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빛과 색채를 머금은 리퀴드 글라스 회화

Title
빛과 색채를 머금은 리퀴드 글라스 회화
Other Titles
The Liquid Glass Painting of Light and Color : Focused on My Artworks
Authors
한채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넘쳐나는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현대를 사는 우리는 이미지를 매우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데 익숙하다. 현대의 일률적이고 지속적인 이미지 생산 과정에서 점차 이미지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욕구 또한 발견된다. 이는 쉽게 접하는 이미지들로는 완전한 충족감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인 작품에 있어서 이미지 형성의 주체적 태도는 남들이 찾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부분을 모색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이미지의 주체적 구현을 통해 작업의 이미지를 얻는 과정은 곧 본인만의 ‘시각성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가치 기준을 넘어서는 지점에서 새로운 대상에 대한 해석을 탐색하며 그것을 특정 이미지로 발췌한다. 주변 환경에서 발췌한 시각 이미지는 본인의 이상적 가치를 형상화한 작업으로 구현되며 이는 다양한 시지각적 효과를 지닌다. 새롭고 주체적인 이미지의 탐색은 바로 남들이 쉽게 발견하지 못하는 부분을 찾아서 보다 풍요로운 시각성을 구현하는 과정이다. 주로 대상을 해체하고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본인의 관점을 강화한다. 초반의 작업에서는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Depaysement) 기법과 같은 변형과 콜라주가 시도되었고, 이어지는 작업에서는 고조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 풍경을 오브제화 하여 하나의 아름다운 결정체로 완성해 나가는 노력이 이뤄졌다. 원본으로부터의 해체와 변형의 반복을 통해 공감각적 형상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어진 작업에서 구조적으로 형상화한 빛의 풍경 이미지에 촉각적인 특성이 가미되면서 화면은 점차 완벽한 가상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 결과 작업은 감각의 확대와 이상의 자유로운 형태로써 점차 추상화되어갔다. 이러한 작업의 변증법적 전개는 사실적인 묘사와 재현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 언어를 창조하고자 했던 여러 시행착오와 노력의 과정을 잘 보여준다. 특히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 풍경은 지극히 개인적이며 단 하나의 이상향으로서 자유롭고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다. 그것은 단순한 시각적 경험을 극복하고자 한 주체의 의지를 토대로 개인적인 관점을 투영한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인은 시각상을 찾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는 이상적 시각 이미지로 지각의 범주와 그 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각의 확립 과정에서 이미지를 재구성해 나간다. 이는 보이지 않는 것을 가시화하는 과정이며, 시각 너머의 이상을 이미지로 환원하는 것이다. 일상을 다르게 그리고 새롭게 바라보고 변형과 세공을 반복함으로써 독자적인 시각성을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인공적인 의도를 지닌 채 의도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작품으로 담아내야 한다고 강조한 테오필 고티에(Theophile Gautier, 1811-1872)가 정의한 예술가의 의식과 추구하는 방향이 같다. 따라서 시지각의 노력을 기반으로 형상화하는 이미지는 본인의 염원을 담은 환상적이고 아름다운 이상향의 구축인 것이다. 시각적 주체로서 본인의 의식과 감각을 형상화하려는 의지는 작업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시각적 경험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봤을 때, 빛의 순간적인 인상은 자연스럽게 본인의 작업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인은 무엇인가를 바라볼 때 늘 촉각적으로 상상하며 대상을 인식해왔다. 이러한 본인의 공감각적 관점을 빛을 머금은 물성을 지닌 새로운 매체를 통해 구현해 내고자 했다. 적극적인 물성과 시각적 촉각성을 도출하는 리퀴드 글라스(Liquid Glass) 작업이 바로 그것이다. 빛을 머금은 듯한 도톰한 표면은 시각 중심의 회화에서 배제되어온 촉각적 경험을 유도하며, 다채로운 감각적 회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시각 이미지의 자발적 구현의 동기와 그 과정을 중심으로 작업의 의의를 밝히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은 기존 시각 중심의 회화에서 나아가 텍스처(texture)를 통해 고조되는 감성적 시각이 재해석되는 과정을 분석해보았고, 표면을 흐르는 빛의 감각을 표현하여 기존의 회화와는 다른 감각적이고 생생한 빛의 이미지를 구축해온 작업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현대사회가 주는 방대한 이미지들 속에서 본인은 주어진 것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시각 이미지를 탐구해 왔다. 다채로운 시각적 감각을 탐색하는 그 과정에서 본인은 현대미술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모색하고 나아가 감상자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People are getting used to accept an image very passively under overflowing image conditions today. However, the desires to accept image more independently also can be found while the modern uniformed and continuous image production proces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hieve complete satisfaction with images that are easily encountered. Therefore, the subjective attitude of image realization in my work begins with the search for parts that cannot find and see. The process of obtaining an image of a work through the subjective implementation of such an image can be expressed as ‘building of visibility’ of one’s own. Searching for an interpretation of a new object at a point beyond the general value standard and extracting it as a specific image. The visual images extrac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re implemented as works embodying their ideal values, and this has various visual-perceptual effects. The search for a new and subjective image is the process of finding a part that others cannot easily discover and realizing a richer visuality and it reinforces one’s own point of view mainly through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and combining objects. In the early work, transformations and collages were attempted, such as the surrealist ‘depaysement’ technique, and in the subsequent work, efforts were made to objet the landscape into a single beautiful crystal by turning into an object to express the heightened sense. It attempted synesthesia through repetition of de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from the original. As tactile characteristics are added to the image, the screen gradually exists in a perfect virtual form. As a result, the work was gradually abstracted as an enlarged sense and a free form of ideal. The dialectical development of these works well shows the process of various trials and errors and efforts to create a new visual language, free from realistic description and representation. In particular, in my work, the landscape is extremely personal and has a free and infinite possibility as a single utopia. It has a meaning as a space in which a personal perspective is projected based on the subject's will to overcome a simple visual experience. I explore the category of perception and its possibilities with the ideal visual image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of finding the visual im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perception, the image is reconstructed. This is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invisible and reducing the ideal beyond sight into an image. It is intended to build an independent visuality by looking at daily life differently and newly and repeating transformation and work. This is the same as the artist's consciousness as defined by Theophile Gautier(1811-1872), who emphasized the need to intentionally look at the world and capture it as a work with artificial intent. Therefore, the image that embodies based on the effort of visual percep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fantastic and beautiful utopia containing one's desire. The will to realize one's consciousness and sense as a visual subject acts as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work. Based on this interest in visual experience, the momentary impression of light naturally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his work. I have always been tactilely imagining and recognizing the object when I look at something. I tried to realize this kind of synesthesia perspective through a new medium with light and material properties. This is the Liquid Glass work that derives active physical properties and visual tactile sensibility. The thick surface, which seems to contain light, induces tactile experiences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visual-oriented painting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lorful sensuous paintings. This thesis is a study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work focusing on the motivation and process of spontaneous implementation of visual images. Through this study, I analyzed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emotional perspective heightened through texture, going beyond the existing visual-centered painting, and expressing the sense of light flowing through the surface, I looked at the meaning of the work that has built the image of light. In the vast images of modern society, I have been exploring new visual images without complacent with what is given. In the process of exploring a variety of visual senses, I aim to seek an identity as a contemporary artist and further draw out the sympathy of the view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