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7 Download: 0

일상적 공간의 기록과 변용

Title
일상적 공간의 기록과 변용
Other Titles
Records and Transformation of Everyday Space : Focusing on One’s Geometric Spatial Painting
Authors
황유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본 논문은 연구자의 기하학적 공간 회화 작품 제작의 이론적 배경 및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도시라는 공간에 얽힌 다양한 삶의 경험과 기억을 되짚고 일련의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전개하였다. 우리는 저마다 다양한 삶의 과정을 보내며 공간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과 기억을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간에 대한 가치와 감정이 부여되면, 그 공간은 기억의 공간이 된다. 그러므로 도시의 공간은 삶의 근본 조건의 역할 뿐만 아니라, 사적인 기억의 저장고 역할도 하는 것이다. 이렇게 각자의 경험적 맥락에 따라 공간을 사유하고 기억하는 모습이 서로 다르기에, 물리적 조건이 같은 공간이라도 바라보는 주체에 따라 해당 공간에 대한 의미와 기억은 모두 다르고 주관적이며, 추상적이다. 연구자는 기억으로 존재하는 각자의 고유한 공간을 추상적으로 재현하는 작업을 시도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기억을 내포한 삶의 시간 작용을 도시 공간이라는 물리적 장소에 투영해 작품으로 녹여내고자 했다. 지금까지도 유의미하게 여겨지는 공간 관련 기억을 지극히 주관적인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것으로, 도시의 구조적 형상에 기반한 작품은 모두 기하 추상의 양식을 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하 추상회화라는 조형적 장치를 매개로 도시 공간에 대한 일상적 이야기를 비롯하여 시각성과 공감각적 경험을 추상화하는 모든 과정을 탐구했다. 본론 첫 번째 장 ‘도시 공간의 사유’에서는 도시 공간의 구조적 형태의 특성을 조형적인 측면과 관념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 번째로 ‘도시의 일상과 기억’에서는 도시 환경의 수직 수평적 구조에 대한 지각과 기억이 연구자의 작업에 영향을 주었음을 언급한다. 이러한 구조적 환경에 대한 이미지 기억을 기반으로 도시의 사회적 공간과 기하 추상을 통해 현대인의 삶을 고발하고자 했던 피터 핼리(Peter Halley, 1953-)의 작품을 연구자의 작품 맥락과 연관하여 살펴본다. 다음으로 ‘시각적 잔상에 기반한 추상회화’에서는 도시의 기하학적 공간을 회화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언급하고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의 작품 특징을 살펴 연구자의 작품을 설명한다. 본론 두 번째 장 ‘일상적 공간에 대한 공감각적 추상’에서는 공간과 결합 된 개념의 의미를 조형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 연구자의 작품에 반영된 다양한 개념과 감각의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조형적으로 풀어내는 방법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먼저 ‘시간성의 개입’에서는 도널드 저드(Donald Judd, 1928-1994)와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1931- )의 이론을 토대로 작품과 관람자의 체험적 관계 설정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시간성과 연극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뒤이어‘물성을 통한 촉각적 경험’에서는 아그네스 마틴(Agnes Martin, 1912-2004)과 한스 아르프(Hans Arp, 1886~1966)의 작품을 살피고, 연구자의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촉각적 경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의식적 지각의 공간’에서는 연구자 작품의 주된 표현 요소인 색채와 변형 캔버스를 설명하고 이와 연관하여 조셉 알버스(Josef Albers, 1888-1976)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의 작품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론의 마지막 장 ‘본인 작품 분석’에서는 연구자의 작품을 내용적 의미와 조형적인 측면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기억의 흔적’에서는 사각 형태의 종이를 축적하여 생겨나는 시간성과 공간성, 그리고 입체감에 대하여 설명한다. 두 번째로‘감성으로 구현된 일상의 기록’에서는 오랜 시간이 쌓여 감정과 정념의 기억으로 각인된 사적 공간을 작품으로 구체화했던 과정에 대하여 살핀다. 세 번째로‘공간의 구조적 확장’에서는 연구자가 경험한 공적 공간의 이미지를 변형하여 공간 구조를 재구성한 작품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동시대의 도시 공간에서 발현된 구체적인 기억과 감각감정에 주목하고, 이를 수집하여 작품으로써 가시화하였다. 연구자에게 유의미하게 남은 공간을 작품의 매개로 들여다보며, 새로운 시각성의 제시를 다방면으로 시도했다. 본 논문을 통해 예술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발전되어 온 미니멀 아트와 기하 추상의 심미적 가치를 환기시키고, 연구자와 밀접하게 연관된 공간들을 ‘기하학적 공간 회화’로 구현하는 과정들을 체계화할 것이다.;Today we live by experiencing various spaces surrounded by external environment of the city. Space signifies the physical environment where humankind has lived since ancient times. When experiences in these spaces are accumulated and valued, they become personal spaces. Therefore, space, which includes vastness and openness, is used as a wider concept than personal space that manifests density and safety that triggers a sense of attachment. We have understood these spaces and places in different empirical and contextual contexts. Consequently, individuals possess different subjective and abstract perceptions on identical physical space. The researcher has continued to contemplate on the concepts of space which are building environments of the city in order to reproduce them as abstract, geometric work of art. The work pursues a gestalt process that focuses on the moment of perceptual experience while vividly restoring experiences. In other words, the geometrical space that I have implemented based on visual afterimage is an extremely subjective place that I have perceived through my personal exposure to the world. Hence, this paper captures all the processes of abstracting visual and multi-sensory experiences, including places that contain everyday stories, through the medium of formative device called “geometric spatial painting”. This paper seeks to find theoretical basis of these artworks and systemati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form. The first chapter entitled “Experiences of Urban Space” examines meaning of visual experience through the context of place characteristics and pictorial aspects. Firstly, “Memories of Daily Urban Space” mentions that the emotional attitude of the urban construction environment has affected the researcher’s work. Against such background of environmental construction, the researcher’s geometrical abstract paintings are observed through the works of Peter Halley (1953-present) who accused the lives of modern people by deriving societal space and geometric abstraction. Next, “Geometric Space Based on Visual Afterimage” revolves around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urban space into geometric abstract paintings and explains the similarities between Mondrian’s and the researcher’s paintings.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text entitled “Synesthetic Expression of Space”, the symbolic meaning of space on the researcher’s works are examined through formative perspective. Various methodologies of abstract expression and possible external recognition reflected in the author’s paintings are considered. To begin with, in “The Concept of Space with Time Intervention”, timeliness and theatricality of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s and the audience are scrutinized based on theories of Donald Judd (1928-1994) and Robert Morris (1931-present). Subsequently, “Physical Perceptual Experience through Variant Canvas” analyzes the works of Joseph Albers (1888-1976) and Frank Stella (1936-present), who influenced color and variation canvas, which are the main elements of the author’s work. Lastly, “Conscious Perception Experience of Space” explains tactile experience contained in the work by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bstract paintings of the author and works of Agnes Martin (1912-2004) and Hans Arp (1886-1966). The last chapter of text called “Analysis of One’s Own Work” meticulously describes meaning and formative aspect of researcher’s work. First of all, “Space Embodied by Memory” explores spatiality and time that is generated by the accumulation of spatiality, which are symbolized through square shape of paper. Secondly, “Emotional Transformation and Reproduction of Daily Places” begins with stories on places infused with affectionate memories, and examines tactile experience. Thirdly, the transformative canvas works of “Space Expansion and Place Variation” are extended three-dimensional spaces reconstructed by the author through transformative images of urban space.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s on experiences and emotions expressed in specific urban spaces of same period, and visualizes them through works of art. Among the various spaces that were visually and sensually experienced, the author chose personally meaningful place as medium of work, and attempts to present new images in various ways. Hopefully, the audiences not only enjoy visually pleasing experience but also reminisc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se works. Through this paper, the researcher plans to evoke meaning of geometric abstract painting that has persisted in art history, and study research process that embody space and place as a single “geometric spatial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