반대로 가해자의 연령은 고연령대보다 30세 미만일 경우 PTSD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CRIES 30점 이상의 비율이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은 기존 성폭력 형태와 다른 특성을 보였다. 전 연령층의 피해자에게서 사건의 양상이 모두 상대적으로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미성년자 대상의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은 후유증상의 위험성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호자 뿐 아니라 교육계와 전문가들의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30세 미만 가해자층에서 디지털 매개 유형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고연령의 가해자에게 디지털 기술이 아직 낯설거나 미숙해서일 수 있으므로 향후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의 가해 연령층이 점차 전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심화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즉 디지털 매개형 성폭력의 예방, 교육과 가해자 처벌 과정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하여 다학제 및 정책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and non-digital sexual violence among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Korea. Method: One thousand four hundred eight female victims who visited the Sunflower Center of Southern Gyeonggi for Women and Children Victims of Violence in Korea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ses were defined as 'digital sexual violence (DSV)' when online platforms or digital devices and technology were used in the during- and/or pre-, post- assault process of sexual violence. The post-traumatic sequelae was assessed using the PTSD Symptom Scale-Self Report (PSS-SR) for adults and the Children's Revised Impact of Event Scale (CR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e analyzed the rate of change in digital and non-digital sexual violence by year and age group. Also we identified factors that are highly related to the digital and non-digital of sexual assault in adult and minor population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sequelae after trauma of minor victims. The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equelae in adult victims were analyzed by using the loglinear model to the PSS total scores and subscores. Results: The analysis of the total subjects showed that 737 adults (39.2%) and 671 children and adolescents (47.7%) participated. Twenty one percent of the total cases were DSV, of which 60.8% were minors. The most common type of DSV was ‘meeting the perpetrator via online platform' in both adult and minors. The percentage of this type gradually increased every year during study period. DSV was more likely to be accompanied by gang rape and verbal violence. Also in the case of DSV, both adult and minor victims tended to experience sexual assault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ir offender than non-digital type assault. In addition, both the report rate and the early reporting rate of DSV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non-digital type. The post-traumatic sequelae did not show a difference in digital type for adults but higher score were reported in digital type than non-digital type for minors. Overall, the risk of DSV decreases as the age of the offender increases, and the odds ratio increases when the victim-offender relationship is short. Factors related to post-traumatic sequela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repeated sexual assaults than in single attack victims. Victims who experienced physical or verbal violence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arousal symptoms. In underage victims, those older than 13 years and those whose offender was younger than 30 years showed higher proportion in the PTSD high-risk group. Conclusion: In conclusion, DSV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xtant forms of typical non-digital sexual violence crimes. Moreover, DSV against minors has a higher risk of sequelae and warrants attention, not only by the professionals but also by the general population. Furthermore, the age of the offenders was relatively young and it is prospected that the prevalence of such form will increase in the future as this age group advances to older age. To this end, policy should be consider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evention, education and punishment of DSV.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