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기준 분석

Title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기준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Basic Competency Evaluation of Universities : Focusing on Excellence of Astin's Learner-Oriented Perspective
Authors
김수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대학은 사라질 것인가, 새롭게 재탄생할 것인가? 2020년,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 선 대학은 전세계를 패닉에 빠뜨린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으로 대면 수업을 대체하고, 몇몇 국내외 대학은 코로나19 확산 예방과 확진자 발생 양상에 대한 대처 차원으로 임시 휴교 선언하는 등 전대미문의 조치를 시행했다. 대학이 마주한 위기상황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인구절벽으로 인한 진학인구 감소, 코로나19로 인한 유학생 유치에 대한 불확실성과 유입 기회 유실 등으로 인해 교육부(2019)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 대비 입학생 부족 현상 발생에 대한 우려를 공표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넘어가며, 대학의 형태와 기능 그리고 역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구조의 변화는 미래 교육의 초점을 학생 개인에게 옮겨지게 만든 동시에 대학의 질을 학생 개인의 삶의 질에 대응하는 인본주의적 교육 논리는 더욱 힘을 얻고 있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한 선제적 방안으로 대학 구조조정을 추진하였다. 2014년부터 시작된 대학구조개혁평가는 객관적인 평가지표에 따라 추진되었고, 결과를 토대로 대학정원 감축에 착수했다. 정부는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를 통해 대학정원 4만 4천 명을 감축했고,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이후에는 평가결과를 토대로 5만 명을 추가 감축하였으며, 다가오는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의 대학정원 감축 목표는 7만 명이라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1∼3주기 평가를 통해 총 16만 명에 달하는 대학정원이 줄어들게 된다. 2주기 진단 사업에 이어 이번 3주기 교육부 대학구조개혁위원장을 맡은 류장수 부경대 경제학부 교수는 "어느 사회든지 모든 것을 시장에 다 맡길 수는 없다”고 언급하며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모든 대학이 다 같이 살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재정지원을 통해 조정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기준을 Astin의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관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수월성’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의미를 정리하였고, 대학기본역량진단 지표 속에 수월성의 개념이 어떻게 녹아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Astin(1993)의 I(Inputs)-E(Environment)-O(O utcomes) 모형과 김형란, 김석우(2019)가 평가지표 분석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본 연구의 방향에 맞추어 재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I-E-O 요인은 연구의 방향에 따라 I(교육적 투입, Educational Inputs)-E(학습 환경, Learning Environment)-O(교육 성과, Educational Outcomes)로 조작적 정의하고, 이에 따른 하위 요소를 제시하였다. 평가기준 분석의 주 자료는 1, 2,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지표이다. 평가지표는 성격에 따라 교육적 투입-학습 환경-교육 성과 차원으로 1차 분류하고, 이를 대학의 기능 및 역할인 교육·학생, 연구·교원, 봉사·기관 책무 차원에서 2차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주기별 평가지표를 고찰하고, Astin의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관점을 토대로 대학기본역량진단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고등교육 수월성이란 무엇인가? 둘째,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주기별 평가지표는 학습자 중심의 고등교육 수월성 개념에 비추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기준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고등교육 수월성이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작용하는 개념으로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잠재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동원되는 모든 인적·물적·인지적·정신적·교육적 접근의 총체를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 학교는 개인의 능력을 이끌어 내고, 이를 탁월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학습 환경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본다. 둘째,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기준은 학생과 학습 환경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표의 평가 방향성이 교육의 직접적 수혜자인 학생과 학습 환경을 향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셋째, 향후 대학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및 균형 있는 지표 안배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대학의 세 가지 기능에 관련한 각 지표는 보다 균형있게 안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의 기능 중 가장 많은 지표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교육·학생이다. 그러나 이상적인 대학의 운영은 교육·학생, 연구·교원, 봉사·기관 책무가 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상호작용하며 서로 간의 상승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덧붙여 대학이 가진 세 가지 역할이 톱니바퀴처럼 맞닿아 돌아갈 때, 진정한 의미의 고등교육 수월성에 가까워질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이 학습 환경(Learning Environment) 조성에 투자하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안정 도모를 지원하는 교육정책 제안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수행되는 대학기본역량진단은 시장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조정을 답습하는 수준을 탈피하여 교육의 수월성에 대한 담론을 기반으로 한 대학평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기본역량진단은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가치에 방점을 두고, 모든 대학이 가능한 한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물적·체제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살아날 수 있도록 교육정책을 통해 지원하고, 상승적인 변화를 이끄는 지원 기제로 역할을 해야 한다. 넷째,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정책적 프레임과 내용의 합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기준은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개념을 바탕으로 미래 대학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되어야 한다. ;In 2020,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eads the massive trend shift in forms of education. The university implemented unprecedented measures such as temporaly closing and replacing into online classes or declaring campus closed due to COVID-19 pandemics. This is not the end of the crisis faced by universities. The Ministry of Education(2019) announced concerns about the enrollment declination due to the population cliff, uncertainty over attracting foreign students due to COVID-19 and loss of opportunities for inflow, and the lack of students compared to the university quota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age students. Since the post-COVID-19 era, a new paradigm presents for the new forms, function and role of universiti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used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revolution shifted the focus of future education center on individual students. In nowadays, the assertion gaining strength,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mirrors individual’s satisfaction of student life.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pushed ahead with university restructuring in preparation for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age students, preemptively pushed ahead with university restructuring in accordance with objective evaluation indexes, and began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4. The government reduced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by 44,000 in the first-cycle of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further reduced the number by 50,00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ond-cycl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and stated that the goal of reducing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pcoming third-term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s 70,000 people. The one-to-three-cycle evaluation will reduce the total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by 160,000. Ryu Jang-soo, an economics professor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ho headed the Education Ministry's College Structure Reform Committee, said, "We cannot lean everything to the market in any society,” and added, "With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ing, all universities cannot survive together, so the government is adjusting them through financial support.”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standard evaluation of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Astin's view of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First of all, I(Inputs)-E(Environment)-O(Outcomes) of Astin (1993) to summarize the meaning of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through a literature study on ‘Excellence' and to see how the concept of excellence is incorporated in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The analysis frame proposed by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index by Kim Hyung-ran and Kim Seok-woo(2019)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is study. Accordingly, I-E-O factors were manipulated into I (educational inputs)-E(Learning Environment)-O(Educational Outcom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tudy and presented sub-components accordingly. The main data of standard evaluation criteria analysis is the indicator of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ycles. First, I-E-O dimension classified as the standard assessment indicators in terms of educational inputs-learning environment-educational outcomes. Second, in terms of the university's function and roles: education·students, research·educators, and service·responsibilities. Based on Astin's view on the level of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it was intend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cellence of learner-oriented higher education? Second, what characteristics does the periodic standard evaluation index of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reflect the concept of excellence of learner-oriented higher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dicators for universities? The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excellence of learner-oriented higher education is a concept that implies for everyone, which means the aggregate of all human resources, financial resource, cognitive, emotional,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maximize the potential inherent in individuals. In the process, the school is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providing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and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in order to derive individual abilities and to bring them to a superior level. Second, the standard evaluation criteria of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are focused on the educational needs student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indicators is directed toward the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the need for re-balance indicator arrangement of the role of universities is required. Each indicator related to the three functions of a university needs to be arranged in a more balanced mann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education·student has the most priority of the university's functions. However, the ideal university operation i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balance of education·students, research·educators, and service·responsibilities and create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them.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hat when the three roles that universities harmonize, it can moves step further to reach true meaning of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policies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educational policy proposals are needed to help universities promote institutional stability so that they can invest in creating an learning environment and create value. Second, the futur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should be carried out in a direction toward university evaluation based on discourse on the excellence of education, breaking away from industrial perspective,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should be analyzed in view of excellency of education. Third,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the value of the excellence of higher education. The diagnosis should support by utilized on their human resourc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basement. The result should serve as supporting mechanism to drive upward change. Fourth,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the policy frame and contents of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Fifth, the standard of basic competency diagnosis which bases on the concept of excellence of higher education, sh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direction of future university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