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문화 간 감수성과 노출 시간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상위화용적 함축 이해 연구

Title
문화 간 감수성과 노출 시간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상위화용적 함축 이해 연구
Other Title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xposure Time on Vietnam Learners’Understanding of Korean Metapragmatic Implicature
Authors
유은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상위화용적 함축은 발화의 내용이 아닌 표현의 방식을 통해 화자의 인식이나 믿음, 태도 등을 드러내주는 역할을 하는 함축으로 발화의 상호 인간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위화용적 지각 표시가 다양하게 발현됨으로써 나타난다. 상위화용적 함축은 사회문화적 특성이 강한 함축 유형의 하나로, 기존의 보편성에 근거한 함축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함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상위화용적 함축에 관한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며, 함축에 대한 언어 문화적 변인의 영향을 다룬 연구도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위화용적 함축의 개념과 정의, 상위화용적 지각 표시가 나타나는 대화상의 양상을 정리하고, 문화 보편적으로 해석 가능한가,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이 선제되어야 하는가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가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 간 감수성과 한국어 노출 시간이 상위화용적 함축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언어 문화 연계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함축 및 상위화용적 함축, 그리고 문화 간 감수성과 노출 시간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은 ‘상위화용적 함축이 문화 보편적인지 문화 특수적인지에 따라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상위화용적 함축 이해 점수가 달라지는가?’이고, [연구 문제 2]는 ‘문화 간 감수성과 한국어 노출 시간이 상위화용적 함축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Ⅱ장에서는 함축 및 상위화용적 함축, 이어서 문화 간 감수성 및 언어 노출과 언어 학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Grice(1975)의 대화의 격률을 기반으로 한 보편적인 함축 이론과 이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한 새로운 시각을 정리하였고, 관련 연구에서 제시한 상위화용적 함축의 정의와 상위화용적 지각 표시 사례들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문화와 언어가 밀접하게 연관됨을 밝힌 연구, 언어 노출과 언어 학습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문화 간 감수성의 개념과 함께 문화 교육과 언어 노출이 언어 학습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할 문화 간 감수성 척도를 구성하였고, 한국어 노출 시간을 측정에 있어서 대화 시간, SNS 상호작용 시간, 시청 시간으로 하위 요인을 구분하였다. 상위화용적 함축을 문화 보편적 유형과 문화 특수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 하위 세 가지 유형을 포함하였으며, 관련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대화 상황과 사례들을 참고하여 상황개요표를 작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토대로 베트남 현지의 H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진학 중인 베트남 학습자 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 분석한 결과와 논의 사항을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1] 에 대하여 문화 보편적 유형과 문화 특수적 유형 간에 상위화용적 함축 이해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 6개 유형 간의 차이는 명백하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할지라도 해당문화권에서 존재하는 표현일 때 학습자가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으며, 문항 자체의 난이도에 따라 이해 정도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문제 2]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화 간 감수성은 문화 차이 존중도와 상호작용 참여도가 높았고, 상호작용 주의도와 상호작용 향유도, 상호작용 자신감은 그에 비해 낮았다. 문화 간 감수성과 노출 시간을 상하 집단 별로 나누었을 때 상위화용적 함축 이해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함축 이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출 시간의 하위 요인인 대화 시간이었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의 실험 결과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는 다음과 같다. 상위화용적 함축의 유형화와 해당 문화권의 특성에 대한 사전 조사에 있어 미흡함이 있었으며, 설문에서 음성이나 영상 자료를 활용해 어조, 표정,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었다면 보다 실제적이고 명확하게 상위화용적 함축을 전달할 수 있었으리란 아쉬움이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그간 집중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상위화용적 함축에 대해 주목하여 이를 개념적으로 정리하고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 상황에 맞는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언어 학습에 있어서 언어 문화적 노출 환경의 중요성과 문화 교육과 연계의 필요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Metapragmatic implicature is an implicature that reveals the speaker's perception, belief, and attitude through the way of expression, not the content of the speech, and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mutual hum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speech. Metapragmatic implicature is one of the types of implicature with strong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a different approach is needed than the existing implicature type. However, research on topical implic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not been conducted systematically yet, and it is hard to find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inguistic and cultural variables on implica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 organized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metapragmatic implicature, and looked at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depends on whether they are universally interpretable or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should be preempted. It was also intende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language and culture-linked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objectively verifying the impact of two variables on the metapragmatic implicature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xposure time of Korean language. Chapter I examin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summarized the implicature of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ior research o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xposure time. Based on thi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Research question 1] is ‘Does the metapragmatic implicature score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metapragmatic implicature is cultural universal or cultural special?’ [Research question 2] is ‘Doe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xposure time affect the understanding of metapragmatic implicature?"’. Chapter II outlines implicature and metapragmatic implicature, followed by theoretical background on intercultural sensitivity, language exposure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First, the definition and examples of metapragmatic implicature were described, laying out new approaches that emphasized the need for a sociocultural approach to the theory of universal implicature based on Grice(1975). And based on the research that mention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and the study of language exposure and language learning,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was put together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education and language exposure.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ISS) to b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select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sub-factors were divided into conversation time, SNS interaction time, and viewing time to measure exposure time in Korean. In addition, the metapragmatic implicature was divided into the cultural universal type and the cultural special type, and each included the lower three types, and a situation summary table was prepared referring to the dialogue situation and exampl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1 Vietnamese learners entering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H University in Vietnam. Chapter IV presents a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experiment. First, the results for [Study Question 1] are as follows.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metapragmatic implicature between cultural universal types and cultural special typ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ifferences between the lower six types were evident, as they were readily acceptable to learners when they were expressions existing in the cultural sphere, even if they reflected socio-cultural specificity, and because of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depending on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itself. The results for [Study Question 2] are as follows.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was high in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ngagement, and Interaction Confidence, Interaction Enjoyment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were low. Whe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xposure time are divided by groups, it has been found to br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metapragmatic implicature,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understanding the implicature is intercultural sensitivity.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outlines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regrettable that if the survey was able to include tone, expression, and gestures using voice or video materials, it would have been able to convey metapragmatic implicature more realistically and clear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focused on the metapragmatic implicature that have not been intensively addressed in the past, summarizing them conceptually, and attempting to approach the actual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ituation. It is also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objectively verified the importance of the language and cultural exposure environment in language learning and the need for links to cultura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